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나잇, 굿 럭



 


 


 


2006년 국내 개봉한 영화 중에,


“Good Night, and Good Luck.”이 있다.


 


그해 아카데미 시상식 6개 부문에 후보로 오르고 평론가들의 찬사를 한 몸에 받은 영화, 조지 클루니가 감독, 각본에 직접 출연까지 한 영화, 흑백의 차분한 영상미에 다이안 리브즈(Dianne Reeves)의 멋드러진 Jazz가 찰랑대는 영화,

그런데 이 영화,


사실 국내에서는 개봉관도 제대로 못 잡았고 한 달도 못 돼 간판을 내렸다.


 


 



 


 


 


우선 이 영화가 다루는 인물들에 대해 살펴보자면,


 


 



 


먼저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에드워드 머로우(EDWARD R. MURROW).
1908년에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출생하여 1965년 뉴욕에서 숨을 거뒀다.
영화에 나오는 대로 미국 언론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으며 CBS 본사 로비에는 그의 동상이 놓여져있다 한다.


 


라디오 프로그램 “Hear It Now”를 TV로 옮긴 “See It Now”를 진행하며 소위 “PD 저널리즘”의 전형을 만들어 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1961년에는 케네디 대통령의 지명으로 미국 해외공보처(USIA) 처장으로 임명되어 1964년까지 재직하였다.

* USIA는 1999년에 미 국무부에 편입되었는데, VOA 방송 담당부서이고 미국 F 비자 발급기준을 정하는 부서이기도 했다.



 



 


 


그리고 에드워드 머로와 함께 “See It Now”를 제작했던 프레드 프렌들리(Fred W. Friendly).
CBS 뉴스국장을 지냈고 미국 내 공영방송인 PBS 설립에 중대한 역할을 한다.
1966년에 그는 CBS가 미국의 베트남 개입과 관련한 상원 청문회 대신에 “내 사랑 루시”를 방영하자 이에 항의하여 회사를 그만 둔다.



 


또 한 사람, 그의 동료로 나오는 뉴스 앵커 돈 할란벡(Don Hollenbeck).
2차 세계 대전 시 이탈리아 전선 종군 방송으로 명성을 얻었던 그는,
매카시 상원의원의 잘못을 지적하는 에드워드 머로의 방송 직후에 뉴스를 진행하면서 공개적으로 머로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로 인해 할란벡은 잭 오브라이언(Jack O’brian) 등 매카시를 지지하는 우익 칼럼니스트들에 의해 공개적이고 집중적인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 비난이 계속되던 와중에 그는 1954년 자신의 집에서 자살을 한다.


 


 


이 영화는 위 인물들이,


1950년대에 자신의 정치적 목적에 따라 사실을 왜곡/과장하여 무고한 사람들을 공산주의자로 몰아서 미국 사회를 극도의 우경화로 몰고갔던,


 


후에 매카시즘이라 불리는 狂風을 주도했던 죠셉 매카시 상원의원을 TV 프로그램을 통해 비판하면서 벌어졌던 에피소드를 허풍이나 과장 없이 차분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


 


 




 


 



사실 이 영화가 전하는 메시지는 2006년 개봉 당시 대한민국의 관객들에게 어떤 공감도, 분노도, 긴장도 전해주지 못했다. 그저 먼 옛날 남의 일이니 말이다.


 


그런데 만약 이 영화가 80~90년대의 우리 관객, 아니 개봉 이후 겨우 6년이 지난 지금의 우리 관객들에게 보여진다면 과연 어떤 반응이나 반향이 나올까.


그리고 지금의 우리 젊은 관객들에게 매카시즘이란게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질까.



자신의 생각과 신념 때문에 인권이 침해되고 인신이 구속된다는 것.
자신의 생각과 신념이 단지 일부 기득권 층의 그것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공권력에 의해 위해를 당하고 그것이 당연시 되는 것.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권력의 이익에 반한다하여 감시당하고 견디기 힘든 불이익이 닥쳐드는 것.


정도의 차이는 있다고 해도, 과연 지금 그게 먼 옛날 남의 일이라 할 수 있을까.


 


80, 90년대에 우리들은 이런 얘기를 하곤 했었다.
미국은 그나마 기본적인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다,
미국의 언론인들은 하고자 하는 말은 하고야 마는 언론인의 자세를 가지고 있다,
우리도 이러한 언론의 자유, 언론인의 자세를 원한다,



허나 그게 가능하기 위해 수많은 평범하고 성실한 미국인들이 당해야했던 희생과 눈물이 있었음을, 그런 고통 속에서 얻어낸 교훈이 있었기에 더욱 치열하고 소중한 기본권이라는 건 제대로 살펴보지 않으면서 말이다.



 


그러던 그들이 2005년 즈음에 다시 그걸 꺼내 되돌아보며 탄식했었다. 조지 클루니는 당시 미국 사회에 당면한 문제와 이에 대응하는 언론의 자세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자고, 함께 메시지를 만들어 보자고 이 영화를 만들었다.


 


그때 우리들은 이런 영화에 좀체로 감정이입이 되질 않아 애써 졸음을 참으려 애쓰다가 기어이 잠이 들거나 끝까지 보더라도 누가 이런 영화를 보자고 그랬는지 일행과 다투거나 했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떠한가 ……


 


 


 


내가 아는 모든 이들에게 행운을 빌어본다.


 


Good Night, adn Good Luck.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