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윔블던”, 조금은 비겁한 루저 달래기


 


학교 3학년은, 그렇다. 질풍노도의 시기이다. 젊음은 냉혹하고 대가리는 아직 여물기 전이다. 고등학생들이야 눈치껏 담배도 피고 옆학교 누구랑 응응응 했더라는 무용담이 한껏 부풀려져 돌아다니기도 하고 형 학생증으로 술집도 가는 호방함이 엄연히 존재하지만 중학생에게 그런 일탈이야 그리 쉽겠느냐 말이다.


 


더군다나 중학교는 승자와 패자의 경험을 처음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집안 사정 때문에, 성적 때문에, 혹은 어린 나이의 조숙함 때문에 진학의 고민을 최초로 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아뿔싸, 1등과 60등의 결과가 바로 여기서부터 갈리는구나. 성적이 인생을 가름하는 첫 번째의 도전인 이 시기에 말 그대로의 등수는 얼마나 사람을 민감하게 만들었던가?


 


모의고사 200점 만점에서 150점 커트라인의 전후를 왔다갔다했던 수많은 중간자들의 후달림은 또 얼마나 절절했던가 말이다.

우리반 왕따(당시엔 그런 말이 없었다만) 기석(물론 가명)이는 반등수 7등을 차지했다고 성적표를 받은 그날 자리에 엎드려 성적표를 찢으며 울었다. 기석이 뒤에 주루룩 줄을 서야 하는 53명의 우리들이 갖는 울분은 졸업식의 그날까지 기석이를 놀림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난 어느날 뜬금없는 측은지심에 “넌 친구도 없는데 도대체 학교 끝나면 뭐하고 노냐?”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가족회의 하고 놀아”를 들음으로서 기석이의 왕따를 공고히 한 죄의식을 아직도 갖고 있다.



 




 


 


 


“윔블던”은 반에서 7등한 기석이의 눈물겨운 좌절극복기에 다름 아니다. 반에서 7등을 한 루저의 아픔이야 영화의 현혹에 감전된 알량한 감수성 건들이기에 좋다. 얼마나 달콤하더냔 말이다. 샤라포바 보다도 이쁜 테니스계의 요정 브래드버리를 꼬시는데 로맨틱 코미디 특유의 치고받는 설정도 없다.


 


오이냉국에 밑간 안한 그 니맛도 내맛도 아닌거 그렇다고 하자. 엥간한 있는 집에 살면서 작업용으로 훌륭한 컨버터블에 안정된 직장까지 보장된 그런 피터 콜트의 외면은 솔직히 그럴듯함이 없다. 그건 “익스트림 OPS”가 재미없는 이유와도 같다. 영화에서 그럴듯함은 실제와는 엄연히 다른 문제인 것이다.

그럼으로써 영화는 오이냉국에 물말아 놓은 결과가 되어버렸으며 우리의 예지력이 초능력 수준에 오를 수 있다는 자신감을 한껏 고양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야 말았다. 우리나라의 미인상과는 조금 이질적인 “커스틴 던스트”를 졸라 좋아하거나 “폴 베타니”의 매력에 빠져있는 여자들이라면 그럭저럭 좋아 하겠다만 워킹 타이틀의 전작에 광분했던 (“어바웃 어 보이”, “러브 액츄얼리”, “브리짓 존스의 일기”, “파고”, 오오~ 그리고 그리도 감동적이었던 엔딩을 만들어낸 “Shaun of the dead”여!!) 사람들이라면 이 알량한 로맨틱 코미디의 두께에 피식 할지도 모를 일이다.



사람을 바라보는 감수성에 워킹타이틀만한 레이블이 어디 있겠냐마는 루저를 가장한 거의 성공한 위너를 그린 이번 작품은 좀 비겁했다는 생각이 든다. 비겁한 게 꼭 나쁜 건 아니지만 난 나쁘다고 말하지는 않았으니까, 그저 비겁했다고 말했을 뿐이지. 그나저나 기석이는 어떤 사람이 되어 있을까?


 


 



 


 



설마 나보다 이쁜 여자를?


 


 


영진공 그럴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