2009년 그리고 1968년


[문화일보] 발길 돌리는 수문장 (2009.6.5)

[문화일보] 대한문 앞은 아직도 ‘무법지대’ (2009.6.22)

그리고 6월 24일.
대한문 앞 노무현 전 대통령 분향소가 보수단체의 기습을 받더니 철거됐다.


1968 년 1월 18일. 서베를린 쿠프퓌르스텐담 광장에서는 약 2만명의 시민들이 ‘불법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체게바라’와 ‘호치민’을 연호하며 미국의 베트남 전쟁을 비판했다.  이 시위에는 독일 학생 운동 지도자 루디 두취케가 있었다.

‘ 빌트 차이퉁’을 비롯 여러 신문들을 소유한 당시 독일의 언론 귀족 악셀 슈프링거는 미국의 세계 정책에 맹목적인 충성심을 보였다. 독일의 산업귀족 대부분은 독일 제 3제국의 후원자였고, 과거에 히틀러를 공격하지 않은 것처럼 패망 후에는 그들의 새로운 보호자 미국을 섬기려고 애썼다.

악셀 슈프링거의 신문들은 그래서 두취케를 ‘빨갱이’라고 공격했으며 심지어 ‘더러운 일을 경찰에게만 맡기지 마라’라는 제목까지 붙였다.

루디 두취케

뮌헨 출신으로 실직 상태에 있던 요제프 바크만은 매일 이런 신문을 읽었다. 자신의 처지에 낙담해 있던 그는, 학생들을 공격하는 ‘빌트 차이퉁’을 읽고 만족감을 얻었다.

1968년 4월 11일. 루디 두취케는 어린 아들의 약을 짓기 위해 서베를린의 약국 앞에서 줄을 서고 있었다. 요제프 바크만은 두취케에게 다가가 세 발의 총을 쏘았다. 한 발은 가슴에, 한 발은 얼굴에, 한 발은 머리에.

요제프는 자신을 붙잡은 경찰에게 자랑스럽게 말했다.

“저는 마틴 루터 킹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공산주의자를 미워하기 시작한 뒤로 내내 두취케를 내가 죽여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다음 날 분노한 학생들이 독일 전역에서 슈프링거의 사무실을 공격했다. 프랑크푸르트에서는 어느 우익 목사가 집회하는 교회로 들어가 마지막 찬송가를 ‘인터내셔널가’로 바꾸어 버렸다.

(1968 희망의 시절, 분노의 나날 중에서)


1968년 4월 11일, 수 천명의 학생들이 슈프링거 신문 베를린 본부 앞에서 루디 두취케 저녁 사건에 대한 항의 시위를 벌이고있다.

총격으로 인해 루디 두취케는 뇌에 심한 손상을 입어 말하기를 다시 배워야했고, 이후 영국과 덴마크를 전전하다가 1979년 12월 24일에 덴마크 거주지에서 사망하였다.

그에 대한 저격 사건은 독일의 학생운동을 과격일변도로 치닫게하여 바더마인호프가 만들어지는 계기를 제공하였지만, 정작 루디 두취케는 합법적이고 점진적인 학생운동을 주창하였다.

요제프 바크만은 저격사건으로 옥살이를 하던 중 1970년 2월 24일에 자살하였다.


바다에서 낙조의 화폭은 하늘 만이 아니다. 해는 자신이 잠겨가는 바다까지 색색의 노을로 물들여 놓는데 그 순간에는 바다에 금빛 찬란한 들판이 생기고 하늘에 석양 짙은 섬들이 생긴다. 바다의 포말은 추수 전 벼들의 머리를 쓰다듬고 지나가는 바람처럼 황금빛이고, 하늘의 구름은 땅거미 지는 섬처럼 그림자를 내민다. 낙조의 바다는 들판과 바다와 하늘과 섬을 모두 합쳐놓은 거대한 어울림이다.

유년은 모두 바닷가에서 보냈다. 내 유년의 노을은 그렇게 어울리는 것이었다. 논이 없는 동네에서 난 해지는 바다를 통해 논을 보았고, 다도해가 아닌 동네에서 난 해지는 바다를 통해 섬을 보았다. 뭍의 노을은 그보다 훨씬 소박했다. 열기가 느껴지는 이글거림도 없었고, 모든 걸 다 섞어버리는 어울림도 없었다. 고운 주황과 고운 붉음을 입김처럼 호호 파란 하늘에 내뱉다가 산등성이로 어둠을 뿜고 조촐히 식어 버렸다. 싱거웠다.

지방에서 올라오는 고속도로. 차 왼편으로 그 싱겁고 조촐한 노을이 걸렸는데 수많은 타워크레인이 공성병기처럼 노을 앞에 서 있다. 아산 혹은 오산 근처였을 것이다. 타워크레인이 사라지면 그 자리를 대규모 고층 아파트가 대신할 테니 그 싱겁고 조촐한 노을마저 찾아보기 어려워 질 것이다. 노을이 본시 싱겁고 조촐했을까? 인간의 손이 닿지 못하는 바다에서 인간의 손이 닿는 뭍으로 옮아오면서 노을은 싱겁고 조촐해진 것 아닐까?

김훈은 일산을 가르켜 ’10만년의 수평을 30년의 수직이 대신하게 된 동네’라고 했다. 어디 일산 뿐이고, 10만년밖이랴. 이 갸날픈 ‘자연보호 정신’조차 창피할 정도로 도시의 속도는 가파르니 기껏 노을이나 보고 상념이나 찍어내는 일까지 구태의연하고 촌스럽다. ‘디자인 서울’은 그 사이에도 무럭무럭 잘 자라날 것이고.

영진공 철구

안녕, 노무현


새 시대의 첫 대통령이기를 원했으나,
그러지 못했고,
구 시대의 마지막을 이끌어내려 했으나,
그마저도 여의치 않았습니다.

지금,
그대를 향해 찬사를 보내기가 어렵습니다.
시절이 그러합니다.

그저,
고향으로 돌아가는 그대의 발걸음에,
조용한 박수를 보냅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안녕, 노무현


영진공 편집자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