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영화 그 노래] 엑스파일 시즌 5 에피소드 5

 

 


 


  




 


 


요즘은 미국 드라마를 거의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지만, 예전에는 그저 공중파에서 더빙으로 방영하는 걸 보는 게 다였다.


 


그래도 간간히 대박에 가까운 히트를 기록한 드라마가 나오곤 했는데, 기억을 더듬어 보자면 …


 


“전투” (Combat), “달라스” (Dallas), “초원의 집” (Little House on the Prairie),


“코스비 가족” (The Cosby Show), “아들과 딸들” (Eight Is Enough),


“CSI: 과학수사대” (CSI: Crime Scene Investigation)


 


… 등이 떠오른다.


 


 



드라마 “전투” (Combat)의 오프닝

 


 


 



“코스비 가족” 중에서 …

 


 


흠, 그러고보니 나름 많은 히트작들이 있었구나 싶다.


 


 



개인적으로 정말 재밌게 봤던 미드 “알프” (Alf) … 알프는 고양이를 좋아라!하는데 … 

 


 


이렇듯 예전에도 국내에서 인기를 끌었던 미국 드라마가 꽤나 있었는데, 그중에 가장 독특한 경우가 바로 “엑스파일” (X-files)이 아닌가 싶다.


 


엑스파일은 쟝르부터가 SF 수사물이라 많은 시청자들이 공감하고 즐길만한 소재도 아니었고, 그 내용도 외계인에 뮤테이션에 음모론에, 여튼 소위 덕후가 즐길만한 요소로 가득했다.


 


그런데도 이 드라마 시리즈는 미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권에서도 크게 히트했고, 1993년 첫 방영 이후 2002년 까지 무려 9 시즌을 이어갔다. 그리고 영화로 두 편이 제작되기도 했다. 


 


 


 




언제 누가 들어도 익히 아는 바로 그 “엑스파일” 테마음악

 


 


“엑스파일”은 지금까지도 어쩌면 우리 문화의 필요요소 중 하나로 기능하기도 하는데,


그 테마음악은 뭐 좀 미스테리한 효과를 내고 싶다거나 할 때 거의 무조건 쓰이며,


어떤 이슈가 뭔가 폭로성이 있다 싶으면 죄다 “엑스파일”이라 부르곤 한다.


 


그리고 등장인물 “멀더 요원”과 “스컬리 요원”은 고유명사처럼 쓰이고 있고,


“진실은 저 너머에” (The Truth Is Out There) 라는 표현은 상용구화 되었으며,


이들을 더빙했던 이규화 씨와 서혜정 씨의 목소리는 여전히 TV에서 그 역할 톤 그대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자면 “롤러 코스터”의 “남녀탐구생활” 등)


 


개인적으로 “엑스파일”의 모든 에피소드를 좋아라 했지만, 그 중 독특한 재미를 선사해준 건 5시즌의 에피소드 5 이다. (참고: “The Post-Modern Prometheus“)


 


왜 그런고하니, 이 에피소드는 기존의 “엑스파일”과는 좀 벗어난, 그러니까 좀 쉬어가는 에피소드이어서 가볍게 즐길 수 있었고 코믹한 터치에 … 셰어(Cher)의 노래로 가득차 있어서이다. 


 


 


 



 


 


 


위의 동영상은 인터넷 검색 중 우연히 발견한 것인데, 매우 친절하게도 엔딩 신의 Cher 노래가 우리말로 번역까지 돼있다.


 


만드신 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올리는 바이다.


 


그런데 여기에 나오는 노래 “Walking In Memphis”는 원래 Mark Cohn이 1991년에 발표하여 그래미 신인상까지 수상하게 해 준 노래이다.


 


이 노래를 Cher가 리메이크한 건 1995년이고 큰 히트를 하지는 못했지만 이후 “엑스파일”에 삽입되면서 많은 이들에게 알려진 그런 노래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Cher의 뮤직비디오 중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를 무척 좋아하는데, 한 번 보시면 왜 그런지 이해가 갈 정도로 Cher의 매력이 듬뿍 묻어 나온다.


 


 


 



 


 


 


1946년 생인 Cher는 가수로서 대성공을 거뒀을 뿐만 아니라 1985년에 칸느에서, 1988년에 아카데미에서 여우 주연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성공한 배우이기도 하다.


 


사실 Cher는 그래미, 아카데미, 에미, 골든그로브, 칸느 등 내노라하는 주요 문화 수상식에서 다 수상을 한 바 있는 유례를 찾기 힘든 엔터테이너이며 데뷔후 최근까지 줄곧 빌보드 넘버 1 싱글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녀가 열연한 영화 중에는 명작으로 불리는 작품이 여럿 있는데,


“실크우드” (Silkwood), “마스크” (Mask), “이스트윅의 마녀들” (The Witches of Eastwick), “문스트럭” (Moonstruck), “귀여운 바람둥이” (Mermaids), “티 위드 무쏠리니” (Tea with Mussolini) 등이 그것이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하나씩 찾아서 감상해 보시길 권하는 바이다.


