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터법과 18세기 프랑스

18세기 도량형은 나라마다 달랐을 뿐 아니라 한 나라 내에서도 지방마다 서로 달랐다. 다양한 도량형은 소통과 교역을 방해하고 국가의 합리적 행정을 방해했으며 다른 나라의 학자들끼리 실험결과를 비교하는 것 또한 어렵게 했다. 당시 앙시앵 레짐 하의 프랑스에서도 약 800개의 이름으로 25만 개나 되는 도량 단위가 쓰이고 있었다. 프랑스는 도량형을 통일하여 통화 개혁과 경제적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미터법을 제정하기로 하였다. 이 미터법은 국가와 인종을 초월하여 세상 모든 이들의 척도가 되는 도량형을 정하기 위해 영구적인 지구의 크기를 그 기준으로 삼기로 결정하였다.  1792년 들랑브르와 메셍은 자오선의 거리를 측정하러 각각 남북으로 길을 떠나 7년간 됭케르트와 파리, 바르셀로나로 이어지는 자오선 호의 거리를 재고 이를 바탕으로 북극과 적도 사이 거리의 1000만분의 1을 1미터로 정하였다. 많은 사건들 속에서 프랑스는 1840년 1월 1일 미터법 사용을 의무화하였다.


하지만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도량형의 다양성은 비합리적이거나 비정상적인 관행이기는 커녕 앙시앵 레짐(프랑스 구체제)의 경제를 지탱하는 뼈대였다. 많은 도량 단위들, 특히 물품 제작에 관계된 도량 단위들은 그 기원에 인간의 필요나 이해관계에서 유래한 인체 측정적 의미를 가졌다. 그렇다고 그 단위들이 신체의 크기, 이를테면 피트는 왕의 발 길이나 사람의 평균 발 길이를 직접 반영한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오히려 앙시앵 레짐의 도량 단위는 한 사람이 주어진 시간에 할 수 있는 노동량을 반영한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프랑스 어느 지역에서 석탄의 계량 단위로 쓰인 ‘샤르주’는 하루 생산량의 12분의 1을 의미했다. 이 인체 측정적 단위들은 실제로 땅에서 일을 하거나 물건을 만드는 사람들과 일차적인 관련이 있는 단위들이다. 경작지는 흔히 ‘주르네’로 표시됐는데, 이는 농부가 하루 동안 쟁기로 갈아엎거나 수확할 수 있는 크기의 땅을 나타냈다. 따라서 작업장이 8주르네 포도밭을 수확하기 위해 농부 네 명을 고용한 경우, 일꾼들은 각자 이틀치 품삯보다 적게 받아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런 의미에서 앙시앵 레짐의 인체 측정적 도량 단위들은 생산성을 조정하는 역할을 했고 생산성 자체가 실은 평가될 수 있는 하나의 가치에 다름 아니라는 생각을 은폐하는 구실을 했다.


이런 이유로 일부 18세기 지주들은 노동 단위보다는 기하학적 단위로 소유지를 측량하기 시작했고 이를 위해 측량사를 고용했다. 지주들은 새로운 면적 단위로 생산성을 관리하고 이익을 챙기기를 원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생산성 향상을 판별할 수 있는 정보가 사라지고 만다. 왜냐하면 인체 측정적 단위들을 근대적 단위로 바꾸는 과정에서 앙시앵 레짐의 생산성을 규정하는 정보 자체가 사라져 버리기 때문이다. 이처럼 앙시앵 레짐의 단위들은 적절한 사회적 균형에 대한 공동체의 감각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새 도량법을 도입하려는 시도는 그런 사회적 균형을 무너뜨리려는 위험한 일로 여겨졌다.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농부들은 측량사들을 싫어했다. 블랑브르와 메셍이 측량 여행 동안 그처럼 깊은 불신에 시달린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그들 역시 일종의 측량사였고 농민 경제의 활력소였던 인체 측정적 단위들을 새로운 단위로 대체하려는 자들이었다.

<참고 도서> 캔 애들러 저, 임재서 역/ 만물의 척도/ 사이언스 북스/ 2008

영진공 self_fish


‘스위트 알라바마 (2002)’, 여배우 하나만으로도 충분해

헐리웃에서 여배우가 자신의 단독 주연 작품을 찍는 경우는 말 그대로 가뭄에 콩 나는 일만큼 흔치 않은 일이다. 헐리웃 장르
영화에서 ‘주연급’ 여배우들이 맡는 배역의 대부분이 자신들보다 훨씬 많은 개런티를 받고 출연한 주연 남자배우의 상대역이고,
블럭버스터가 아닌 멜로나 가족 드라마인 경우에 한해 남녀 두 배우가 비슷한 비중으로 출연을 할 수 있게 된다.

<스위트 알라바마>는 <금발이 너무해>(Legally Blonde, 2001)에 이은 리즈 위더스푼의 2002년 단독 주연 히트작이다. 출연료를 얼마나 받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헐리웃 못난이 삼총사 중에 한명(나머지 두 명은 줄리아 스타일스와 릴리 테일러)인 그녀가 남자배우들을 들러리로 세워놓고 포스터에 본인 한사람의 이름만  내건 상태에서도 관객몰이에 성공한다는 얘기다.

