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가 월남으로 간 까닭은?


 


<님은 먼 곳에>에서 순이가 월남에 왜 갔는지 이해 안간다는 분들이 많던데 … 아니!! 이해 하고 말 것도 없잖아요?

* 약간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1.순이가 월남까지 가는 게 이해가 안 가세요? 그럼 순이가 월남 안가면 어딜 가? 하늘아래 발 디디고 서 있을 곳이라고는 아무데도 없는 상황인데? 월남 안 가면 어디가? 죽으러 가란 얘긴가? 묵묵히 시어머니의 구박과 걱정을 한 몸에 받으며 미개봉 반납 처녀로 늙어가며 산송장으로 살으란 말인가? 순이는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의 상황에 봉착해 있습니다. 그렇담 자기가 왜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의 상황에 처하게 되었는지를 한번 끝까지 캐 보고 싶을 겁니다. 그 끝에 남편이 있는거겠지요. 월남은 순이가 유일하게 ‘살아서 존재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월남은 ‘갈데가 거기밖에 없으니까’ 가는 거고 당연히 가는 거지, 그러니까 너무 Natural해서 이유를 달고 말 것도 할게 없고, 굳이 이유를 붙이자면 ‘목적을 가진 사람으로 존재하기 위해’ 월남으로 가는 겁니다.

2.순이가 남편을 때리는 게 이해가 안 가세요? 아니, 그럼 엔딩이 어떻게 되는게 나을 것 같으세요? 1. 남편 박상길이 죽어있다? 아웅.. 이건 절대 아니죠. 맘대로 죽어있다면 정말 죽이고 싶을 겁니다. 2. 순이가 상길에게 와락 안긴다? 캑캑. 상길은 그녀의 마음과 정성에 감읍하여 그녀를 받아들인다? 캑캑. 3. 상길이가 순이를 때린다? 이 독한 년, 어째 여기 까지 따라왔어!! 오홋. 1,2번 보다는 3번이 좀 낫다. 때리는 거는요. 딱 그 상황이 때릴 상황입니다. 이유는요 삼만팔천이백사십여섯가지 쯤 있습니다. 수도 없는 함의가 들어간 따귀입니다.직설법으로 얘기하자면 촌스러워지지만.


1) 전쟁터에서 정신차리라고 한대.(정신 못 차리고 눈 까뒤집고 있었잖아요) 2) 니 인생에서 정신차리라고 한대. (언제까지 도망만 갈꺼냐?) 3) 비겁함을 단죄하며 한대. 4) 생때같이 살아 있음이 고마워서 한대.(오면서 부상자, 사망자를 수도 없이 본 순이입니다.) 5) 내 인생의 단 하나의 존재의 이유로 존재한다는 것에 대한 분노로 한대. 6) 술래잡기할 때 미션 클리어하면 “야도 판” 때리듯이 한대. 야도!


오히려 남편에 대한 원망이나 회한 같은 건 없어보였어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3.박상길은 찌질한 남자가 아니다. 아줌마가 되고 나니 이해심이 많아지나봅니다. 전 박상길도 너무너무 이해가 갔어요. 씨 받으러 온 수애 모습 보세요. 아우… 서슬이 퍼렇잖아요. 수애 무서워요. 사랑하는 애인이 있는데, 원치 않는 결혼. 그래서 군대로 도망. 한달에 한 번 씩 배란기에 맞춰 찾아오는 아내. 그 두려움 없고 흐트러짐 없는 모습. 그녀를 받아들인 다는 것은 그에게 곧 도망도 하지 못하고 ‘체념’한다는 것에 다름 아닙니다. 박상길이 월남까지 가는 것과 순이가 월남까지 가는 것. 목적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내 인생 남의 뜻대로 내버려 둘 수는 없고, 그 반대방향으로 한번 갈 데 까지 가보는 겁니다.

아마. 순이한테 맞고, 박상길은 시원했을 것 같아요. 안도가 되고 안심이 되었을 것 같아요. 순이 앞에 무릎 꿇은 상길의 모습은 용서를 비는 자의 모습이라기 보다 편안해 보입니다.