 


이 글을 마무리하면서 그녀의 영화 중 하나와 관련된 뮤직비디오를 소개하고자 하는데, “귀여운 바람둥이” 원제로 인어들이라는 영화에 나오는 The Shoop Shoop Song이다.


 


이 영화에는 어린 시절 위노나 라이더와 크리스티나 리치가 함께 공연하고 있고 뮤비에는 그녀들의 싱그럽고 사랑스러운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럼 즐감~ ^^



 



영진공 이규훈


 


 


 


 


 


 


 


 


 


 


 


 


 


 


 


 


 


 


 


 


 


 


 


 



 

“블랙 스완”, 무대 위의 삶 그리고 이중 자아


<블랙 스완>이 매우 뛰어난 작품이라는 사실에 대해 길게 이야기하느라 시간을 허비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작년 말 미국 개봉 직후부터 영화가 아주 대단하다는 소문이 들려왔었고 마침내 때가 차매, 나탈리 포트만은 골든블로브에 이어 아카데미에서까지 여우주연상 트로피를 들어올렸으며 국내 개봉 이후 영화를 보는 이들마다 “압도적”이라는 표현을 공통적으로 내놓고 있는 작품이니까.

영화를 보는 이들마다 관점과 그에 따른 반응이 다를 수 밖에 없는 일이지만 영화를 보는 동안 작품 자체로부터 압도 당한다는 경험은 일상 생활에서와는 달리 매우 긍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휴식 같은 영화 관람을 원하는 이들에게는 다소 부담스러운 경험이 될 수도 있긴 하겠지만 관객을 2시간 동안 압도할 수 있는 영화란 의외로 많지가 않고 그런 만큼 상당한 가치를 인정해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된다.

개인적으로 <블랙 스완>은 관람하는 동안 정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까지 매우 힘들게 느껴졌던 작품이다. 상영 시간 내내 온 몸을 긴장시키며 보느라 다른 영화를 볼 때와는 다르게 고생스럽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으니까. 2시간 내내 롤러코스터를 탔다고 말하는 건 좀 과장인 것 같고 영화를 다 보고 난 뒤에는 150km 안팎의 속도로 계속 운전하고 난 뒤의 피로감 같은 것이 급격하게 몰려왔다. 영화가 끝난 후에도 날카로워진 감각이 다시 가라앉기까지 두어 시간이 더 필요했다.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전작 <더 레슬러>(2008)의 다소 느슨했던 분위기와는 달리 관객들을 시종일관 초긴장하게 만드는 영화가 바로 <블랙 스완>이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줄거리는 그리 복잡하지 않다. 뉴욕 발레단의 젊은 무용수 니나(나탈리 포트먼)가 <백조의 호수>의 주연으로 발탁되고 마침내 성공적으로 초연을 마치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문제는 겉에서 보기와는 달리 발레단 내부의 치열한 경쟁과 배역을 완벽하게 소화해내기 위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그 중심에 선 인물의 내면 세계는 매우 복잡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니나의 경우 완벽에 가까운 테크닉으로 새로운 솔리스트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지만 흑조(블랙 스완)의 캐릭터를 표현하는 데에 한계를 경험하면서 노이로제 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블랙 스완>은 결국 니나의 관점에서 경험하는 압박감과 신경증적 세계에 관한 작품이다.

<블랙 스완>은 언듯 90년대 초반에 한창 유행했던 사이코 스릴러의 내러티브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블랙 스완>에는 음모도 반전도 없이 오직 니나의 내면 세계와 그것이 바깥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만이 존재한다. 영화 속에 주인공과 직접적으로 갈등하는 타자 – 니나의 어머니(바바라 허쉬)나 릴리(밀라 쿠니스) 등이 유력한 후보이긴 하지만 – 가 부재한다는 사실은 대중 영화로서 뭔가 허전한 감을 남기게 되는 이유가 되는 반면, 영화의 작품성과 완성도를 한껏 끌어올리는 구조적인 이유가 된다.

<블랙 스완>은 얼토당토 않는 스릴러적인 재미의 구축에 힘을 쓰기 보다 니나를 중심으로 한 발레리나의 세계와 <백조의 호수>라는 텍스트가 갖고 있는 메타포에 집중한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은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의 재능과 함께 나탈리 포트먼의 헌신적인 연기라고 단언할 수 있다.

