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사이클 다이어리, “꿈을 가지려면 먼저 세상을 보아야한다.”



어릴 적엔 떠나고 싶었고, 세상을 알고 싶었다.
그래서 달랑 배낭 하나 짊어지고 혼자서, 아님 친구 몇과 함께 여행을 했던 기억들.
그리고 직접 눈으로 보며 배웠던 이 땅, 그리고 사람들.

외국에도 많이 다녀보았다.
미국, 캐나다, 이태리, 스위스, 영국, 프랑스, 러시아, 멕시코, 태국, 싱가폴, 일본 …
그렇게 돌아 다니면서 다른 풍광과 다른 언어, 그리고 다른 생활과 다른 관습들을 접할 수 있었지만, 그래도 사람 사는 건 세상 어디를 가나 똑 같다는 걸 알았다.

“모터사이클 다이어리”
이 영화 속엔 혁명가, 게릴라 전사가 없다.
그저 순진하고 착한 그리고 세상을 눈으로 보고 배우고 싶어하는 평범한 청년이 나올 뿐.

채 세상 물정을 알 나이가 안 된 두 청년은 너무도 무모하게,
낡은 오토바이에 배낭 몇 개만 싣고 남미 대륙 여행에 나선다.
그나마 그 오토바이도 중간에 망가져버리고.

그런 그의 모습이 책으로 읽던, 이야기로 전해듣던 모습보다 훨씬 더 따뜻했고 더 많이 친근하였다.

착하고 순수해서 그래서 나중엔 혁명에 뛰어들 수 밖에 없었던 청년.
여행 속에서 보고 접하고 느낀 세상과 사람들,
그 과정에서 차곡차곡 쌓은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그리고 모두 다 함께 어울려 살아가고 싶다는 소박하고 단순한 소망.
그 소망을 이루기 위해서 종내에는 변혁운동과 혁명에 나설 수 밖에 없었던 그 젊은이.



“본명은 Ernesto Guevara de La Serna.
1928. 6. 14 아르헨티나 로사리오~1967. 10 볼리비아.

1928년 6월 14일, 아르헨티나의 로자리오에서 귀족의 후손인 아버지 에르네스토 게바라 린치와 어머니 세실리아 데 라 세르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에르네스토가 두 살 때 천식에 걸려 고생을 한 이후 그의 가족은 모두 코르도바(근처의 알타그라시아)로 이사를 갔다.
천식으로 고생한 적이 있는 에르네스토는 이 경험 때문에 1947년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 의학부에 입학하게 되었다. 1952년에는 같은 의대 친구 알베르토 그라나도스와 둘이서 10개월에 걸쳐 모터사이클로 여행을 했다. 칠레에서 바이크가 고장이 나자 페루의 마츄피츄까지 도보로 여행하였다. 한동안은 상 파울로의 나환자촌에서 환자들과 생활하기도 했다. 그후 아마존강을 횡단하여 콜롬비아로 갔다. 그곳에서 그의 친구는 카리카스에 남고, 에르네스토는 비행기로 마이애미까지 갔다. 특히 상 파울로 나환자촌에서의 노동을 통해 “인간들의 사랑과 유대감은 고독하고 절망적인 사람들 사이에서 싹튼다”는 진실을 절실히 깨닫게 되었다. 비행기의 출발이 지연되어 마이애미에서 1개월간 더 머물게 되었는데 이때 그는 미국의 실상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는 8월에 귀국한 후, 의학공부에 몰입하여 1953년 3월, 무사히 대학을 졸업했다.”

“1953년 부에노스아이레스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과테말라와 볼리비아를 거쳐 1955년 멕시코에 머무는 동안 F.카스트로[피델 카스트로]와 사귀어 쿠바혁명에 참가하였다. 카스트로가 정권을 잡자 쿠바 시민이 되어 라카바니아요새 사령관, 국립은행 총재, 공업장관 등을 역임하여 ‘쿠바의 두뇌’라 불렀다.
그러나 1965년 3월부터 소식이 끊겨 사망설이 파다하였으나, 카스트로에게 작별의 편지를 남기고 새로운 전쟁터로 달려갔다는 사실이 그해 10월 밝혀졌다. 그는 볼리비아의 산악지대에서 게릴라 부대를 조직, 1967년 10월 볼리비아 산중에서 정부군에게 포위되어 부상을 당하고 사로잡힌 후에 총살당하였다.”


