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륜아 -1




할머니는 열두 평 임대 아파트에 살았다. 현관문을 열면 집안의 모든 곳이 한눈에 들어왔다. 배가 고프면 그곳 냉장고 안을 지범거렸다. 할머니는 베란다와 잇댄 큰 방에서 맞은 편 아파트 옥상에 겨우 걸린 태양을 보며 담배를 태웠다. 앞 동에 가려 볕은 들지도 않았는데 할머니는 말했다. 애비나 새끼나 키워놔도 생판 남인디 개새끼를 키울 걸 그랬어야. 대꾸 없이 배를 채우고 현관문을 닫았다. 내가 사는 반지하 쪽방은 노인 고린내가 나지 않았다.


그날도 배가 고팠다. 현관문을 열자 여전하게 집안의 모든 곳이 한눈에 들어왔다. 한쪽 문짝이 떨어져 나간 신발장 안에 광나게 닦인 비닐 구두 두 켤레가 끝줄을 맞추고 있었고, 나일론 털이 삐친 빗자루와 이 나간 쓰레받기가 신발장에 가지런히 기대 있었고, 바닥에 쇠솔 자국이 선명한 스텐 냄비가 가스렌지 위에 갸우뚱 앉혀져 있었고, 몇 년 전부터 닦지 못한 기름때 몇 방울이 알루미늄 싱크대 상판에 얼룩져 있었고, 크기가 다른 각종 고지서가 원목색 시트지를 새로 입힌 팔십 리터짜리 냉장고에 붙어 있었고, 그 고지서 중 도시가스 이용료, 지방세 독촉장, 의료보험 체납 알림서, 캐피탈 대출금 최고장이 부엌과 큰 방을 나누는 미닫이 문지방 아래로 어지럽게 흩어져 있었고, 빈 소주병 세 개와 깨진 소주병 한 개가 그 주위에 나뒹굴고 있었고, 푸른색 나선이 끼어들어간 빨랫줄이 미닫이 문틀에 둥글게 매듭져 있었고, 그 문지방 위로 의자를 놓고 올라 선 아버지가 빨랫줄에 자기 목을 집어넣고 있었고, 2단 짜리 TV장 밑으로 등을 보이고 떨어진 TV가 전선 피복 타는 냄새를 풍기고 있었고, 머리가 산발이 된 할머니가 사지를 쭉 뻗은 채 큰방 구석 이불 보퉁이 옆으로 엎어져 있었고, 한 나절 태양이 남긴 잔 볕이 베란다 너머 맞은 편 아파트 옥상 모서리에 겨우 걸려 있었다.





가족 앞에서는 무서운 게 없는 분이었다. 왼쪽 뺨을 여덟 바늘 꿰매고 오른쪽 갈비 두 대가 나간 어머니는 그런 아버지가 무서워 도망쳤다. 씨펄놈아, 내가 다 죽인다. 내가 다 죽인다고. 의자에서 발만 떼면 멱이 조일 텐데 가족 앞이라 그런지 아버지는 여전히 무서운 게 없어 보였다. 조용히 아버지의 곁에 가 섰다. 청년 시절 아버지는 프레스에 한 번 잘라먹고, 선반에 한 번 밀려먹어 손가락이 여덟 개밖에 없었는데, 손가락이 모자란 모든 장애인이 이렇진 않을 것이었다. 또 그 후 아버지는 세 번의 실직과 세 번의 사기, 끝으로 한 번의 사업실패를 당했는데, 막장에 몰린 모든 가장이 이렇진 않을 것이었다.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다가 잊을 만하면 술에 취해 이곳을 찾아와 그나마 멀쩡한 세간만 찾아 부셨다. 할머니는 칼을 들고 아버지에게 나가 뒤지라고 악을 썼고 나는 그 옆에서 밥솥을 열어 끼니를 챙겼다. 다만 이번에는 할머니가 칼을 안 뽑은 모양이었다. 엎어진 채 눈동자가 위로 뒤집어진 할머니의 목 주위로 울혈은 보였지만, 칼은 보이지 않았다. 할머니의 입가에 침이 말라 버짐처럼 허옇게 번져 있었다. 개새끼를 낳지 못한 할머니의 잘못이었다. 역시 개새끼를 키우는 게 나았다.


오 세이 캐앤 유 씨, 오우 세이 캔 유우 씨, 세에이 캔 유우 씨이, 오오 세 캔 유 씨. 아버지가 노래를 불렀다. Oh, Say can you see. 줄곧 부르던 미국 국가였는데 첫 소절 가사만으로 끝까지 부를 수 있었다. 엄숙하게 노래를 마치고는 소리쳤다. 나 죽는 거 똑바로 봐라, 씨펄놈아. 용달 일을 한 전력이 있어선지 아버지가 엮은 교수형 매듭은 짱짱해 보였지만 과연 그게 아버지를 죽일 수 있을지는 의심이 갔다. 아버지의 여윈 몸은 줄에 붙들려 무겁게 늘어지는 게 아니라 장대에 널린 이불홑청처럼 가볍게 펄럭일 것 같았다.


