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름”, 시나리오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시켜주는 영화

 



『소름』은 당시(2001년)만 해도 신인감독과 신인배우(“김명민”), 그리고 조연이나 단역만 맡으며 서서히 주목을 받고는 있었으나 별 인지도는 없었던 신인에 가까운 배우(“장진영”)가 모여 만들어진 영화다.

단단한 시나리오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될텐데, 다소 아쉬운 점들(“장진영”의 시체 위에서 비로소 “장진영”의 ‘숨겨진 이야기’를 플래시백으로 구겨넣거나, 편집 리듬에 있어 너무 조심스러워 정작 ‘클래이맥스’에서 강력한 파워가 부족하거나 등)에도 불구하고 차곡차곡, 치밀하게 설정을 쌓아가면서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와중에 서서히 비밀을 드러내는 솜씨가 일품이다.

‘출생의 비밀’이란 온갖 드라마에서 전가의 보도처럼 휘둘러대는 클리셰 중의 클리셰지만, 그 클리셰를 이토록 새롭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써먹을 수 있었던 힘은 설정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설정을 써먹는 방식인 것이다. 화면의 소소한 미장센들과 조명들에도 매우 공들인 티가 난다. 사운드에도 매우 공을 들였다는데, 출시된지 오래된 비디오라 그런지 내가 빌린 비디오의 특히 사운드 상태가 별로 안 좋아 이것은 확인되지 않았다.

감독의 솜씨도 솜씨려니와, “김명민”과 “장진영”은 왜 그들이 ‘잘 나가는 배우’들이 될 수 었는지를 충분히 수긍하게 해주는 연기를 보여준다. “김명민”은 공식적인 첫 데뷔작임에도 범상치 않은 연기를 보여주는데, 『소름』의 연기를 보면서 나는 그가 (물론 이순신 역할로 많이 깨졌다고는 하나) 주로 도시적인 역할을 맡으면서 이미지가 굳어지는 것이 안타까울 정도로, 분노와 광기를 감추고 있는 도시 하층민의 ‘촌스러운’ 모습을 능란하게 보여주는 것에 놀랐다.

이소룡 추종자의 괴상한 비명과 순간 섬뜩한 말 한 마디, 그리고 완전히 사람 달라보이게 만드는 광기의 눈빛, 안정적인 발성과 목소리 …… “장진영”은 또래 여배우들이 고고하고 예쁘고 고상하게 보이는 것에 주력하는 것과 정확히 반대로, 처참하고 비참하며 악밖에 남지 않은 – 피해자, 그러나 일방적인 피해자이기만 하지 않은 – 도시 하층민 여성을 혼신을 다해 연기한다. (그럼에도, 이건 배우들의 잘못은 아니지만 두 배우 몸이 너무 좋아서 무얼 입어도 세련되고 멋지더라. 도저히 도시 ‘하층민’ 같지 않은 옷태가 좀 거슬렸다.)

귀신이 상정되지만 귀신은 한번도 나오지 않는 영화, 그럼에도 비주얼과 사운드, 그리고 이야기만으로 오싹한 소름을 경험하게 하는 새로운 호러영화. 그리고 이 속에 담은, 분노와 절규와 광기와 악으로 번득이는 도시 하층민 남녀의 사랑이 담긴 비극적인 러브스토리. 분명 『소름』은 새로운 가능성을 담은 새로운 한국영화였다. 그리고 그 흐름을 잇는 후속 영향작들은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영진공 노바리

“하하하”, 홍상수식 남녀탐구생활 경남 통영편






홍상수 감독의 10번째 작품 제목은 그야말로 신선의 경지다. 한자로 여름을 뜻하는 하(夏)자를 세번 사용해서 웃음 소리의 의성어를 제목으로 사용했고 – <극장전>(2005)에 극장 앞이란 뜻과 극장 이야기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었듯이 <하하하>도 웃음 소리인 동시에 여름 이야기라는 뜻도 된다 – 영화가 끝날 때 등장 인물들은 각자의 에피소드를 마치며 모두들 하하하 하고 웃는다. 물론 제목처럼 관객들에게도 하하하 크게 웃을 일을 제공하는 영화가 <하하하>이기도 하다.



어느 시점부터인가 홍상수 감독의 영화는 민화나 풍속화가의 그림을 보는 듯한 해학적인 분위기를 띄면서 갈수록 관객 친화적으로 변모해왔고 그 변화는 <하하하>에서 더욱 깊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김상경의 캐릭터는 거의 정신적으로 덜 자란 애어른에 가까울 지경이 되었는데 – 그런 캐릭터에 맞춰 둥글둥글하게 살집을 찌우고 출연했다 – 그런 엉뚱함 덕분에 영화 전체가 더욱 재미있어지기는 했지만 홍상수 감독의 영화에서 처음으로 작위적인 느낌을 받게 된 이유가 되기도 한다.

