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웨이”, 부패와 숙성의 차이





와인의 일생을 생각하곤 해요.

그 포도들이 자라던 해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햇볕은 어땠을까…비는 내렸을까…
포도를 가꾼 사람들… 그 포도를 따서 와인을 담근 사람들은 누구였을까…
그들 중 몇 명은 이미 이 세상에 없고 와인만 남아있겠죠…

와인이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사실이 좋아요
같은 와인이라도 오늘의 맛은 다른 어느 날의 맛과도 다르죠.
왜냐면 와인은 살아있거든요.
병 속에서 와인은 끊임없이 성장하고 숙성되죠
절정에 도달할 때까지…
그러다가 절정이 지나면,
피할 수 없는 타락이 시작되죠
끝내주는 맛을 남겨주고 말예요.

– “사이드웨이” 중에서 –

두남자


여기 두 남자가 있다.

한 남자는 고등학교에서 문학을 가르치는 선생이다.
성인기 초반을 아주 안정된 직장으로 시작했고, 40이 넘어간 지금도 여전히 그 안정된 직장에서 안정된 일을 하고 있다. 몇 년 전 결혼에 실패한 이후 독수공방을 계속하는 그는 조심스럽게 자기 이야기를 소설로 써서 출판을 해보려 하고 있다.

겁쟁이 소심꾼 마일즈


다른 남자는 한때 잘나가던 드라마 배우였다. 하지만 지금은 광고에 목소리 출연이나 하면서 지낸다. 그래도 먹고사는데 지장은 별로 없고, 늘 새로운 여자를 만나 즐기며 살다가 이제 결혼을 해보려 한다.

발랄한 난봉꾼 잭

이 둘은 전혀 다른 삶을 사는 것 같다.
교육자와 연예인, 고독한 솔로족과 희희낙락 싱글족, 이혼한 남자와 이제 막 결혼하려는 남자 ……

하지만 이들의 삶은 어떤 면에서 아주 비슷하다. 그것은 이들의 삶이 고여서 썩고 있다는 것이다.

첫 번째 남자에 대해서는 이 말이 맞는 것 같지만, 끊임없이 여자를 갈아치우는 두 번째 남자에게도 같은 얘기를 할 수 있느냐고? 그는 그 갈아치우는 패턴을 바꾸지 못한다는 점에서 고여 있다.

그런데 이 영화에는 똑같이 고여서 썩어가지만 전혀 다른 용어가 사용되는 존재도 등장한다.

바로 와인이다. 예전에 내가 아는 누군가가 와인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 적이 있다.

“와인 그거 뭐 결국 썩은 포도주스 잖아?”

무지막지한 표현이긴 했지만, 따지고 보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니다.
생물학적으로 봐서 부패현상이나 발효현상, 숙성현상은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어떤 것은 숙성이라 불리고 어떤 것은 부패라 불린다.

그건 단지 이름의 차이만이 아니다.

어떤 썩은 포도주스는 쓰레기통으로 직행하지만,
다른 것은 오래 썩었다는 이유로 수 십만원에서 수백 수 천만원짜리 물건이 된다.

전자가 풍기는 냄새는 악취고, 후자가 풍기는 냄새는 향기다.

전자는 사람이 먹으면 배탈이 나고 병원신세를 지게 만들지만,
후자는 입맛을 돋워주고 건강에 도움이 되며
심지어 그 어디에서도 맛볼 수 없는 황홀감을 선사하기도 한다.

무엇이 그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일까?

영화를 보는 내내
그들에게서 내 모습을 발견했다.

변치 않는다는 것이 자랑이 아님을,
늙어가면서 부패가 아니라 숙성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그 갈림길에서 숙성의 길로 걸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내가 과연 그럴 수 있을지…


 

영진공 짱가

포도밭에서 완성된 사랑, <프렌치 키스. 1995>

       

잘자라고 말해주세요 그리고 키스해주세요
나를 꼭 껴안고 날 그리워할 거라고 말해주세요
내가 외롭고 우울하게 될 때 말이에요
나를 꿈꾸세요 나의 작은 꿈을



프렌치 키스 OST ‘Dream a little dream of me’ 중에서..

파리의 에펠탑과 불빛에 출렁이는 까만 밤의 세느강. 프렌치 키스를 나누는 퐁네프의 연인들과 몽마르트 언덕의 가난하지만 행복한 예술가. 프로방스의 태양 아래 드넓게 펼쳐진 포도밭과 그곳을 고향으로 둔 달콤쌉싸름한 수천 가지의 와인. ‘프랑스’란 이름과 함께 떠오르는 로맨틱한것들이다.

영화 <프렌치 키스>를 보노라면 무작정 닿고 싶은 환상, ‘프랑스’를 만끽할 수 있다. 영화는 에펠탑과 개선문 그리고 샹제리제거리와 루브르 박물관을 배경삼아 위의 노래 가사처럼 프랑스 남자와 미국여자의 운명적인 만남과, 사랑을 달콤하게 담았다. 뿐만 아니라 프로방스와 깐느 등 프랑스의 아름다운 남부 도시의 풍경도 덤으로 감상할 수 있고, 프랑스 남자 ‘뤽’의 매혹적인 불어식 영어발음과 프랑스식 유머를 원 없이 즐길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언제나 블라우스 단추를 목까지 채워 잠그는 ‘케이트'(맥 라이언)는 현실에 구속된 채 안정지향적 삶을 추구하는 고지식한 미국 여자다. 케이트는 어느 날 갑자기 프랑스에서 새 애인이 생겼다며 이별을 고하는 약혼자를 좇으러 파리행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그리고 그곳에서 운명의 남자 ‘뤽’(케빈 클라인)을 만나게 된다. 프랑스에서 좀도둑으로 위험한 하루하루를 사는 뤽과 케이트는 프랑스, 미국의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며 개와 고양이처럼 티격태격한다. 그러나 우연과 필연을 거듭한 계속된 마주침 끝에 그들은 서로를 향한 묘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드넓은 포도밭을 보며 연신 아름답다고 소리치는 케이트처럼, 나 역시 영화 속 풍경에 흠뻑 매료되고 말았다. 비록 영화를 통해서지만 전 세계인들의 미각을 사로잡는 대단한 와인이 시작되는 곳에서 짙은 보라빛 와인을 맛볼 수 있기에 행복하기도 했다. 청록의 푸르른 포도밭 한 가운데서 자유를 꿈꾸는 보헤미안의 감수성을 발견한 케이트와, 새로운 시작을 눈앞에 둔 뤽이 날아오를 듯한 가벼운 포옹과 프렌치 키스를 나누는 엔딩 장면은 지금까지도 가슴 설레게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뤽이 말했다.
“와인도 사람과 같죠. 포도나무도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고 그것을 흡수해요.”

언제든 볼을 비비고 입을 맞추는 일상 속 따뜻한 스킨쉽이 누구도 따라잡지 못하는 깊은 빛과 향의 프랑스산 와인을 탄생시키는 비법이 아닐까. 섹시한 빛깔의 와인이 입술을 검붉게 물들일 무렵, 진한 프렌치 키스를 나눌 당신과 이 영화를 다시 한번 보고 싶다.


영진공 애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