4.수애는 여신이 아니다. 매체에서 이준익이 ‘너는 여신이다’라는 말을 했단 말을 듣고 거부감이 심하게 일었어요. 저, 여인의 신격화를 여인의 창녀화 만큼이나 싫어하고 혐오하거든요. 여성의 이미지가 관음보살이나 마리아가 되는 순간 여성은 ‘구원자’가 되어야 하고, ‘모든 것을 감내해야 하고’ , ‘남을 원망하는 법은 없고 그저 남의 모든 허물을 다 감싸 안아주며’, ‘본인이 욕망하는 것은 전혀 없어야’합니다. 핵심은 ‘非人化”죠. 그게 처녀숭배의 핵심이에요. ‘여성은 위대하다’라는 명제에 궁극적으로 담고 싶어하는 뜻은 ‘여성은 사람이 아니다’인거죠. 그래서 전 미야자끼 하야오 만화에 나오는 “나나”나 “나우시까”같은 여성영웅들을 정말 싫어합니다. 그들은 영웅이고 여신이 됨으로써 결국 사람이 아니게 됩니다. 아아. 근데 왠걸. 수애는 그렇지 않아요. 그녀는 처음 부터 끝까지 본인의 욕망(남편 놈 찾아내고야 말겠다)에 충실합니다. 자신의 욕망이 아닌 다른 어떤 것에도 복무하지 않습니다. 어설픈 도덕관념이나 정조관념 같은 사회나 이데올로기의 욕망이 자신의 욕망을 방해하도록 허락하지 않습니다. 맞아요. 강한여자입니다. 그런데 ‘인류를 구원하고, 세계 평화를 위해서 희생하는’ 강한여자가 아니지요. 자신의 욕망을 끝까지 지키고, 자신이 옳다는 것을 끝까지 증명해 보려는 여자입니다. 인간다운 강하고 젊은 여자입니다. (예전 나의 결혼 원정기에서의 ‘라라씨’와도 비슷하지요. 여기서도 순이였나?)

암튼 재미있었어요. 좋아요. 나는 Two thumbs up!


영진공 라이

<님은 먼 곳에>: “수애에 의한, 수애를 위한, 수애의 영화”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 영화, 꽤 좋았습니다.

최근 본 영화 중에서 가장 전통적인, 희노애락을 고루 담은 영화였는데
그러면서도 할 말은 다 하더군요. (남은 쥐를 마저 잡자…까지 ㅎㅎ)

수애(순이)가 왜 그 곳까지 기어코 가려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평이 많던데
순이의 동기는 적어도 <놈놈놈>에서 왜 걔네들이 그 지도 가지고 난리를 치는지 이해하는 것보다는 쉽습니다.

아마 제가 순이였다고 해도 그랬을 것 같으니까요.
순이는 남편에게도 시어머니에게도 심지어 친아버지에게도 사람 취급을 받지 못합니다. 자기 책임도 아니고 잘못도 아닌 일로 비난만 당했죠.
그렇지만 베트남에 가서 순이는 모든 것을 얻습니다.
주변 사람들로 부터의 인정, 도덕적인 정당성, 심지어 어느 정도의 권력까지…

쿠르트 레빈K.Lewin 이 이 상황을 봤어도 순이의 선택은 지극히 타당하다고 평가했을겁니다. 순이에게 주어진 심리학적 장(field)에서 순이가 갈 수 있는 길은 오직 그것뿐이었습니다.
그냥 도망가는 길도 있지 않았느냐고요?
아마 그건 순이의 자존심이 용납하지 않았을 겁니다.
그럼 왜 그 미군장교는? 글쎄요. 전 그게 일종의 자기 능력 실험처럼 보였습니다.
순이의 마지막 무대공연 때부터 계산하는게 보이거든요.
결국 그녀는 자기의 힘으로 거기까지 간겁니다.

덧붙여,
이준익 감독 영화가 계속 변화한다고는 하지만 제가 보기엔 늘 같은 이야기입니다.
이준익 감독 영화의 변치않는 테마는 “공연” 입니다. (이 “공연”은 허접한 코미디 영화에 늘 등장하는 노래방 공연과는 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을 사이에 두고 있습니다)
<황산벌>에서 양측 병사들이 벌이는 욕 공연부터 시작해서 그 이후엔 아예 대놓고 광대 주인공들만 내세우고 있죠.
그리고 이준익 감독은 이 공연을 묘사하는데 있어 꽤 능숙합니다.
덕분에 공연자들이 겪는 미묘한 순간들이 이 정도로 잘 묘사되는 영화는 적어도 우리나라에선 보기 힘듭니다. 무대에서 느껴지는 공연자와 관객사이의 긴장감, 그리고 어떤 지점에서 그게 다른 감정으로 변화되는지… 이 영화에서도 그런 묘사가 가끔 나오는데 꽤 좋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수애 간지…d-_-b
<놈놈놈>의 정우성 간지만큼이나 확실합니다.

남자 배우들이 꼭 한번 해보고 싶었을 역할이 그 영화에서 정우성 역할인 것 처럼,
여자 배우라면 아마 이 역할 꼭 해보고 싶었을 겁니다.

하지만 남자배우라고 아무나 정우성처럼 총을 돌리지 못하듯,
수애가 없는 <님은 먼곳에>도 상상하기 힘들죠.


영진공 짱가

*추가1: 덧붙여 정우성 간지

* 추가2: 크레딧을 보니 엄태웅은 자그마치 “특별출연” 이더군요.
원래 그거, 출연료 안받(거나 최소한도만 받)고 나오는 거 아닙니까?
아무리 봐도 엄태웅의 비중이 특별출연 수준은 아니던데…
이준익, 참 무서운 감독입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