홍상수 감독 영화의 관객 친화적인 성향은 나레이션의 활용을 통해서도 드러나는데 관객들에게 극중의 상황을 명시적으로 해설해주기까지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는 데에는 효과가 꽤 있는 것 같다.

<하하하>는 선후배 사이인 문경(김상경)과 중식(유준상)의 술자리 대화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형식을 띄면서 매번 두 인물의 나레이션이 섞이게 된다.











홍상수 감독의 영화는 매번 크게 다를 바 없는 내용을 다루곤 한다. 남자(들)와 여자(들)가 등장하고 이들이 만나서 관계를 – 다양한 의미에서의 – 맺는다. 이제는 관객들조차 홍상수 감독의 영화에서 새로운 내용을 기대하지 않는 듯 하다. 그 대신 이전 작품들에서와 거의 다를 바 없는 남녀들의 이야기를 새 영화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재구성해서 풀어가는지를 즐기기 시작한 것 같다.

이것은 지난 15년 간의 작품 활동을 통해 홍상수 감독이 관객들을 – 비록 일부 관객층에 제한되는 것에 불과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 학습시켜온 일종의 성과라는 생각마저 든다.

그렇다. 홍상수 감독의 영화를 지속적으로 보아온 관객들은 처음으로 의식적인 학습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영화의 형식미라는 것을 내용 보다 우선시해서 즐길 수 있게 된 사람들이 아닐까 싶다. 마치 10 여 년 이상 동일한 소재로 그림을 그려온 화가처럼, 홍상수 감독도 매번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조금씩 다른 형식으로 변주하며 작품을 만들어 냄으로써 자연스럽게 영화를 예술 감상법으로써 대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할 수 있는게 아닐까.











홍상수 감독 영화의 형식미라는 것은 스토리텔링의 근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댓구의 변주법’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 예술만의 고유한 형식 미학을 찾기 위해 온갖 고민과 실험을 해온 다른 분들의 노고에 비하면 일견 시시하게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홍상수 감독의 영화의 형식미는 그것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관객들과 제법 조응을 잘 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렇게 댓구의 변주를 매번 새롭게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하하하>는 다시 한번 큰 재미를 선사하는 작품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경과 중식이 청계산에서 막걸리를 마시며 각자가 경남 통영에서 겪었던 일을 한 대목씩 들려주는데 두 사람은 통영이라는 같은 공간에서 거의 비슷한 사람들을 만나고 왔으면서도 서로 간에는 한번도 마주치지 않는 기묘한 플롯을 보여준다.

이들이 각자 다닌 식당, 모텔, 커피숍 등은 모두 동일한 장소일 뿐만 아니라 사실상 거의 같은 시점에 일어나는 일들임에도 두 사람은 천연덕스럽게 “아 그런 일이 있었구나. 자 마시자”라며 씨퀀스 사이사이에 흑백의 스틸컷으로 등장해 추임새를 넣곤 한다. 어찌보면 두 사람의 대화는 이승과 저승의 중간 어딘가에서 나누고 있는 듯한 느낌마저 주는데 이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생시 같고 막상 이야기를 하고 있는 두 사람은 이 세상 사람 같게 느껴지지가 않으니 이 역시 <하하하>의 독특한 형식적 재미가 아닌가 싶다. 그렇기에 <하하하>에서는 그 놈이 다 그 놈 같고 그 년들도 다 같아 보인다.











포스터를 통해 김상경, 유준상, 문소리가 출연하는 것은 미리 알았지만 김규리(a.k.a 김민선)의 등장은 와, 정말 즐거웠다. <아이언맨 2>에서 스칼렛 요한슨이 우물에 빠진 영화 한 편 건진 정도까지는 못되었지만 덕분에 출연진들의 평균 연령대가 조금은 낮아진 효과가 – 홍상수 감독의 영화가 살짝 회춘한 듯한 – 분명히 있었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2009)에서 엉까지 말라면서 버럭대던 유준상이 이번 작품에서 당당히 주연 자리를 꿰어찼듯이 김규리도 다음 작품에선 주연으로 나와주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을 가져본다.




