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 스완”, 무대 위의 삶 그리고 이중 자아


<블랙 스완>이 매우 뛰어난 작품이라는 사실에 대해 길게 이야기하느라 시간을 허비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작년 말 미국 개봉 직후부터 영화가 아주 대단하다는 소문이 들려왔었고 마침내 때가 차매, 나탈리 포트만은 골든블로브에 이어 아카데미에서까지 여우주연상 트로피를 들어올렸으며 국내 개봉 이후 영화를 보는 이들마다 “압도적”이라는 표현을 공통적으로 내놓고 있는 작품이니까.

영화를 보는 이들마다 관점과 그에 따른 반응이 다를 수 밖에 없는 일이지만 영화를 보는 동안 작품 자체로부터 압도 당한다는 경험은 일상 생활에서와는 달리 매우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휴식 같은 영화 관람을 원하는 이들에게는 다소 부담스러운 경험이 될 수도 있긴 하겠지만 관객을 2시간 동안 압도할 수 있는 영화란 의외로 많지가 않고 그런 만큼 상당한 가치를 인정해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된다.

개인적으로 <블랙 스완>은 관람하는 동안 정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까지 매우 힘들게 느껴졌던 작품이다. 상영 시간 내내 온 몸을 긴장시키며 보느라 다른 영화를 볼 때와는 다르게 고생스럽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으니까. 2시간 내내 롤러코스터를 탔다고 말하는 건 좀 과장인 것 같고 영화를 다 보고 난 뒤에는 150km 안팎의 속도로 계속 운전하고 난 뒤의 피로감 같은 것이 급격하게 몰려왔다. 영화가 끝난 후에도 날카로워진 감각이 다시 가라앉기까지 두어 시간이 더 필요했다.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전작 <더 레슬러>(2008)의 다소 느슨했던 분위기와는 달리 관객들을 시종일관 초긴장하게 만드는 영화가 바로 <블랙 스완>이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줄거리는 그리 복잡하지 않다. 뉴욕 발레단의 젊은 무용수 니나(나탈리 포트먼)가 <백조의 호수>의 주연으로 발탁되고 마침내 성공적으로 초연을 마치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문제는 겉에서 보기와는 달리 발레단 내부의 치열한 경쟁과 배역을 완벽하게 소화해내기 위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그 중심에 선 인물의 내면 세계는 매우 복잡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니나의 경우 완벽에 가까운 테크닉으로 새로운 솔리스트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지만 흑조(블랙 스완)의 캐릭터를 표현하는 데에 한계를 경험하면서 노이로제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블랙 스완>은 결국 니나의 관점에서 경험하는 압박감과 신경증적 세계에 관한 작품이다.

<블랙 스완>은 언듯 90년대 초반에 한창 유행했던 사이코 스릴러의 내러티브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블랙 스완>에는 음모도 반전도 없이 오직 니나의 내면 세계와 그것이 바깥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만이 존재한다. 영화 속에 주인공과 직접적으로 갈등하는 타자 – 니나의 어머니(바바라 허쉬)나 릴리(밀라 쿠니스) 등이 유력한 후보이긴 하지만 – 가 부재한다는 사실은 대중 영화로서 뭔가 허전한 감을 남기게 되는 이유가 되는 반면, 영화의 작품성과 완성도를 한껏 끌어올리는 구조적인 이유가 된다.

<블랙 스완>은 얼토당토 않는 스릴러적인 재미의 구축에 힘을 쓰기 보다 니나를 중심으로 한 발레리나의 세계와 <백조의 호수>라는 텍스트가 갖고 있는 메타포에 집중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은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재능과 함께 나탈리 포트먼의 헌신적인 연기라고 단언할 수 있다.