씨펄. 아버지는 다시 소리쳤다. 그리고는 때 탄 소매로 이마의 땀을 훔쳤다. 어무이. 아버지는 다시 소리쳤다. 이번에는 때 탄 소매로 눈물을 닦았다. 아버지의 어머니는 그의 뒤에서 눈을 까뒤집고 엎어져 있었는데 아버지는 몸을 틀어 그 모습을 확인한 후 재차 어무이를 외치며 울었다. 통곡은 길었다. 곁에 서 있는 내 다리가 아플 만큼 길었다. 나는 아버지의 울음과 아버지가 한 짓과 아버지가 하려는 짓 모두를 이해했다. 내가 알고 있는 한, 아버지로 인해 행복한 사람도 없었지만 그도 행복하지는 않았다. 씨펄거리며 흘리는 아버지의 눈물을 나는 충분히 수긍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나는 아버지가 딛고 있는 의자를 발로 찼다. 낚싯줄에 걸린 물고기처럼 아버지의 몸이 사방으로 펄떡였다. 아버지의 몸에 남아 있었다고는 믿어지지 않는 생명력이 한 모금의 산소라도 더 마시기 위해 생동했다. 그 생명력은 목을 죄는 빨랫줄 사이로 여덟 개의 손가락을 밀어 넣으며 진을 짜듯 말했다. 살.려.줘. 나는 아버지의 여덟 손가락을 붙들어 강제로 옆구리에 붙이고 그의 허리에 매달렸다. 발을 뗐다. 나의 체중이 빨랫줄에 더해졌다. 중력이 빨랫줄을 따라 아버지의 척추로, 나의 척추로, 지구의 적도와 자전축이 만나는 교차점으로, 바닥 없는 우물에 떨어지는 두레박처럼 추락했다.





현관에서 신발을 신는데 축 늘어진 아버지의 몸에서 여덟 손가락이 소나기 쏟아지듯 후드득 바닥에 떨어졌다. 그 손가락들은 엎어진 할머니에게로 꼬물꼬물 기어가 치마 속 고쟁이에 붙은 주머니에서 담배를 꺼냈다. 두 개의 손가락이 담배를 끼고 다섯 개의 손가락이 라이터를 켜고 한 개의 손가락이 춤을 췄다. 불붙은 담배가 환하게 밝아지며 타들어갔다. 맞은 편 아파트 옥상에 걸려있던 잔광은 이미 사위어 있었다. 아파트 단지 입구를 걸어 나올 때 할머니의 임대 아파트 창안으로 불꽃이 넘실거렸다. 그 모습이 꼭 화장터 소각로의 작은 유리 너머로 날름대는 불꽃 같다고 나는 생각했다. 멀리서 소방차 사이렌 소리가 들렸다.


영진공 철구

“슬럼독 밀리어네어”, 내겐 사랑이 너무 써 …

그 수많은 시간들
그 수많은 역경들
그 수많은 사연들
그 수많은 노력으로

그 마약같은 사랑은
이제 종착역 없는 열차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슬럼독 밀리어네어 (Slumdog Millionaire, 2008)

감독: 대니 보일
출연: 데브 파텔, 프리다 핀토, 아닐 카푸르, 미아 드레이크

28일의 사회 좀비 영화의 대니보일이 드디어 사고를 쳤습니다.
발리우드의 충실한 각본을 가지고 아카데미를 휩쓴 것입니다.

한국식으로 이야기 하면 산동네 판자집 출신이라는 슬럼독의 이야기로 인도를 가로지르는 아니 현재의 제3세계를 가로지르는
영화인 슬럼독 밀리어네어는,
일상의 장면들은 아주 아주 우울한 영화이지만 헐리우드와 발리우드의 공식에 철저하게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무거우면서 가벼운 위트의 영화입니다.

인도의 빈민가 출신의 고아 형제가 근대화와 맞물려 가면서 변화하는 인도사회의 현상을 투영하면서도 위트와 유모로 빈민가의
필요악일지도 모르는 기업형 구걸, 매춘, 조폭들의 생활을 바로 눈 앞에서 표현합니다. 암흑의 나락에서 희망은 보이지 않아도 그들
고아 형제들은 인생의 최선을 다해 매일 매일 역경을 헤치어 나아 갑니다.

시간이 흐르고 그들이 성인으로 들어가는 10대의 길목에서 형은 현실을 선택하고 동생은 사랑을 선택합니다. 형은 경제적으로 성공하지만 사랑을 선택한 동생은 현실의 고난에서 꿈을 꾸고 있을 뿐입니다. 결국 동생의 지고 무상한 사랑은
형과 주변사람들의 희생으로 그 빛을 보고 영화는 가슴따뜻한 결말을 추구하지만 결국 현실에서도 사랑이 모든것을 대신할만한 가치가
있는 걸까요. 제가 20대였다면 아무 의심없이 당연히 선택했을 길이지만 세월이 하수선하고 나이가 드니 겁부터 나는게 인생이고
사랑은 아프고 힘들어 그냥 외면하고 싶을때가 너무 많습니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아역 배우들의 맑은 눈들을 보면서 다시 한번 영화의 감동으로 되돌아갔습니다. 어차피 일장춘몽 인생이면
마약보더 더 강렬했던 그 사랑에 인생을 맡기어 보는것도 백만장자가 되는 진정한 해답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영진공 클린트
슬럼독은 미국에 인도열풍을 가지고 올 영화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몇 년 전 “와호장룡”이 중국영화의 미국 진출을 가져 왔듯이
슬럼독이 발리우드 상륙의 교두보가 될 수 있을지 사뭇 궁금합니다.  이미 발리우드의 인도댄스 교습소들이 미국에서 인기가 많아졌다고
합니다. 한국식으로 보면 손찌르기 막춤인 인도 춤에 저까지도 흥겨워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