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만 보고 질리지말기!




서점에서 이 책을 집어든다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책표지와 같은 표정을 짓게 될 것이다.
“이 책 제목…뭥미?”


 저자: 닉 혼비, 닐 게이먼 외


 역자: 이현수


 펴냄: media 2.0



제목을 픽션이라고 썼지만 진짜 제목은 [픽션; 작은 나라와 겁나 소심한 아버지와 한심한 도적과 자식보다 고양이를 좋아하는 엄마와 아이를 두고 페루로 가 버린 부모와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새와 위험하지 않은 대결과 이상한 휴대폰과 당신이 모르는 뉴욕의 비밀]이다. 헉헉 …

이 무슨
“ 김 수한무거북이와두루미삼천갑자…”스런 터무니없는 제목인가 싶지만 이는 국내의 괴짜 편집자가 그의 아드로메다를 넘나드는 센스로 붙인 제목이 아니다. 이 책의 원제 역시 [noisy outlaws, unfriendly mlobs, and some other things that aren’t as scary, maybe, depending on how you feel about lost lands, stray cellphones, creatures from the sky, parents who disappear in peru, a man named lars farf, and one other story we couldn’t quire finish, so maybe you could help us out]이다. 헉헉 …



하지만 이런 장난스런 제목과는 달리 일명 잘나가는 글작가들과 잘나가는 일러스트레이터가 뭉쳐서 만든 단편집이다. 닉 혼비, 닐 게이먼, 켈리 링크, 잔 뒤프라우 등 내놓라 하는 작가들이 참여했다. 일러스트레이터 역시 일러스트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인터넷 상에서 종종 보았을 눈에 익은 그림들이 많이 보인다.



환타지한 이야기들로 엮인 이 책은 서문의 레모니 니스켓이 자부하듯 지루하지 않은 이야기들로 가득차 있다. 단 몇 킬로미터 밖에 안되는 작은 나라의 이야기인 닉 혼비의 ‘작은 나라’. 말없이 페루로 떠난 부모님 때문에 혼자 남겨진 그림블의 일상을 기묘한 분위기로 묘사한 클레멘트 프로이트의 ‘그림블’, 세상의 모든 음식을 먹어본 미식가 클럽의 회원들이 유일하게 먹어보지 못한 태양새를 먹기 위해 떠나는 닐 게이먼의 ‘태양새’, 지금은 사라져버린 뉴욕의 6번째 구에 관한 이야기인 ‘여섯 번째 마을’등 책에 실린 단편들은 아기자기한 상상력으로 가득 차 있다.

조금 아쉬운 것은 일러스트작가들의 명성에 비해 그들의 그림이 적절히 활용되지 못한 듯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좀더 적극적으로 일러스트가 사용되었다면 난 이 책을 들고 정말 울어버렸을지도 모르겠다.





영진공 self_fish









한나라당의 영문 논평을 한글로 번역해 보니 …


얼마 전에 한나라당에서 한국의 경제 위기에 대한 외국 언론의 일부 보도에 대해서 반박을 하는 논평을 영어로 냈다는 소식을 듣긴 했으나 … … 뭐, 그러려니 했었다.

그런데, 우연히 <고재열의 독설닷컴>에 포스팅 된 “한나라당 영문 논평, 알고 보니 오류투성이“라는 글을 읽으면서 그 영문 논평이 발표된 사실(fact)의 실체(truth)를 알 수 있었다.

그래서 그 포스팅에서 제안한 내용도 있고 하여, 재미있겠다는 생각에 그 영문 논평을 한글로 번역해 보았다.

참고로, 번역문은 원문의 단어와 어휘, 어조, 주어의 선택 등을 최대한 살려보고자 노력하였음을 밝힌다. ^^

 


원문


  The majority of foreign press are very friendly to Korea.  They are very helpful in lett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know about the good aspects of Korea.

  I feel thankful to them.  But then there are the exceedingly few foreign press which are not like that.  They sometimes do malicious or irresponsible reporting that distorts the facts completely.

  As the financial crisis is engulfing the world so fast and so strong, we cannot say Korea is the only country which remains safe.  But our situation is not critical enough to be the target of irresponsible ridicul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Korea has a relatively solid financial system and sufficient foreign reserves.  The nation’s leader and the people are standing together to overcome these obstacles.  Criticism based on facts we can accept and think of them as constructive.

  But I hope that you will refrain from reporting baseless allegations.  Those kind of reports will not make the Korean economy collapse, and I rather am worried that one or two of those irresponsible reports may create mistrust of the entire foreign press.

You know the saying that one rotten apple can spoil the whole barrel.


외국 언론의 다수는 한국에 대해 무척이나 친근하다.  그들은 국제 사회가 한국의 좋은 면을 알도록 하는데 있어서 굉장히 많은 도움을 주고있다.

