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 케이스”, 현대판 무당들


굳이 옛날 일을 들추어낼 필요가 있을까?
아니 그렇다 하더라도, 그걸 들추어내면 제대로 판단할 수 있을까?

1970년대 미국의 한 고아원에서 원아 한 명이 죽은 사건이 있다.
범인은 아직 잡히지 않았다.
그런데 이 사건을 파헤치다 보니 별의별 이야기가 다 나온다.

대부분의 원아들은 체벌을 신조로 삼는 수녀에게 다양한 도구로 죽기 직전까지 맞았었고,
어떤 아이들은 병원에 가서 방사능 처리된 콘플레이크를 먹고 불임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심지어 어떤 애는 입양되기에는 너무 나부댄다는 이유로 전기충격치료를 받다가 결국 죽었다.
게다가 그 애는 ……

『Cold Case』라는 미국에서 제작하는 드라마 속의 이야기다.
『C.S.I 』와는 달리, 이 드라마에서 파헤치는 범죄의 진실은 아주 오래된 것들이다. 최소한 10년 전 범죄, 어떤 경우엔 50년 전의 미해결 사건이기도 하다. 그래서 제목도 따끈따끈한 사건(Hot Case)이 아니라 이미 식어버린 사건(Cold Case)이다.

 
이 드라마의 주인공 ‘릴리 러쉬’ 역을 맡은 “캐서린 모리스”



오래된 사건을 파헤치는데는 크게 세가지 문제가 나타난다.

하나는 그 사건의 기록들이 너무 오래되어서 사라지거나 이미 남아있는 기록도 믿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관계자들의 증언도 그렇다. 50년이라면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변형되고 윤색되어도 여러 번 될 시간이다. 고로 한 증인의 증언을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증언해줄 수 있는 증인이 남아있기라도 하면 그나마 다행이다. 증인들 대다수는 죽어버렸다. 증거들도 거의 해석불능이거나 어떤 것은 사라져버렸다.

이 첫 번째 이유가 현실적인 제약이라면, 두 번째는 보다 인식론적인 장벽이다. 그것은 그 당시 맥락에서 벌어진 사건을 지금 맥락에서 판단해야 한다는 점이다.

『콜드케이스』의 이야기로 돌아가보자.
사건이 일어났던 1970년대는 미국도 냉전이 한참이던 시기이다. 당시에 핵무기는 인류 이전에 미국의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무기였고, 그 무기의 대응책을 찾아내기 위한 실험은 (비록 그 실험에 아무것도 모르는 고아들을 데려다 썼다고 해도) 애국적인 행동이었다. 적어도 오늘 에피소드에 등장한 의사는 그렇게 말한다. 그것은 애국이었다고 ……

체벌도 그렇다. 당시에는 체벌이 당연한 훈육수단이었다. 닥터 스포크가 쓴 육아책이 전 미국에 퍼지기 전까지는 애들은 때려서 키워야 제대로 큰다는 믿음이 상식이었다. 그래서 그때는 애들을 사랑한다면 때려야 했다.

마지막은 보다 본질적인 문제제기다.
이미 지난 일을 끄집어내서 뭘 어쩌겠냐는 거다. 이미 공소시효가 지났으므로 처벌할 수도 없다. 죽은 사람은 죽은 거고, 그거 때문에 지금까지 살아온 사람들의 삶을 뿌리부터 건드려야 한다. 그런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지 않느냐 ……

여기에 우리나라에서 그닥 유명하지도 않은 드라마 얘기를 푸는 건, 이 드라마에서 다루는 위의 두가지 문제가 우리나라의 과거사 규명에 제기되는 문제와도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나라의 허술한 기록시스템은 당시의 증거들도 오리무중으로 만들기 십상일 것이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두 번째의 것이다.

