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인걸: 측전무후의 비밀”, 홍콩식 무협의 추억


서극 감독의 신작 <적인걸 : 측천무후의 비밀>은 미스테리 무협물을 표방한다.

중국 역사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여황제로 기록된 당나라 측천무후(유가령)의 즉위식을 위해 초대형 불상이 세워지던 중 그 공사 과정에서 책임자들이 자연발화하는 사건이 일어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8년 전 측천무후의 섭정에 반대하다가 반역죄로 몰려 복역 중이던 황실 직속의 수사관 적인걸(유덕화)이 소환된다.

7세기 중국을 배경으로 멋진 과학 수사의 진면복을 보여줄 것 같았던 적인걸은 그러나 과학 보다는 다양한 술법이 가미된 무협 수사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며 자연발화 사건과 측천무후의 최측근 국사의 비밀을 풀고 여황제의 즉위식을 지켜낸다.

영화의 소제목으로 사용된 ‘측천무후의 비밀’이란 국사라는 비밀스러운 존재를 통해 반대 세력을 척결하면서도 그에 대한 비난을 피해왔던 섭정의 대가 측천무후의 통치술이다. 적인걸은 측천무후의 섭정을 반대했던 인물이지만 지난 8년 간 중국이 대평성대를 이룬 모습을 통해 측천무후의 편에 서게 되고 황제 즉위를 반대하는 세력으로부터 측천무후를 지켜내기까지 한다.

과정이야 어쨌거나 지금까지 나라 살림을 잘 해오셨으니 앞으로도 이처럼 잘 해주시기만 한다면야 더 바랄게 없겠다는 홍콩과 중국 대중들의 마음을 실어 적인걸로 하여금 측천무후에 대한 지지 선언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바깥에서는 중국 정부로부터 박해를 받고 있는 천안문 세대의 인권운동가에게 노벨평화상을 수여하며 경계를 하고 있는 중이지만 중국 내부에서의 목소리는 이처럼 통일 중국과 그 성장세를 시종일관 지지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적인걸 : 측천무후의 비밀>은 여러모로 80년대 홍콩 무협영화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는 작품이다. 오랜만에 보는 광동어로 진행되는 영화라서 – 중국 본토 상영 때는 북경어로 더빙할 듯 – 그런 것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만듦새가 요즘 영화 같지가 않고 자꾸 옛날 영화를 보는 듯 해서 그렇다.

과장된 스케일과 과장된 캐릭터들, 그리고 무엇보다 이들이 하고 있는 무협 액션에서 옛날 영화 냄새가 많이 난다. 시대가 바뀌어 컴퓨터그래픽이 상당히 많은 역할을 해주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세트장 안에서의 와이어 액션과 편집 기술에 의존하는 대부분의 액션 장면에서 그 때 그 시절의 느낌이 적잖이 묻어난다는 얘기다.

심지어 일부 장면에서는 디지털로 촬영해서 이어붙인 듯한 이질적인 화면이 발견되고 있어 이 영화는 앞으로 5년도 지나지 않아 금새 상당히 낡은 느낌을 전해주는 영화로 남게될 수 밖에 없으리란 걱정이 들 정도였다.

그래도 나름 긍정적인 부분은 홍콩영화의 전성 시대를 풍미했던 추억의 스타들이 아직까지 건재한 모습으로 주요 배역을 차지하며 활약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정도가 아닐까 싶다.

유가령과 유덕화, 두 주연배우 뿐만 아니라 양가휘와 심지어 오요한의 모습까지 볼 수 있었다는 건 – 비록 모든 관객들에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닐지라도 – 나름 기억해둘만한 일이었다고 생각된다.

여기에 크리딧에서 발견한 ‘무술감독 홍금보’ 역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인데 덕분에 이 영화의 액션이 그토록 옛스러워 보였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영진공 신어지

왜 얼룩말은 “얼룩”말일까???



영화 ‘말아톤’에서 100만불 짜리 다리를 가진 초원이는 세렝게티 초원을 죽기살기로 내달리는 얼룩말을 보며 달리기에 대한 낭만(?)을 꿈꿨지만 호기심 대마왕이었던 과학자들은 좀 엉뚱한 생각을 떠올렸다.
 