나는 그들에게 감사함을 느낀다.  그런데 그렇지 못한 게다가 그 수가 너무나 적어 세기도 힘든 그런 언론들이 있다.  그들은 가끔씩 사실들을 완전히 왜곡하는 무책임하고 악의적인 보도를 할 때도 있다.

지금의 금융위기가 너무도 빠르고 너무도 세게 세계를 뒤덮고 있는데, 우리는 한국만이 무사하게 남아있는 나라라고 이야기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무책임한 조롱의 표적이 될만큼 우리의 상황이 아직 충분히 위태롭지는 않다.

다른 국가와 비교하자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견고한 금융시스템과 충분한 외국 저장고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애물들을 극복하기 위해 이 나라의 지도자와 백성들은 함께 굳건히 서있는 것이다.  사실에 기반한 비판, 그거는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을 건설적인 뭐시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는 당신이 근거 없는 주장을 보도하는 것을 삼가길 희망한다.  저런 류의 보도는 한국식 경제를 몰락시키지 않을 것이며, 그리고 나는 저러한 무책임한 보도들 중 한 두 개가 전체 외국 언론에 대한 불신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는 것 때문에 걱정이 되고 있다.

너 그거 알지, 썩은 사과 한 알이 전체 바구니를 망칠 수 있다는 속담말이야.

이상이다.
감상평이나 첨삭 요구사항이 있다면 가열차게 댓글 쏘아주시기 바란다.

영진공 이규훈


 

인터넷 문체 열전

 

1. 우선 ‘~능’체.

능체는 ‘~하다는’이라는 인용 형식을 자주 쓰는 일본어 번역체에서 나온 거라는.
예를 들면 이런 식이라는.

‘철구쿤은 지금 배가 고프다는’
‘예슬짱은 너무 큐티하다는’

일본 만화를 많이 보고 자란 세대들이 알게 모르게 이런 일본어 번역체에 길들어져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최근에는 SBS 방송자막에서도 심심찮게 구경할 수 있다는.

네티즌들은 이런 문체를 일본 문화 오타쿠들이 쓴다고 해서 ‘오덕후체’ 혹은 ‘덕후체’라고 부르며 이들을 놀려먹기 위해 따라 했다는. 그게 어느새 ‘~능’으로 바뀌었다능. ‘~는’이 ‘~능’으로 바뀌면서 과도하게 ‘하앍’대는 느낌이 있다능.

예를 들면 츠보미짱이 ‘철구쿤 나 너무 외롭다는’이라고 말하는 것보다 ‘철구쿤 나 너무 외롭다능’이라고 말하는 게 더 교태롭고 하앍이라능. ‘~능’은 그런 느낌이라능. 그래서 처음에는 미연시(미소녀 연애 시뮬레이션) 오덕후들 놀리는 거였다능. 정리하자면 오덕후들이 일본 번역체 쓰는 걸 놀리는 차원에서 쓰던 게 지금 정착한 거라능.

2. 다음 ‘~ㅇ미’체.

‘~ㅇ미’체는 원래 명사형으로 문장을 끝내는 ‘~임’체에서 나온 거임. 이 ‘~임’체는 특히 온라인 게임 채팅에서 유래한 거임.

게임이란 특징상 문장을 제대로 타자할 시간이 부족함. 또 채팅상대가 손위인지 아래인지를 확인할 방법도 묘연함. 곧 상대에게 꼬박꼬박 존대를 붙여 ‘~습니다’ ‘~습니까’ 하기엔 시간도 부족하고 상대의 연령도 알 수 없다는 거임.

그래서 게임 유저들은 문장을 짧게 해 타자시간을 줄이고, 존대인지 하대인지 불분명한 명사형으로 문장을 끝내기 시작함. 예를 들면

“지금 아이템 뭐 나옴?”
“도끼 나옴”
“밥 먹음?”
“ㅇㅇ 밥 먹음”

이런 식임. 따라서 굉장히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문체였음.

그런데 여기서 ‘뭥미?’라는 희대의 크리티칼이 나옴.

‘뭥미?’는 ‘뭐임?’의 오타로, 빨리 치려고 할 때 아주 자주 나옴. 따라서 유저들은 오타 ‘뭥미?’를 보고도 ‘뭐임?’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 지경에 이르렀고, 결국은 ‘뭐임?’ 대신 ‘뭥미?’를 사용하기에 이름.

이게 재미있어서 유행하다보니 급기야 ‘뭐임’은 ‘뭥미’로 ‘거임’은 ‘겅미’로 일부러 바꿔서 쓰는 ‘~ㅇ미’체가 번지기 시작한 겅미.

‘~ㅇ미’체의 유래는 이런 겅미.

3. ‘~스빈다’체.

‘~스빈다’체도 ‘~ㅇ미’체의 유래랑 똑같스빈다. ‘했습니다’를 빨리 치려다 보면 매우 자주 ‘했스빈다’로 오타를 치게 되고 이 오타가 자리잡게 된 문체가 ‘~스빈다’체이빈다.

