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라이트먼” – <겁나는 여친의 완벽한 비밀>

산업인력관리공단
2006년 8월 31일

찌질아, 찌질아, 왜 사니? 쯧쯧 -_-;

지대 찌질남의 공식 저질 찌질 기록기
수퍼 히어로물은 기본적으로 남자들의 성장담이다. 특별한 힘을 가진 주인공이 자신의 힘과 자신의 운명을 자각하고, 갈등과 시련의 시기를 거쳐 자신의 정체성을 완성하게 되고 마침내 (어쩌면 또다른 자신이기도 할) 악과 대면하여 싸우고 공동체를 구해낸다. 부상으로 주어지는 것은 아름다운 여성과의 사랑, 혹은 그 여성 그 자체이다. “샘 레이미” 감독이 <스파이더 맨> 시리즈에서 좀더 노골적으로 드러낸 이러한 밑바탕의 구조는, 인간=남자(Man!)의 공식이 자연스러운 시대의 자연스러운 소산물이었다. 이 성장담은 소녀들이 감정이입을 하려면 기표의 외관을 훨씬 더 탈색시켜야 하는 의도적 노력이 뒤따른다. 이러한 성장담에 대해 보통 여성관객은 관찰자이고 제3자이다.

이제, 자아실현 따위의 고상한 이유가 아닌, 생계를 위해서 임노동을 하는 게 당연한 한편 사회적으로도 주체적인 자리에 서서 남자들과 경쟁하는 여성들은 자신들의 역할모델, 혹은 자신들의 고난과 고통과 슬픔을 대신 표현해낼 은유의 대리자를 새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90년대 <쉬즈올댓>을 필두로 헐리웃에서 쏟아져 나온 틴에이지 소녀물은 적극적이고 잠재력이 높은 새로운 시장 – 대중문화에서 자신의 정체성의 표상을 확립하고 발견하며, 적극적이고 꽤 파워풀한 소비자계층으로 떠오른 소녀층 – 을 발견하고 집중공략하려는 과정에서 나온 임시 성과물이었다. 이제, 이 소녀들은 나이를 먹고 사회에 나와 숱한 연애를 경험하고 직업여성(그 직업이 꼭 고소득의 전문직은 아니더라도)으로서 생계전선에서 분투한다. 많은 로맨틱 코미디 중, 성인여성이 아닌 ‘소녀성’을 간직한 영화들(이 영화들을 ‘소녀영화’라 부르기로 하자)의 계보가 90년대에 고등학생을 주인공으로 했던 반면 2000년대 들어 2, 30대 직장여성을 주인공으로 삼고 있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지도 모른다.

G걸의 캐릭터는 여러 가지 면에서 엄청난 가능성을 품고 있었다. G걸은 뉴욕의 각종 사건사고들을 해결하는 수퍼히어로지만 G걸의 일상인 캐릭터인 제니 존슨(“우마 써먼”)은 성인의 외모와 번듯한 직업을 갖고 있긴 해도 기본적으로 성장이 멈춘 어린 소녀다. 우연히 새로운 힘을 갖게 되고 그 힘에 도취된 채 성인이 되는 통과의례를 한없이 미뤄온. 영화 초반 맷 선더스(“루크 윌슨”)와의 이런저런 에피소드와 여기서 유발되는 웃음들은, G걸의 누가봐도 완벽한 성인 여성이라는 외적 조건과 성장이 멈춘 채 어린 아이에 머물러 있는 내적상태의 모순과 괴리에서 나온다. 고져스한 외모를 갖고 있다 해도 그녀는 여전히 사람들과의 관계가 서툰, 중, 고등학교 때의 왕따의 모습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그녀는 진지한 관계를 갖고 그 관계를 차분히 진행해 나가는 데에 더없이 서투르다.

또 한편으로, 남성들의 시선에 철저히 포획당했던 원더우먼을 제외하고는 줄곧 남성들이 차지해온 ‘주인공’ 수퍼히어로의 자리를 꿰차고 있다. 그는 예컨대 배트맨을 보조하는 배트걸이나, 주인공처럼 다뤄지긴 해도 실제로는 “미스터 판타스틱의 여자친구”인 인비저블 걸(『판타스틱 포』)과 다르다. 패셔너블한 의상을 입은 G걸의 활약을 묘사하는 방식이 영화의 장르적 특성상 매우 경쾌하고 발랄하며 꽤 과장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기존의 수퍼히어로물을 상당히 비꼬는 듯한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 당당한 매력을 지닌 그녀의 경쾌하고 발랄한 분위기 앞에서 예컨대 수퍼맨은 한없이 촌스럽고 배트맨은 덧없는 후까시를 겹겹이 둘러입은 듯 보이며 스파이더맨은 궁상맞게 느껴질 정도다.

