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거탑>, “봉건적인 배려” <영진공 71호>

상벌위원회
2007년 3월 30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얀거탑이 막판 클라이맥스를 향해 달려가는 중이다.
장준혁은 암에 걸리고, 모두가 그를 살리기 위해서 노력중이다.

권력과 술수의 규칙으로 움직이던 사람들이 갑자기 순수하게
한 사람의 생명을 걱정하며 자기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모습은
나름대로 감동적이기까지 하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환자인 장준혁 본인에게는 아무도
병세를 알려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의 병에 대해서는 이제 병원 모든 사람이 알고 있고
그의 장인도 알고 친구인 최도영도 안다.
오로지 장준혁 본인만 자기 병을 모른다.

세상에.. 이런 일이… 뭐 드라마에서는 장준혁의 성격을 생각했을때
병을 알게 되면 오히려 병이 더 나빠질 것 같아서 라는 변명을 대기는 한다.
그래도 자기 병에 대해서 자기만 몰라도 되는 것일까?
(덕분에 장준혁은 심각한 병중에도 혼자 차를 몰고 다니는데
그러다가 수술하기 전에 교통사고로 죽을 것 같아 아슬아슬하다.)

적어도 예전에 이런 일은 실제로 벌어지곤 했다.
내 외할머니가 그렇게 돌아가셨다고 들었다.
위암에 걸리셔서 시한부 선고를 받았는데 결국 죽을 때까지
본인은 위염으로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한 공동체의 속성은
그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할이나 위치, 자신이 할 일,
간단히 “자기 자신”에 대해서 본인이 더 잘 알고 있는지
아니면 그가 속한 공동체가 더 잘 알고 있는지에 따라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할 일을 나 자신보다 먼저 주변사람들이 더 잘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가 알고 있는 것 보다 주변에서 알고 있는 것이 더 정확한 사회의 예는
봉건적인 사회를 들 수 있다.

그 사회에서는
내가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면 (내 생각이 어떻든지 간에) 내가 할 일은 농사일로 정해진다.
내가 사는 지역의 영주, 집안의 가장이 믿는 종교에 따라서 내가 믿어야 할 종교도 결정된다.
내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는 내가 아니라 내 주변 사람들이 판단한다.

이런 사회라면 심각한 병에 걸린 사람에 대해서도
그에게 가장 옳은 대응책이 무엇인지는 그가 결정할 것이 아니라
그 병에 대해서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결정할 일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당연하다.
대신 이 과정에서 환자 본인의 권리는 아무도 고려하지 않는다.
어차피 개인의 의지나 판단이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장준혁이 속한 사회도 그렇다.
따지고 보면 그가 과장이 된 것도 그의 판단이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루어진 일이었다.
그가 과장이 됨으로써 자기 권한이 늘어난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그가 발휘할 수 있는 영향력은 늘어났지만, 그가 신경써야 하는 윗사람들도 늘어났다.
더 높이 올라갈수록 더 많은 빚을 지고 자유는 더 줄어든다.
결국 그는 여전히 조직의 부속품이었다. 단지 부속품으로써의 지위가 올라갔을 뿐..
부속품이 자기 생사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겠는가. 그 부속이 속한 조직이 판단할 일이지.

(우리나라 부모들이 자살을 할 때 애꿎은 자식까지 살해하는 것도 같은 논리의 결과다. 그 아이들의 의지는 중요하지 않다. 봉건사회에서 자식의 생사여탈권은 어차피 부모에게 있으니까…)

그러나 다른 방식으로 돌아가는 사회도 있다.
남들이 뭐라고 하던, 내가 하고 싶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정답이고
부모의 종교나 이념과는 상관없이 내 종교나 이념을 스스로 찾아내야 하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는 바로 나 자신 말고는 어느 누구도 말할 수 없는
그런 사회 말이다.

여기서는 어떤 병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는 제1의 권한 역시 환자 본인에게 있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환자는 자기 병에 대한 모든 것을 가장 먼저, 가장 정확히 알아야 한다.
환자가 내리는 판단이 어떻든, 그 선택과 판단은 그의 권한으로 존중되어야 한다.
이런 사회의 기준에서 그 권리를 박탈하는 모든 행위는 범죄가 된다.
(정확히 말해 현대사회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지금 저 병원 구성원들은 집단으로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장준혁이 피고로 걸렸던 이전 소송 보다 이 건이 아마 더 클지도 모른다)

물론 실제 병원에서는 환자들이 자기 병에 대해서 스스로 판단하기를 꺼리는 경우가 많다고도 한다. 의사가 모든 것을 알아서 해주기를 바라는 환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그래도 그런 환자들 마저도 자신의 병에 대해서는 알고 싶어한다.

그런데 이 불쌍한 장준혁은 여전히 자기가 어떤 상황인지 전혀 모르고 있다.
그는 부속품으로 시작해서 결국 부속품으로 끝나고 마는가.

상벌위원회 상임 간사
짱가(jjanga@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