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영화 그 노래] “오블리비언”, A Whiter Shade of Pale

 

 


 


 



 


 


2013년 개봉작 “오블리비언”은 제작, 각색, 감독을 맡은 조셉 코신스키의 자작 동명 그래픽 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영화이다. 그리고 오블리비언(Oblivion)은 망각을 뜻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톰 크루즈, 모건 프리먼, 올가 쿠릴렌코가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솔직히 말하자면 그냥 킬링타임용 영화라고 보면 되겠다. 그동안 수도 없이 보아왔던 스토리 라인과 그저 평범한 비쥬얼 그리고 누가 봐도 뻔히 알 수 있는 반전까지 …


 


그래도 나름 시원한 화면과 비행장면의 다이나믹함은 볼만했고, 뻔한 스토리를 매끄럽게 이어나가는 연출력도 괜찮긴 하다.


 


암튼 이 영화에서 주인공인 잭 하퍼와 줄리아가 숲 속 오두막에서 서로의 사랑을 되짚어 나가는 장면에서 흘러나오는 노래가 있는데, 그 노래가 바로 1967년에 나온 Procol Harum의 “A Whiter Shade of Pale”이다.


 


장엄하게 울려퍼지는 오르간과 함께 바하 스타일의 멜로디로 전개되는 이 노래는,


허나 가사를 들여다보면 좀 뜨악해진다. 이게 뭔 소린가 싶어서 … 아마 그래서 이 노래를 삽입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


 


일단 들어나 보자, 그 노래.


 


 



 





 



We skipped the light fandango
turned cartwheels ‘cross the floor
I was feeling kinda seasick
but the crowd called out for more
The room was humming harder
as the ceiling flew away


When we called out for another drink
the waiter brought a tray


팬댕고 커플댄스를 폴짝폴짝 뛰고,


객석을 가로질러 물구나무서서 구르기를 하였네,


배멀미가 느껴졌지만,


관객들은 더하라고 조르네,


천정이 날라가 버릴듯이,


방 안은 웅성거림으로 가득하네,


우리가 술을 더 달라고 하자,


웨이터는 술수레를 끌고 오네,  


 

And so it was that later
as the miller told his tale
that her face, at first just ghostly,
turned a whiter shade of pale


그리고나서 얼마 후,


밀러(옛 이야기에 나오는 주정뱅이)가 설화를 이야기할때,


그녀의 얼굴은 마치 귀신을 보기나 한 것처럼,


창백한 하얀 빛으로 변했지, 


 

She said, ‘There is no reason
and the truth is plain to see.’
But I wandered through my playing cards
and would not let her be
one of sixteen vestal virgins
who were leaving for the coast
and although my eyes were open
they might have just as well’ve been closed


그녀는 말했어,

“이유 따위는 없어, 진실은 보이는 그대로인 거야”

하지만 나는 카드놀이에 빠져서,

그녀가, 바다로 떠나는 열 여섯 베스탈 버진(그리스 신화에 나옴) 처럼,

떠나도록 놔두질 않았지,

내 눈은 크게 뜨여있었지만,

사실 그냥 감겨져있는 거나 다름 없었어,

 

She said, ‘I’m home on shore leave,’
though in truth we were at sea
so I took her by the looking glass
and forced her to agree
saying, ‘You must be the mermaid
who took Neptune for a ride.’
But she smiled at me so sadly
that my anger straightway died


그녀는 또 말했지, “난 상륙허가를 받아서 집에 와 있어”,


하지만 실은 우리 모두 바다에 있었지,


그래서 나는 그녀를 전망경으로 데리고 가서는,


이걸 깨닫도록 했지,


“너는 인어란 말야, 넵튠(바다의 신)이 사랑하는 …”


허나 그녀는 너무도 슬픈 눈빛으로 나를 바라보았고,


나의 분노는 바로 사그라 들었어,


 


If music be the food of love
then laughter is its queen
and likewise if behind is in front
then dirt in truth is clean
My mouth by then like cardboard
seemed to slip straight through my head
So we crash-dived straightway quickly
and attacked the ocean bed