매일 사람들을 구하며 사람들의 연호를 받지만 자신이 도움을 받은 적은 없으며 언제나 외로웠던 제니 존슨 – G걸이 연애에 빠져 허부적대는 모습 그 자체는 사랑스럽다. 그 상대가 그녀를 감당할 능력도 주제도 못 되는 수준 이하의 찌질남이라는 사실 자체도 별로 문제될 것은 없다. 하지만, 이 영화가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 두 사람의 관계를 그리는 방식과 관점은 충분히 문제가 된다. 영화를 보는 동안 나는 “My Super Ex-Girlfriend”이라는 원제의 의미를 과소평가하고 있었다. 뒤늦게 깨달았지만, 이 영화의 주인공이 결국 G걸이 아니라 G걸을 찬 맷 선더스라는 것이고, G걸은 역시나 맷 선더스의 시점에서 철저하게 대상화되어 다루어진다는 것. 그렇기에 그녀가 아무리 수퍼히어로라 한들, 그녀의 서툰 인간관계는 ‘또라이’로 딱 잘라 비하되며, 결국 맷 선더스가 “그 대단한 여자를 따먹은 게 바로 나”라는 찌질맞은 훈장을 자랑하는 게 이 영화의 정체라는 것이다. 최소한의 인간에 대한 예의도 없이 그저 천하의 G걸을 따먹었다고 자랑스럽게 낄낄대면서 다른 여자에게 진정한 사랑 운운해대는 이 찌질한 남자가 심지어 ‘평범한 소심인 남자’로 포장되는 과정은 정말, 역겹다. 이 영화, 거기다 모든 남자들의 은밀한 판타지 – 잘난 두 여자가 나 한 사람을 두고 싸워줬으면 – 를 꽤나 뻔뻔한데다 저질스럽게 보여주는데, 어이가 없어서 기절할 지경. 덕분에 해너(애너 패리스)라는 캐릭터까지 바보 멍청이가 돼버리지 않는가.

애초에 이 영화는 G걸이라는 어마어마한 잠재성을 가진 캐릭터를 만들어놓고도 그 캐릭터를 깎아내리기에 바쁜 이 영화, 결국은 G걸이라는 ‘캐릭터’에는 아무 관심이 없는 채 그저 그런 여자의 사랑을 받는 걸 평생의 자랑으로 내놓는 찌질한 남자의 찌질한 행동짓거리를 늘어놓으면서 G걸을 바보만들기에 바쁘다. 만약 이 영화가 끝까지 밀어부치는 G걸의 통쾌한 복수담이었다면, 혹은 수퍼히어로서의 성장담 – 그것이 꼭 여타의 수퍼히어로물처럼 진지하고 폼잡는 방식으로 구현될 필요도 없다, 자신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스스로 자기존엄성을 되찾는 것은 그저 찌질남을 차고 괜찮은 다른 남자를 스스로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은유가 될 것이다 – 을 다뤘다면, 다수의 여성 관객들과 일부 남성 관객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는 컬트영화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마치 <금발이 너무해>가 성공적으로 해낸 것처럼. 하지만 여성비하적 전제를 가진 이 영화는, 사회적으로 성공하고 인정받는 여성의 어떤 미숙함을 낄낄대며 극단적으로 과장해 비하하기 바쁘다. 인터넷에서 마치 그런 여성에 대해 ‘그래봤자 걔도 별 거 아니다, 내가 따먹은 애다”라고 소문을 내며 그녀를 깎아내리고 낄낄대는 것으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고자 하는 찌질댐. 이 영화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하긴, “이반 라이트만”이 노린 것은 어쩌면 오늘날 인터넷에 거대다수로 자리잡고 있는 이 찌질세력들의 절대 지지를 받는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ps1. 그러나 “우마 써먼”은 여전히 눈부시다. 『킬빌』의 이미지를 씻어내려는 듯한 “우마 써먼”의 최근 행보를 생각해 본다면, 이 영화에서의 우마 써먼이 지독하게 아깝다고는 해도 정작 “우마 써먼” 본인에겐 손해보는 부분은 없을 듯 하다.

ps2. 꽃 들고 온 맷에게 제니의 표정이 금방 바뀌는 걸 보고, 제니의 애정결핍 때문에 J.는 참 짠하고 슬펐다 한다. 난 미사일을 처리하고 온 그녀가 맷과 해너를 보고 짓는 표정이 슬펐다.

산업인력관리공단 조사1부 부장
노바리(invinoveritas@hanmir.com)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