존대이지만 딱딱하지 않고 발랄한 맛이 있어서 저는 매우 자주 이용하빈다.

4. 기타 ‘나영’체, ‘근영’체 등등등

이나영 갤러리에서 쓰는 ‘밥 먹었나영’ ‘우리 나영 언니 너무 이쁘지 않나영’ 등등 나영체가 있고, 문근영 갤러리에서 쓰는 ‘근영이 이쁘근영’과 같은 근영체가 있근영.

기타 소수 듣보잡들은 ‘정신줄 놓았는갑제?’처럼 전 월간조선 사장 조갑제를 연상시키는 ‘갑제체’를 쓰기도 하지만 아마 정신 분빠이 상태인갑제?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언어는 의식을 구성하고, 의식은 언어를 통해 필터링되빈다. 높은 수준의 문명을 만들어내지 못한 인류 원시부족들은 사용하는 언어의 고도화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하빈다. 언어는 그래서 매우 중요하빈다.

예전에 가칭 ‘논객체’라는 게 있었스빈다. 2002년 대선 당시 서프라이즈, 진보누리, 한토마 등에서 활약하는 인터넷 논객들이 만들어 낸 일종의 인터넷 글쓰기의 문체이빈다. 서로 다른 내용일진대 형식은 매우 흡사하빈다.

기본적으로 신문 사설 형식을 빌어왔지만 그보다는 어떤 비장감이나 사명감이 강조됐고, 특정 단어들이 굉장히 많이 사용됐스빈다. 예를 들면 ‘공화국’, ‘살롱좌파’ 등등등.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이런 논객체가 사용되던 2002년 당시 인터넷의 의식은 일정 부분 그 문체 안에서 표출되고 있었다고 생각되빈다. 그리고 역으로 그것은 다시 그 문체 안에 의식을 가둬두는 결과도 만들어내빈다. 개인적으로 이 논객체를 굉장히 고루하게 생각하는데 여러 블로거들의 글을 읽어보면 그 흔적을 느낄 수 있스빈다.

정조 시대에 문체반정이라는 게 있었스빈다. 패관잡기나 소설 따위는 바른 문체가 아니니 쓰지도 읽지도 말라는 것이었스빈다. 정조가 직접 이 문제를 지휘할 정도로 중요한 사건이었스빈다. 단순히 문장론의 문제가 아니었던 것이빈다. 오랑캐 이민족인 청나라의 소설이나 글들 혹은 천주교인 서학의 글들이 들어오면서 소중화라는 주류의 사상이 위협받을 수 있었던 거빈다. 고로 문체는 생각을, 의식을 담는 그릇이었스빈다.

지금도 마찬가지빈다. 꼴보수 싸이트에 들어가서 글들을 읽으면 그들이 사용하는 문장과 단어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스빈다. 이는 개혁이나 진보 세력에서도 마찬가지빈다. 또 최근에는 블로거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문장이나 구성 형식이 흡사한 글들이 많스빈다. 예전에 딴지일보가 욕과 구어를 그대로 사용하며 유행시켰던 ‘딴지체’도 같은 맥락일 거빈다.

그런데 논객체를 비롯 지금까지의 여러 문체들은 기본적으로 국립국어원에서 문제제기할 수 없는 바른 한국말이빈다. 하지만  ‘뭥미?’ ‘겅미’ ‘하냐능’ 등은 바른 한국말이 아니빈다. 그래서 저는 이런 문체들이 더 사랑스럽스빈다.

논객체가 기존 질서의 개혁을 원하는 사람들이 주로 사용했다치면, ‘뭥미’ ‘겅미’ ‘하냐능’은 아예 기존 질서 자체에 신경쓰지 않스빈다. 새로 한글 맞춤법 규칙을 만들며 자기들끼리 낄낄대고 있는 거빈다. 그렇다면 이런 문체만큼 자유롭고 즐거운 문체가 어디 있겠스빈까?

문체는 의식을 반영하빈다. 한 시대에 유행하는 문체는 또 그 시대의 의식을 반영하는 것일 게빈다. 고종석 씨는 말했스빈다.

“모국어는 내 감옥이다”

그의 말마따나 자기가 쓰는 언어는 자기 의식의 한계이빈다. 젊은 네티즌들은 지금 그 한계를 뛰어 넘어 새 규칙을 만들고 있는지도 모르빈다. 그들은 단지 문체가 아니라 문학, 영화, 법, 정치, 역사, 음악 등등 다른 곳에서도 그 한계를 뛰어 넘어 새 규칙을 만드는 상상력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학벌로, 생계로 그들의 상상력을 억압하는 사회가 오히려 우리의 가장 큰 문제가 아닌지 모르겠스빈다.

인터넷 문체 정리하다가 완전 삼천포 스테이지 안착이빈다.
끗이라능.


영진공 철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