음악이 사랑의 양식이라면,


웃음은 사랑의 여왕이지,


그런 전차로 뒷쪽이 앞이 되면,


더러움은 사실 청결함이지,


그 무렵 나의 입은 마치 골판지처럼,


내 머리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갔네,


그래서 우리는 급히 탈출 다이빙을 실시하였고,


바다 밑바닥을 공격하였네,


 


 


 


솔직히 뭔 소린지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이 노래의 가사는 영어가 원어인 영국, 미국에서도 … 이게 도대체 뭔 얘기인가 하는 의견이 분분하다.


 


그 중 다수를 차지하는 의견은 … Lucy in the Sky with Diamond처럼 분명히 약 빤 기분을 의미하는 거다 … 라고들 한다.


 


그게 맞는지 아닌지는 작사가가 알고 있겠지만, 그는 당연히 … 전혀 그런 거 아니다, 그냥 있는대로 받아 들여달라라고만 한다.


 


이 정도에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무리하면서 A Whiter Shade of Pale 얘기할 때면 빼놓지 않고 언급되는 바하 옹 최고의 히트곡 중 하나를 들어보도록 하자.


 


그럼 즐감~ ^^


 


 



영진공 이규훈


 


 


 


 


 


 


 


 


 


 


 


 


 


 


 


 


 


 


 


 


 


 


 


 


 


 


 


 


 



 

“우주 전쟁”, 세상의 단순한 이야기를 블록버스터에 담아낸 영화


기억이 정확한지는 장담할 수 없는데 ‘1’자를 날카롭게 간 샤프심으로 ‘7’자로 고쳤던 것만은 확실하다. 고등학교 2학년 여름방학 보충수업료 통지서를 새벽 5시 30분에 엄마의 눈앞에 디밀었던 건 분명히 잠결에 별 생각 없이 안경도 끼지 않고 그냥 주시리라 하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엄마의 “지우개 가져와봐라”라고 나직이 읊조리는 한마디는 재앙이었다.


아노미, 인샬라,

알고도 모른척하는 사람은 무섭다.
그게 사람이 아닐 땐 더욱 그렇다.

정체뿐만 아니라 그 근원마저 불확실한 다른 생명체가 지구를 덮치는 우주전쟁은 그 제목의 진부함 따위는 안중에도 없다. 그래, 제목 따위야 후지면 어떠냐? 스티븐 형아에, 톰 형아에, 당시 10세 전후 최고미녀 다코타양까지 최고의 진용을 갖추지 않았더냔 말이다. 이 셋의 진용만으로도 비슷한 타 영화에게는 그야말로 ‘트라이포드’같은 놈들이었던 것을 ……

“꿈과 용기와 희망을”이라는 ‘5共’ 풍의 1980년대적 카피의 우리나라 포스터와는 상관없이 스필버그의 영화들은 영화 자체의 힘이 넘쳤다. 녹조낀 서해안 바닷가에 폐타이어 끼고 놀던 우리가 플로리다 광활한 푸른 해변에 15미터짜리 죠스의 꿈이 있을리 없었고 국민소득 3만불짜리 미국 중산층 가정사를 배경으로 한 아이들의 스펙타클 모험 이야기가 우리에게 줄 용기는 없었다.

뿐이랴? 수 천번을 침략당하고도 “그래도 살아는 있었네”라는 자조적인 국사교과서 멘트를 끈질긴 민족의 저력으로 눈가리고 아웅하는 우리에게 당당히 문화침략자로서 영웅시되는 헤리슨 형이 어떤 희망을 줄 지 알지 못했다. “꿈과 용기와 희망을”은 미국시민권자이며 중산층 정도에 살며 최소한 백인쯤은 되어줘야 가능한 케치프레이즈였지 최류탄을 머리에 맞고 국가 기관 지하에서 탁치니 억하고 죽어나갔던 군부독재하의 암울한 우리에게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는 그저 두 시간짜리 뽕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스필버그는 영화를 잘 만들고서도 권력의 소외자들에게는 뻥쟁이, 뽕쟁이로 몰릴 수밖에 없었던 것 아니겠는가?