그러고 보면 홍상수 감독의 영화의 등장 인물들은 그 연령대가 갈수록 다양화되고 있다. <하하하>에서 김상경, 유준상, 문소리, 예지원이 주력 부대라면 김규리와 김강우는 비교적 젊은 축이라 할 수 있고 여기에 아무나 마음에 들면 다 자기 양녀, 양아들로 삼는 – 이것이 바로 조문경과 왕성옥의 비극. 하하하 – 문경의 어머니로 윤여정이 주연급 조연으로 등장한다. 윤여정과 비슷한 연령대로 기주봉이 출연하긴 했는데 아쉽게도 이쪽에서는 별다른 에피소드가 나와주질 않았다. 문경의 꿈 속에 이순신 장군으로 등장하는 김영호도 <밤과 낮>(2007)에서 처음 홍상수 감독 작품과 인연을 맺은 이후 역시나 그 끈을 놓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영화 배우들에게 홍상수 감독 영화는 연기파 배우의 산실이자 재활 공장 같은 존재가 아닌가 싶다. 저예산으로 만들어지고 관객도 그리 많이 드는 편은 아니지만 일단 출연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 대부분 다른 좋은 출연 기회를 잡곤 한다. 홍상수 감독 영화가 갖춘 나름대로의 선순환하는 에코 시스템 – 친환경 말고 생태계 – 이기도 하다.











그러잖아도 다음 여름은 남해안 여행을 생각하고 있었는데 통영은 이제 완전히 필수 코스다. 나폴리 모텔이 내려다 보이는 카페에 들려보고 호동 식당에서 다찌와 복국을 먹어봐야겠다. 경남에서는 무조건 씨원 소주라고만 생각했었는데 <하하하>를 보니 화이트가 협찬했나 보더라 – 그런데 왜 담배는 말보로야? KT&G는 대체 뭐하는 건지.

생각해보면 홍상수 감독의 영화는 전국 각지를 순회한다. 딱 한번 <밤과 낮>에서 파리로 해외 순방을 다녀오시기도 했었지. 대강의 시납시스만 들고 배우들과 지방에 내려가서 그날 그날 대사를 적어놓은 종이 쪼가리를 나눠주면서 영화를 찍는다더라. <하하하>는 홍상수 감독의 남녀탐구생활 시리즈, 경남 통영편이다.


영진공 신어지

 

“하하하”, 18禁이 옳아




홍상수 감독의 ‘하하하’가 아무리 유쾌하대도 관객이 꽤 들 영화는 아니다.
홍상수의 마니아가 분명 존재하지만 항상 그렇듯 폭발적 지지를 끌어낼 만큼 파워가 있어 보이진 않는다. 그의 팬임을 자처하는 나만해도 “하하하” 정말 좋지만 그렇다고 누구에게든 추천하기엔 주저되는 부분이 있으니 말이다.

그럼에도 확실한 건, 거듭 될 수록 호기롭게 웃어젖히게 되는 그의 영화가 점점 더 좋아진다는 거다. 지지리 궁상의 여자들은 사라지고 쿨하게 젊은 남녀를 딸 아들 삼는 초로의 여인과, 바람 피고 모텔을 걸어 나오는 애인에게 “업어 줄게. 그냥 그러고 싶어서 그래.” 라며 건들줄 아는 여성의 등장은 더욱이 반갑다.

영화는 하룻밤 섹스나 몰래한 키스 같은 일탈이 시각적으론 전혀 섹시하지 않더라도 야하게 느껴질 만큼 사건과 사고 속에 깊이 몰입하게 하는 힘이 있다. 영화적으로 과장하지 않았지만 평범함과 일상의 사이를 넘나드는 에피소드는 꼭 남의 것이 아니다. 영화를 본다는 것이 주인공을 들여다봄이 아닌 함께 빠져드는 황홀경이다.

바로 이 점 때문에 미안하지만 지금의 소년소녀들에게 그의 영화는 아직 이른 감이 없지 않다. 갓 스물을 넘기고서 홍상수 영화를 보기 시작한 내가 그의 초기 작품에 대한 감흥이 미미한 것도 아마 같은 이유이지 않을까.

세상과 술을, 남자와 여자를, 그들의 관계 얽힘을 조금 더 알고 봐야 제 맛이다.

‘하하하’는 오래된 애인이랑 손 놓고 보며 제식대로 킥킥 웃거나, 설렘이 앞서 할 말을 잃게 만드는 상대와 데이트삼아 봐야한다. 다 본 후에는 ‘영화 좋았지?’ 같은 한 마디로 끝내기엔 무지 아쉬우니 ‘자! 한잔해! 건배!’ 를 위해 소주 한잔 하자며 어둑한 밤길을 걷는거다. 여기까지가 영화의 진정한 The End.


영진공 애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