사실 <스위트 알라바마>를 비롯한 리즈 위더스푼의 주연 영화 대부분은 전형적인 헐리웃 장르 영화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로 손익분기점을 낮추고 관객들의 대중적인 취향에 달짝지근 잘 들어맞는 이야기 구조를 갖춘 상태에서 블럭버스터들의 틈바구니를
공략하는 마케팅 전략의 결과물이라고 평가절하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매우 성공적인 것이고 성공적인 결과의 중심에 리즈
위더스푼이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앞에서 말한 영화 출연료의 성차별은 미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영화 산업 내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일뿐, 그 현상을 있게 하는 베이시스는 결국 시장의 요구이기 때문이다. 사실 영화 만큼 시장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이 또 어디 있단 말인가. 시장이 ‘다른 여배우들은 안그런데, 리즈 위더스푼이라면 그녀 하나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하니까 리즈 위더스푼의 단독 주연 영화가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스위트 알라바마>는 잘나가는 헐리웃 못난이 여배우의 재능을 지켜보는 즐거움과 함께 미국 내 지역갈등(?)의 단면을 고찰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준다.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만큼의 갈등 상황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겠지만 역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동북부와 동남부 사이에는 영어 발음의 차이 이상의 생활방식과 기타 문화적인 차이가 상존하고 있는데, <스위트 알라바마>는 그런 차이에서 오는 재미를 잘 살린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못난이도 알라바마는 아니지만 테네시주 네쉬빌 태생이라더라.

영진공 신어지

맞춤법이 뭐야? 먹는 거야?

인터넷에서 ‘소통’을 할 때 반드시 맞춤법을 지켜야 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일부러 새로이 글과 말을 만들어 써야 ‘쿨’해 보일 까닭은 더욱 없지 않을까.

자신의 논리를 글로 보여줌에 있어 잘 갖춰진 맞춤법이 받쳐준다면 금상에 첨화까지는 아닐지라도 그 글의 무게가 더욱 단단해짐은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글을 적을 때 자주 헷갈려하는 몇 가지를 정리해 보았으니 이를 널리 알려 세상에 이롭게 하려 함이니라 … (응?) 

* -게

‘것이’의 준말일 경우에는 띄어씁니다.

밥 먹게 비켜라 : 요건 어미이므로 붙여쓰고

먹을 게 없냐? : 요건 ‘것이’의 준말이므로 띄어쓰고

* -만하다

‘만하다’는 이대로 기본형이므로 붙여 씁니다.

먹을 만하다 : ‘먹을만 하다’가 아닙니다.

  • ‘만’은 조사, 의존명사로도 쓰입니다.
    의존명사일 경우 띄어쓰고, 조사일 경우 붙여 씁니다.
    시간을 나타낼 때는 의존명사, 한정/제한/강조를 나타낼 때는 조사입니다.

하루 만에 나타났다 : 시간을 나타내는 의존명사
밥만 먹는다 : 강조하는 의미의 조사

  • 이외 ‘만하다’와 비슷한 단어들이 ‘척하다’ ‘듯싶다’ ‘양하다’ 등입니다.
    이 단어들은 ‘척 하다’ ‘듯 싶다’ ‘양 하다’가 아닙니다.

바보인 척하다 (척 하다 X), 바보인 듯싶다 (듯 싶다 X), 바보인 양하다 (양 하다 X)

* -데

이 놈도 어미와 의존명사로 쓰입니다. 어미일 때는 붙여쓰고 의존명사일 때는 띄어씁니다.

밥 먹는데 방해하지 마라 : 어미라 붙여 씁니다.
밥 먹는 데가 어디냐? : 장소를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니 띄어 씁니다.

비슷한 예로 ‘-지’도 있습니다.

그가 날 좋아할지 모르겠다 : 어미이니 붙여 씁니다.
그가 날 좋아한 지 오래됐다 : 시간을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니 띄어 씁니다.

‘오래됐다’도 ‘오래 됐다’가 아닌 ‘오래되다’란 기본형이므로 붙여 씁니다.

* -데/-대

‘난 밥 먹었는데’ VS ‘난 밥 먹었는대’
‘엄만 밥 먹었데’ VS ‘엄만 밥 먹었대’

어느 게 맞을까요?
자기 경험을 말할 때는 ‘-데’, 남의 경험을 전할 때는 ‘-대’입니다.
그래서 위는 ‘난 밥 먹었는데’가 맞고, 아래는 ‘엄만 밥 먹었대’가 맞습니다.

* 못하다

‘술을 못 먹는다’에서 ‘못’은 부사이니 띄어야 하지만 ‘술을 못하다’는 ‘못하다’ 자체로 형용사이니 붙여 씁니다.

비슷한 예로 ‘못살다’ ‘잘살다’ ‘잘하다’ 등이 있는데 이 단어들은 그대로 기본형이니 ‘못’이나 ‘잘’을 띄어쓰면 안됩니다.

나는 못살았다 : 나는 가난했다는 뜻입니다.
나는 못 살았다 : 나는 살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 ‘들’

사람들이 많다 VS 사람 들이 많다
개, 돼지, 소들이 많다 VS 개, 돼지, 소 들이 많다.

각각 어떤 게 맞을까요?
위에는 ‘사람들’이 맞고 밑에는 ‘소 들’이 맞습니다.

두 가지 이상의 사물을 나열할 때 붙는 ‘들’은 명사이고 위에는 그냥 복수를 나타내는 접사이기 때문이죠.


아래와 같은 문장을 읽는다고 치면

옷이 더럽다
옷 안이 더럽다

어떻게 차이가 있을까요?

[오시 더럽따]
[오단이 더럽따]

이렇게 읽어야 바른 읽기가 됩니다.
‘옷’ 다음에 똑같이 ‘ㅇ’이 오는데 발음이 달라집니다.
위에서는 ‘ㅅ’ 아래서는 ‘ㄷ’으로 읽어야 하는 겁니다.

우리말 쉽지 않습니다.
속어, 비어를 사용하더라도 최대한 어근을 살리는 센스를.

  • ‘장자연 리스트가 도는 군요 X’ … ‘도는군요 O’

영진공 철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