“우주전쟁”(2005)은 나이를 먹어가며 조금씩 솔직해지는 “스티븐 스필버그”의 역작이라고 말하고 싶다. 의외로 답은 간단하며 실제로 정의는 대단치 않고 살거나 죽는 건 가오다시 잡을 틈이 없다는 세상의 아주 단순한 이야기들을 블록버스터라는 공룡의 아가리에 집어 넣는 담대함에 역시 스티븐 형은 대가다란 생각이 든다.

“아미스타드”에서부터 변화를 꾀한 스티븐 스필버그는 “우주전쟁”을 통해서 확실히 자신의 나와바리를 넘겨 버렸고 이후로도 계속되고 있다. 난 아직도 밤 10시 미팅 시간 잡아놓고 2시간 뒤에 술이 떡이 되어서 나타난 클라이언트의 홍보성 광고 제안서 단가로 고민하는 중이다. 그래도 “우주전쟁”에서 보여준 스티븐 형아의 화법대로라면 난 아직 살만하다.

난 비루하고 비겁하고 비리비리한 소시민이지만 쳇, 수 억년 벼르고 벼르다가도 어이없이 당하는 바보들도 있는데 뭐가 그리 걱정이란 말인가?

영진공 그럴껄

“배틀 LA”와 현실의 전쟁, 그 묘한 연관성



2011년에 개봉할 영화 <배틀 LA>의 티저 예고편이 나왔다.

들리기로는 최근에 개봉했던 대형 떡밥영화 <스카이라인> 제작진이 사실 원래 위 영화 특수효과담당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배틀LA>측에서는 <스카이라인>제작진이 특수효과 하면서 슬쩍한 아이디어로 미리 짝퉁을 만든 것으로 간주해서 좀 시끄럽다고 ……


이 예고편에는 우리나라 서울도 등장한다. 물론 사진을 아무리 봐도 서울같지는 않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이 영화에 등장하는 외계인 침공장면이 익숙하다는 거.

최근 <트랜스포머>나 <우주전쟁> 기타 등등 외계인 영화를 많이 봐서 익숙한게 아니라, 실제 전쟁장면 특히 이스라엘이나 미국이 아라비아 반도 근처에서 벌이곤 하는 포격이나 공습장면을 연상케 한다.

아마 그 동네 주민들이 딱 저런 심정이었을거다.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지구 포격장면. <배틀 가자> 라고나 할까…

그런데 이 영화에서는 미국과 미국 주민들이 바로 이런 식으로 공습을 당한다.
왜 헐리웃에선 이런 영화를 만들었을까? 몇가지 가설을 생각해볼 수 있다.

첫째는,
미국을 공습할 수 있는 나라는 외계인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거다.

아무리 미국이 지금 좀 빌빌거려도 나머지 국가는 감히 덤빌 생각말라는 거.
미국의 군사비가 나머지 전세계 국가의 군사비와 삐까삐까한 건 사실이니 ……

둘째 가설은,
미국이 원하는 적을 상상한 결과라는 거.
미군의 장비와 체계가 상정한 적은 원래 미군과 비슷하게 강한 장갑과 무장을 갖춘 정규군이었다. 세계최강의 탱크, 세게 최강의 전투기, 스텔스 폭격기가 그래서 필요했다.

수에즈 운하를 지나가고 있는 항공모함의 모습

하지만 실제 세상에서는 그런 적은 없고 어이없게도 급조폭발물 터트리고 저격하는 게릴라들을 상대하며 소진되어 가고 있다. 그러니 상상속에서라도 한판 크게 맞짱뜨고 싶은 마음이 표현된 것이라고 할수 있는 거다.

마지막 가설은,
영화제작자들의 양심 한구석에 또아리 튼 죄책감이다.

우리가 전세계에서 맨날 이런 짓 하고 있으니 언젠가 우리도 그렇게 당할 날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그런 상상으로 나타난 것이라는 거다.