<블랙 스완>이 남다른 완성도의 영화가 될 수 있었던 부분 중에 하나 – 그러나 가장 중요한 – 는 전문 무용수에 버금가는 주연 배우들의 동작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나탈리 포트먼의 경우 투자가 결정되기도 전인 촬영 1년 전부터 자비로 훈련을 시작했다고 하니 이런 열정이 마침내 좋은 결실을 맺게 되었다는 사실이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영화 초반에 니나가 <백조의 호수>의 솔리스트로 뽑히고 나서 화장실에 들어가 엄마에게 전화로 그 사실을 알리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 나탈리 포트먼의 표정 연기는 이미 주연상을 주어도 아깝지 않을 정도로 스펙타클하다. 물론 영화 전체의 하이라이트는 마침내 무대 위에서 완전한 블랙 스완으로 변모하여 관중들의 찬사를 받게 되는 니나의 모습이겠지만.



대략 10년 정도 숙성된 시나리오였다고 하는데 대런 아로노프스키 감독은 애초에 <더 레슬러>를 만들 당시 퇴물 레슬러와 발레리나의 만남으로 이야기를 꾸밀 생각을 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두 이야기를 한 편의 영화에 모두 담기에는 너무 많다는 판단하에 지금의 <더 레슬러>와 <블랙 스완>, 두 편의 영화로 만들어지게 된 것이라 하니 두 작품 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두 말할 나위가 없을 듯 하다.

분위기는 완전히 다르지만 ‘무대’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있는 인물들의 이중 자아에 대해 다루고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겠다. 그리고 두 주인공 모두 각자 자신의 마지막(?) 무대를 성공적으로 완성해내는 결말도 유사하다.


영진공 신어지


 


 

“피파 리의 특별한 로맨스”, 고전적 주제의 재해석





다니엘 데이-루이스의 부인이 아서 밀러의 딸이라는 얘기는 예전에도 언뜻 접했었던 것 같은데, 그가 영화 감독이라는 사실은 이번 네 번째 연출작 <피파 리의 특별한 로맨스>를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네요.

레베카 밀러 감독과 다니엘 데이-루이스가 처음 만난 건 1996년 영화 <크루서블>의 주연 배우로서 다니엘 데이-루이스가 원작자 아서 밀러의 집을 방문했을 때라고 하는군요. 당시 다니엘 데이 루이스는 이자벨 아자니와 몇 년 간의 동거 끝에 아들까지 둔 상태였고, 레베카 밀러는 몇 년 간의 배우 생활을 마감하고 연출 데뷔작 <안젤라>(1995)를 완성한 직후였지요.




어쨌든 대중들에게는 항참 낯설기만 한 여성 감독의 새 영화를 위해 브래드 피트가 제작자로 나서고, 이토록 많은 주연급 배우들을 조·단역에 캐스팅할 수 있었던 데에는 다 나름의 이유가 있었던 거죠. 대중적인 영향력은 브래드 피트와 안젤리나 졸리 커플이 최강이겠지만 미국 내 문화·예술계 내부적으로 다니엘 데이-루이스와 레베카 밀러 감독 커플 만큼 영향력이 강한 집안도 찾아보기란 그리 쉬운 편은 아닐 듯 합니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피파 리의 특별한 로맨스>의 주인공 피파 피(로빈 라이트)는 작가 출신으로 출판 사업에 뛰어들어 크게 성공을 거둔 허브 리(앨런 아킨)의 나이 차 많은 부인입니다. 영화는 피파 리의 과거와 현재를 오고 가면서 중년 여성의 자아 찾기라는 고전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지요. 유명한 희곡 작가의 딸로서 성장했고, 유명한 배우의 아내로서 살고 있는 레베카 밀러 감독 본인의 자전적 경험이 적잖게 투영된 작품이란 생각을 하게 되는 작품입니다.

젊은 시절 목표 없이 표류하던 피파 리(블레이크 라이블리)가 허브 리와의 만남을 통해 인생의 정착지를 발견하게 되었던 그 순간, 유부남이었던 허브 리의 부인 지지 리(모니카 벨루치)가 눈 앞에서 권총 자살을 했고 그 이후 피파 리의 결혼 생활에 대한 상당한 압박감으로 작용해왔다는 부분은 그야말로 내밀한 고해성사처럼 들리기까지 합니다.