2차 대전 종전 이전까지 대다수의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본이 계속 우리나라를 지배할 것이라고 믿었다. 일본의 식민지배는 30년이 넘게 지속되어왔다. 30년이면 한 세대가 교체되는 기간이다. 즉, 일본의 식민지 환경에서 태어나서 그 환경을 당연히 여기며 자라난 세대가 활동인구의 절반이 넘는 시점이란 뜻이다.

당시 일본의 위치는 마치 지금 우리에게 미국의 위치와도 같았다. 최소한 사람들에게 그것은 피할 수 없고 변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여졌다. 고로 일부의 인간들은 그런 맥락에서 벌어진 행동들은 친일과 일상 사이의 경계에 걸쳐 있다고 주장을 한다. 즉, 당시에 일어난 사건은 당시의 맥락에서 판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어떻게 해야 할까? 사실, 대답은 간단하다.
시대가 달라져도 탓할 수 있는 것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체벌은 당시의 교육방식이라고 인정할 수 있지만, 때리다가 애가 죽으면 과실치사인 것은 변함없다. 핵무기에 대한 대응방법을 실험하는 거야 애국이겠지만, 그렇다고 아무것도 모르는 애들을 불임으로 만들어버려야 했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과거사도 그렇다. 어쩔수 없었던 것도 있고, 당시엔 당연했던 것도 있다. 그러나 그런걸 다 빼고나서도 남는 잘못도 있다.

내가 알기로 과거사 규명은 그때 치부해서 재벌이 된 사람의 재산을 뺏겠다는 것도 아니고, 천황폐하 만세를 외친 신문을 처벌하겠다는 것도 아니다. (그건 불가능하다) 단지 그때 그랬다는 것을 그리고 그게 잘못이었다는 것을 서로 인정하자는 것이다.

인간은 과거 없이는 존재하지 못한다. 인간의 정체성을 이루는 것은 결국 과거의 경험이다. 굳이 지난 일을 들추어낼 필요가 없지 않느냐고? 인간이 매일같이 하는 게 바로 그거다. 해결되지 않은 과거를 곱씹기 ……
자기가 과거에 한 일, 과거 경험을 통해서 현재의 나를 정의하고 행동하기 ……

인간에게 과거는 없다. 최소한 그것이 그의 머릿속에 남아있는한,
그것은 과거가 아니라 그의 현재를 정의하고 구속하는 틀이다.

『콜드케이스』에서 수사관들이 굳이 다 지나간 사건을 해결해야 하는 이유도 그거다. 그 사건의 해결은 이미 식어버린 사건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 맺힌 응어리를 푸는 일이다.

사건이 해결된 후, 드라마 속의 주인공들(사건의 당사자들)은 갑자기 20년전 모습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그 사건이 해결된 후련함을 누린다. 이 장면은 마치 일본 만화에서 귀신이 성불하는 장면을 보는 것 같다. 그들은 그 해결되지 못한 시점에 묶여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사건이 해결되면서 과거의 구속에서 벗어난 것이다. 그런다고 죽은 사람이 돌아오는 것도 아니고 현실의 삶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지만.


 현대판 무당들

이 드라마 『콜드케이스』는 수사드라마라기 보다는 일종의 심리치료 드라마다. 이 드라마의 주인공들은 구원(舊怨)을 꺼내어 해결해주는 현대판 무당이다. 이들이 해결하는건 결국 정신건강의 문제이다.

뭐 아직도 우리들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에 급급하고 그걸 위해서 과거따위는 거들떠 볼 여유가 없다면, 지금까지 그랬듯 과거는 넘어가자.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제 먹고사는 문제를 벗어났다면 과거를 현재에 비추어 계속 조명하여야 할 것이다.

웃긴 건 과거사를 규명하기 싫어하는 이들이 오히려 과거사를 걸핏하면 들먹이는 경우가 많다는 거다. 과거를 통해 현재의 인간을 정의한다는 원칙은 사실 그들이 더 고지식하게 지킨다. 그래서 어쩌면 그들이 과거사 규명을 그렇게 싫어하는건지도 모르겠다만, 그런 그들 때문이라도 과거사 규명은 필요하다.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