어쨌거나 전쟁은 영화 속에서 볼 때나 그럴듯하다.
현실로 다가오면 그건 비극이고 재앙일 뿐이다.
우리 모두의 삶을 파괴할 ……

연평도 포사격 훈련날 아침 출근길에 일렬주차된 차를 낑낑거리며 밀다가
아파트 앞에서 주부 둘이 나누는 대화를 들었다.
아이들을 어떤 캠프에 보내기로 했던 모양인데 어느 집에서 안보내기로 했단다.
왜냐면 언제 전쟁날지 몰라서. 애를 멀리 보낼 수 없다고 ……

10년도 지나지 않았다.
남북한의 대표자가 나란히 앉아서 건배를 하던게 …
그런데 이제는 곧 전쟁이 터져도 이상하지 않을 분위기다.

어떤 사람들은 그게 더 속편한 모양이더라.
오히려 그 당시가 빨갱이 세상이었다고 …
평화는 빨갱이가 가져오고 전쟁은 파랭이가 가져온다면
백번천번 빨갱이가 낫다는게  내 입장이지만,
이 나라 사람들이 죄다 전쟁을 해서라도 빨갱이(그게 누군지는 몰라도)
싹 없애야 하겠다면, 결국 그렇게 가게 될거다.
그게 민주주의니까.

어쩌다가 이꼴이 되었을까….

참, 그 사이에 한명숙 전 총리 공판에서 벌어진 일은,
TV 드라마보다 더 극적이다.

공판장에서 누가 쓰러져 119에 실려가는 일은 드라마에서만 있는 줄 알았는데…

[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10122017314745009&linkid=4&newssetid=1352 ]

올해는 참 더디게 간다.
모든 일이 질질 끌면서 …

내년도 더디게 가겠지.
무슨 5년이 한 50년 가는 것 같다.
끝나고 나면 다 늙어있을 것 처럼 …

후우 ……

영진공 짱가

“불청객”, 영화는 길고 밀도는 엷다.



괴작 영화라는 “불청객”,
영화는 …… 그냥 괴작이었습니다.

적어도 그 수준에서는 잘 만들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그 수준이라는게, 디씨인사이드의 합성갤 수준이라는 점이죠.

몇몇 주어진 여건을 영리하게 활용한 장면이 있고,
SF가 뭔지를 알고 있다는 점은 분명히 좋았습니다.
하지만 그걸로 버티기엔 영화가 너무 길었어요.

영화보다는 앞에 보여준 모큐멘터리(를 지향한 영상)와 광고전단지가 더 괜찮았다는,
광고전단지 귀퉁이에는 떠든사람 “무인촌, 삼명박’ 이라고 씌여 있더군요.

덧붙여 이런 영화는 ‘필름포럼’ 이라는 고상한 곳에는 좀 안어울린다는 ……
거기는 팝콘도 안 팔아요.

커피라고 파는건 점원 한명이 직접 드립핑하며 만드는 거라 한잔 만드는데 거의 5분.

우리는 바로 앞사람 커피 “완성”되길 기다리다가 영화상영 시작 전이라고 짤렸음.
아니 왜? 혹시 모르죠 그 점원이 영사기도 돌리는지 ……
거기 분위기로 봐서는 그런 일도 충분히 가능할 듯  -_-;;;

이런 B급 영화를 팝콘도 없이. 그나마 커피도 없이 어떻게 보란 말인지.
아, 진작에 콜라를 사들고 들어갈 것을 ……
혹시 가실 일 있으면 미리 음료수 사들고 들어가세요.

도대체 어떤 영화인지 궁금하시다면 감독의 전작인 단편영화 “진달래”를 보시길.


“불청객”은 이 영화를 60분 분량으로 늘렸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약간의 특수효과가 덧붙여졌고 아이디어의 밀도는 낮아졌죠.

“군대를 갔다왔더니 아저씨가 되었어”

아, 그래서 원빈이 아저씨구나…..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