왜 얼룩말은 ‘얼룩’말일까~~~~~~~~~~!?



동물들은 저마다 독특한 무늬를 가지고 있다. 그런 무늬를 보노라면 저게 과연 저절로 만들어 졌다는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이쁘고 정갈하기 그지없다. 게다가 어떤 놈은 점땡땡이 무늬고 어떤 놈은 줄무늬고 어떤 놈은 기하학적 패턴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도대체 동물들의 무늬에는 어떤 원리가 숨어있는 것일까.

생물들의 무늬는, 과학과 만리장성을 쌓고 있는 사람이라도 들어보았을, 멜라닌이라는 색소세포에 의해 색이 발현되는 것이다. 멜라닌은 단백질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유전학적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무늬가 만들어지는 원리는 유전학이 아닌 다른 설명이 필요하다. 유전자가 만능이라 해도 ‘3cm 폭의 줄무늬를 2cm간격으로 그리시오’라던가 ‘반지름 3cm의 원을 4.5cm 간격으로 찍으시오’ 따위의 시시콜콜한 명령을 내리고 있기에는 유전자는 바쁘신 몸이다.





혀…..형?

게다가 종을 뛰어넘어 동물과 어류 사이에서도 비슷한 무늬를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종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어떤 원리 때문이며 이 원리는 모든 생물이 동일하다고 추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하나의 원리는 현재 모든 생물의 무늬 패턴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만 했다.

멜라닌은 색소세포다. 즉 무늬는 색소에 의한 패턴이며 색소는 화학반응의 결과물이다. 다시말해 무늬의 패턴에 숨겨져 있는 원리는 화학반응과
 관련이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이 화학반응을 방정식으로 정리한 최초의 인물은 영국의 천재 수학자이자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한 앨런 튜링이었다.

 








일반 사람들에겐 튜링 패턴보다는 2차대전 당시 독일의 에니그마를 엿먹인 인물 혹은
 인공지능의 창시자로 더 유명한 앨런 튜링. 하지만 2차 대전 당시의 연구활동에 대해서는
기밀사항이란 이유로 인정받지 못했고, 동성애자임이 알려져 강제적으로
약물 치료를 받아야 했다. 결국 육체적, 정신적으로 망가진 그는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이게 다 SBS때문이다!

1952년 튜링은 “형태발생의 화학적 기초 the chemical basis of morphogenesis라는 논문을 발표한다. 2종 이상의 분자가 서로 반응하면서 확산에 의해 주위로 퍼져 나가면 줄무늬를 비롯한 다양한 무늬가 저절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방정식을 이용해 밝혔다. 여기서 나온 방정식을 반응확산 방정식, 만들어진 패턴을 튜링 패턴이라고 한다.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한 여러 튜링 패턴들




지금이야 이 튜링의 논문은 가장 영향력 있는 논문 중의 하나가 되었지만 당시에는 그렇지 못했다. 생물학자가 아니었던 튜링의 이론은 발표 후 생물학자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그저 이론으로만 평가되었다. 게다가 그의 이론은 우리의 직관하고도 달랐다. 예를 들어 잉크방울을 투명한 물속에 떨어트리면 고루 확산되어 탁해져야 하는데 반해 튜링의 이론에 의하면 확산이 다시 응집을 일으키며 잉크방울이 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튜링패턴이 실재세계에도 적용가능한 이론이라는 것을 1950년 구소련의 보리스 벨로소프B.P.Belousov(1893~1970)에 의해 벨로소프∙자보틴스키 반응(B-Z reaction)으로 확인된다. 이것은 튜링 이론이 예언하는 무늬를 화학 반응으로 실현한 것이다. 





BZ반응에서는 비커 속에 특정한 시약을 넣고 계속 흔들면, 용액이 붉은색이
되거나 푸른색이 되거나,
번갈아 변화한다. CG가 아니다!





얇은 살레 등에서 섞지않고 BZ반응을 일으키면 동심원의 무늬나 소용돌이 무늬가 생기며
파동처럼 퍼져 나간다. 물론 CG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