영화 전반적으로 스토리텔링 방식 자체가 기승전결을 잘 짜맞춘 방식이라기 보다는 생각나는 데로 자유롭게 기술해나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산만하게 느낄 수도 있겠지만 적은 시간 내에 꽤 많은 이야기와 느낌들을 담아내는 데에 성공하고 있다고 평가를 해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혹시 저처럼 로빈 라이트 – 작년에 숀 펜과 이혼하면서 더이상 로빈 라이트 펜이 아니로군요 – 를 평소에 좋아하셨던 분들이라면 로빈 라이트 연기 경력에서 최고의 모습을 보실 수 있는 작품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젊은 시절의 피파 리로 출연한 블레이크 라이블리는 얼마 전 <타운>을 통해 처음 알게된 배우인데 역시나 실망시키지 않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더군요. 그외 키아누 리브스, 위노나 라이더, 줄리안 무어, 모니카 벨루치, 마리아 벨로 등이 배역의 비중에 상관 없이 적재적소에 등장하며 반가움을 – 세월의 무상함과 함께 – 더해주는 작품입니다.


”]


영진공 신어지





 

음악으로 만나는 청춘영화 두 편





영화를 음악으로 만나자!

그래서 준비한 두 편의 청춘영화는 1994년 개봉작 “청춘스케치(Reality Bites)”와 2000년 개봉작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High Fidelity)”이다.

먼저 “청춘스케치(Reality Bites)”.
“현실은 우리에게 아픔을 준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 “Reality Bites”가 어찌하여 “청춘스케치”라는 요상한 제목으로 변신하였는지는 알 도리가 없으니 더 이상 문제삼지 말고 전진하도록 하자.

  청춘스케치 (Reality Bites, 1994)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벤 스틸러의 감독 데뷔작으로 이단 호크, 위노나 라이더, 벤 스틸러가 주연을 맡았고 지닌 가라팔로, 스티브 잰이 함께 연기하였다.

X 세대라고 불리운 당시 미국 젊은이들의 삶과 고민 그리고 사랑을 잔잔하게 묘사하는 이 영화는, “Reality Bites”라는 제목처럼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젊은이들의 삶을 과장이나 분칠 없이 차분하게 보여주고자한다.  그래서인지 흥행성적은 평범했었지만 좋은 평가를 많이 받았다.

이 영화는 또한 사운드트랙이 커다란 인기를 끌었는데, 신인이거나 거의 알려지지 않은 뮤지션들이 이 영화를 통해 스타로 발돋움하기도 하였다.

자, 음악 속으로 고고~ 고고~

1. “My Sharona” By The Knack

그룹 The Knack이 1979년에 데뷔곡으로 발표한 이 노래는 발매되자마자 선풍적 인기를 끌며 빌보드 챠트 1위에 올라 6주 연속 머물렀다.

그리고 15년이 지난 1994년에 영화 “Reality Bites”에 삽입되면서, 다시 빌보드 챠트에 등장한다.  이런 경우는 여러 번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영화 “사랑과 영혼”에 삽입된 “Unchained Melody”와 영화 “웨인즈 월드”의 “Bohemian Rapsody”가 그러하다.



영화 속에서 만나는 “My Sharona”


뽀나스로 준비 한 The Knack의 “Good Girls Don’t”


2. “Baby, I Love Your Way” By Big Mountain

Peter Frampton의 1976년 히트곡인 이 노래 역시 그룹 Big Mountain이 신나는 Reggae리듬으로 다시 불러 영화에 삽입되면서 다시 커다란 히트를 기록한다.

사실 이 노래는 1988년에도 그룹 Will to Power가 불러 빌보드 챠트 1위에 올랐고, 다음으로 소개 할 영화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에도 삽입되는 등 세월이 흘러도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고있는 곡이다.



Big Mountain, “Baby, I Love Your Way”

사용자 삽입 이미지영화의 스틸 컷

3. “Stay” By Lisa Loeb

Lisa Loeb은 이 영화 덕분에 스타가 된 케이스.  영화가 제작 될 당시 가수 지망생으로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활하던 Lisa의 남자친구는 바로 영화의 주인공인 이단 호크.

그는 Lisa의 노래 테이프를 들고가 감독인 벤 스틸러에게 들려주었고, 벤은 이 노래를 영화에 삽입하게된다.  그리고 영화를 통해 처음 대중들에게 선보여진 이 노래, “Stay”는 미국과 영국의 히트챠트에서 동시에 1위를 기록하는 등 말 그대로 대박을 쳤고 Lisa Loeb은 탄탄한 성공가도를 달리게 된다.

 


Lisa Loeb, “Stay”


뽀나스, “Keep On Loving You”

4. “All I Want Is You” By U2

“Reality Bites” 영화 사운드트랙의 백미 중 하나.
U2에 대해 굳이 더 적을 건 없고, 그냥 영화 속 장면으로 감상하시면 되겠다.


U2, “All I Want Is You”

자, 다음 시간에는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High Fidelity)”를 음악으로 만나보도록 하겠다.
1부 끗.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