<블랙 스완>이 남다른 완성도의 영화가 될 수 있었던 부분 중에 하나 – 그러나 가장 중요한 – 는 전문 무용수에 버금가는 주연 배우들의 동작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나탈리 포트먼의 경우 투자가 결정되기도 전인 촬영 1년 전부터 자비로 훈련을 시작했다고 하니 이런 열정이 마침내 좋은 결실을 맺게 되었다는 사실이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영화 초반에 니나가 <백조의 호수>의 솔리스트로 뽑히고 나서 화장실에 들어가 엄마에게 전화로 그 사실을 알리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 나탈리 포트먼의 표정 연기는 이미 주연상을 주어도 아깝지 않을 정도로 스펙타클하다. 물론 영화 전체의 하이라이트는 마침내 무대 위에서 완전한 블랙 스완으로 변모하여 관중들의 찬사를 받게 되는 니나의 모습이겠지만.



대략 10년 정도 숙성된 시나리오였다고 하는데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은 애초에 <더 레슬러>를 만들 당시 퇴물 레슬러와 발레리나의 만남으로 이야기를 꾸밀 생각을 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두 이야기를 한 편의 영화에 모두 담기에는 너무 많다는 판단하에 지금의 <더 레슬러>와 <블랙 스완>, 두 편의 영화로 만들어지게 된 것이라 하니 두 작품 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두 말할 나위가 없을 듯 하다.

분위기는 완전히 다르지만 ‘무대’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인물들의 이중 자아에 대해 다루고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겠다. 그리고 두 주인공 모두 각자 자신의 마지막(?) 무대를 성공적으로 완성해내는 결말도 유사하다.


영진공 신어지


 


 

“돌이킬 수 없는 (Irreversible, 2002)”, 관객을 피곤하게 만드는 영화

등장인물이 과거를 회상하는 정도가 아니라 영화 전체의 시퀀스 구성을 아예 시간 역순으로 되감아 올리는 역배열의 영화 형식은 <박하사탕>과 <메멘토> 등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선보인 예가 있어 더이상 그리 새로운 것이 아니다.  제아무리 엔딩 크레딧을 꺼꾸로 틀어보고, 제목과 배우들의 이름을 역상으로 보여준들 최초의 시도는 될 수 없게 된 것이다. 정상적으로 편집된 영화를 아예 처음부터 꺼꾸로 틀어주는 시도라면 모를까, 어차피 영화를 구성하는 시퀀스 단위 내에서는 이렇게 정상적인 시간의 흐름을 따라가는 수 밖에 없는 것이 역배열의 한계일 것이다.

관객 입장에서 <돌이킬 수 없는>이 피곤한 이유는 역배열의 영화 형식 때문이 아니라 여과없이 보여주는 잔인한 폭력, 살인과 강간 장면, 그리고 시신경의 한계를 시험하는 정신없는 카메라 워킹 때문이다. 워킹이 아니라 이건 뭐 위아래 좌우로 빙글빙글 돌리면서 아예 덤블링을 해댄다. 그리고 한 시퀀스를 한 테이크로 끝내는 방식으로 찍었으니 영화 전체가 열 몇 테이크 밖에 안되는 셈이다. 감독의 재주나 배우들의 연기가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관객의 정서와 육신은 무척 피곤해진다.

미카엘 하네케의 “피아니스트”를 보면서 감독이 참 새디스트적이라는 생각을 했는데, <돌이킬 수 없는>의 가스파 노에(Gaspar Noe)는 한술 더 떠서 무척이나 폭력적이기까지 하다. 그러면서도 영화적인 야심은 대단한 인물인 것 같다. ’91년 단편 <까르네>에서 ‘자폐증세가 있는 딸의 초경을 강간당한 것으로 오인하고 무고한 남자를 살해한 한 도살업자의 생애’를 다룬 바 있는 그의 ’98년 장편 데뷔작 <아이 스탠드 얼론>은 바로 그 도살업자의 출소 이후의 이야기이고, <돌이킬 수 없는>의 첫 시퀀스에서 자기 딸아이를 강간했다고 고백하는 뚱뚱한 중년의 남자 역시 바로 그 도살업자다.

제도권 영화가 허용하는 한계를 시험하며 온갖 논란을 불러 일으키려는 것이 그의 전략이었다면 그는 일단 성공한 축에 들어간다. 다시 보고싶지 않더라도 영화를 일단 본 사람은 이 영화에 대해 계속 말하고 싶어했으니 말이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