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지 하트”, 절주를 결심하게 하다




Crazy Heart, 2010 



토마스 콥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크레이지 하트’는 술에 절어 사는 늙은 컨트리 가수 배드 블레이크(제프 브리지스)의 모습을 담담한 시선으로 조명한다. 영화의 주인공이라기엔 지나치게 현실적인 모습의 배드는, 지난 사랑에 변명하지 않고, 차갑게 대하는 아들에게조차 자신의 이야길 설명하려 들지 않는다. 단념한 듯 인생의 마지막 근처의 삶을 살고 있는 그에게 인터뷰를 요청한 신문기자 진(매기 질렌할)의 등장은 특별하다.

언제나처럼 난, 순진한 관객이 되어 영화같은 사랑의 해피엔딩이라든지 아들과의 훈훈한 재회 같은 걸 바라고 있다. 하지만 영화는 감상적인 기대에 흔들리지 않고, 애초 벗어둔 연민의 시선으로부터도 자유롭게 제 갈 길을 걷는다. 남녀의 만남이 사랑 말고도 내면의 변화를 일으킬 긍정적인 힘을 지녔음을 고요히 전하며. 

영화를 오롯이 ‘감상’토록 이끄는 힘은 배우에게 있는데, 제프 브리지스는 마치 배드 블레이크인양 열연을 펼쳤다. 남은 감상을 관객의 몫으로 남긴 크레이지 하트는 좋은 영화다.

극적 반전도, 운명의 장난도 등장하지 않지만 감정을 드러내고 설명하기보다 되레 한발 물러나 인물의 ‘그대로’를 쫓는 이 영화가 좋다. 스스로를 객관화하곤 자신을 들여다보며 제 마음의 정리정돈을 잘 하는 사람을 좋은 사람이라 하듯이.

또 하나, 배드 블레이크의 거친 숨소리와 빈번한 토악질, 대충 풀려진 허리춤을 보노라면 진심으로 절주를 결심하게 된다. 그런면에서도 … 이 영화 참 괜찮다.


영화의 주제곡 “Weary Kind” by Ryan Bingham
 


영진공 애플

 

“크레이지 하트”, 음악은 드라마의 디테일을 채워준다


제프 브리지스에게 올해 골든글로브와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석권하게 해준 작품. 그간의 연기와 비교할 때 특별히 <크레이지 하트>에서의 연기가 아주 각별했다기 보다는 연기자 가정에서 태어나 평생토록 연기자의 삶을 살아온 공로상의 의미가 덧붙여진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럼에도 기존의 작품들에서와 달리 제프 브리지스가 직접 컨트리 음악을 노래하고 기타 연주까지 해내고 있는 부분은 그간에 보여준 연기의 지평을 한 단계 넘어선 것이 맞긴 하다. <사랑의 행로>(1989)에 서 재즈 피아니스트로 등장해 음악적 재능을 보여준 일이 있긴 하지만 이번 <크레이지 하트>는 영화 시작부터 거의 깜놀 수준의 연주 실력을 자랑한다. 후배 가수로 출연하는 콜린 파렐 만큼은 립싱크겠거니 했는데 확인해보니 브리지스와 마찬가지로 직접 부른 노래란다.

듣던대로 <더 레슬러>(2008)와 비슷한 점이 한 두 군데가 아니다. 프로 레슬러와 컨트리 가수라는 차이가 있을 뿐, 인생 내리막길을 내려가던 중에 마지막 전환점을 맞이한다는 설정은 거의 판박이에 가깝다. 하지만 <더 레슬러>가 그 전환점에서 자기 존재 증명을 위해 몸을 날리며 마무리되었던 것과 달리 – 전환점이라기 보다는 막다른 길로 묘사된 쪽에 가깝긴 하지만 – <크레이지 하트>는 좀 더 현실적인 계기를 통해 갱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사실 드라마의 극적인 구성이나 확장 해석을 가능케 하는 상징성을 따지자면 <더 레슬러>나 <라스베가스를 떠나며>(1995) 에 비해 밋밋한 편이지만 그 대신 <크레이지 하트>는 드라마의 디테일을 상당 부분 음악으로 대신 채워넣으며 명실공히 잘 만들어진 한 편의 음악 영화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 첫 장면에서 덥수룩한 수염과 머리를 기르고 너부대대해진 몸집으로 볼링장에 들어서는 제프 브리지스는 <위대한 레보스키>(1998)에서의 “더 듀드”를 연상케 한다. 코엔 형제의 필모에서나 제프 브리지스의 연기 이력에서 모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

– 화려하진 못해도 오직 음악만으로도 그럭저럭 생계 유지가 가능한 미국은 역시 부러운 나라다. 물론 극중의 배드 블레이크(제프 브리지스)는 그 이상의 재능을 가진 뮤지션으로 나온다.

– 매기 질렌할은 이제껏 본 중에 가장 풍성한 매력을 과시한다. 질렌할에게는 까칠한 성격의 히피 말고도 얼마든지 다양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시켜준 작품.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