천식을 앓던, 그래서 군대도 안 갔던 순둥이 의대생이,
어찌하여 그리도 열정적으로 혁명의 꿈을 품에 안을 수 있었는지,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 그냥 의사의 삶을 살아갈 수 있었던 그 젊은이가,
어떻게 온 세상을 변혁하자며 무장투쟁에 나서게 되었는지를,
영화 속의 그는 잔잔한 눈빛으로 어떤 책 어떤 평전보다 더 편안하고 더 절실하게 이야기 해 주고 있는 것이다.

사람 사는 건 다 같다는 걸,
사람은 모두 차별 없이 살아야 한다는 걸,
하지만 그런 삶이 거저 얻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 쯤에서는 영화를 보시라는 말 말고는 더 이상 덧붙일 게 없다.

대신 그를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그가 1964년 12월 11일 UN에서 한 연설 중 일부를 첨부해 본다.
영어 번역문을 실으려 했으나 그건 링크로 처리하고 그에 관한 평전 중 하나에서 관련 내용을 아래에 인용하니 참고하시라.

* 영어 번역문을 보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

 


“그 말의 뜻은 결국 소련의 공산주의는 더 이상 순수한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는 것이었다. 이후 모든 아메리카 혁명 노선은 체게바라의 주장대로 소련식 공산주의가 아닌 마르크스주의가 되었다.

당시 소련은 미국과의 냉전대립에서 자신의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사회주의 국가를 자신의 속국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또한 미국이나 유럽의 자본주의 열강들이 그러하듯이 소련 역시 자국의 이해 관례를 위해서 불평등한 교환을 통해서 착취를 행하고 있었다. 체게바라가 보기에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은 소련의 보호 우산 속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지 않았다. 당시 공산주의 혹은 공산당은 소련의 전류물과 같은 것이었다. 따라서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 운동은 공산주의 혁명이 아닌, 라틴 아메리카 전체의 민중 해방 운동이 되어야 한다는 믿음이 체 게바라의 머릿속에서 확고하게 형성되고 있었다. 말하자면 소련의 속국이 되지 않으면서도 미국의 지배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 위해서는 제3세계 국가의 블록이 형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체게바라의 이런 신념은 1964년 12월 11일, 뉴욕의 유엔 회의에서 쿠바 대표의 자격으로 행한 한 연설에서 표출되었다. 연설의 대부분은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침략행위를 공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가운데는 소련의 불순함을 꼬집거나 소련식 공산주의와는 다른 사회주의의 건설이 라틴 아메리카 해방 운동의 목표라는 점을 부각시킴으로써 은근히 소련의 비위를 거스르게 하였다.”

[“아름다운 혁명가 체 게바라 청소년 평전 05” (박영욱 지음, 이룸 펴냄) 에서 인용]


영진공 이규훈
 

그대, 혹시 꿈을 죽이셨나요 …

 

“朝聞道 夕死可矣”
뜻인즉슨,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논어에 나오는 말이다.

나 같은 필부야 아침에 도를 들어도 그게 뭔줄 알지 못하겠지만,
잘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도를 얻었으면 조금이라도 더 살아서 즐겨야지,
왜 죽어도 좋은 것이냔 말이다.

어렵사리 얻은 걸 잘 간직하고 가끔 꺼내어 보여주기도 하고 은근히 자랑도 하면서,
그렇게 사는 게 인생의 즐거움 아닌가 말이다.

그런데 그게 그런게 아닌가 보다.
난 도가 무슨 100평짜리 아파트나 현금 50억 쯤이나 되는 건 줄 안 건가 보다.
도는 깨우침이요, 살아가는 길인데 난 그걸 물질로 생각하여 소유하는 건줄 안 거다.
그러다 오히려 소유에 내가 노예가 되어버린 거다.

왜 그런 걸까.
왜 난 모든 걸 물질로, 소유로 보고 거기에 집착하는가.
내 삶의 조건을 부유하게 그리고 편하게 해 줄 것에 얽매여,
도리어 스스로 거기에 삶을 종속시키는 우스꽝스러운 꼴을 자초하고 있느냔 말이다.

삶을 소비로 알고, 물질의 많음을 권력으로 계산하는,
그래서 꿈을 욕구로 대체하는 걸 미덕이라 아는 지금 나의 모습이란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각 지방단위별로 교육감 선거를 치르고 있고, 서울에서는 내일(7월 30일) 투표를 한다.
그래서 여러 후보들이 저마다의 교육관을 내세우며 선출을 호소하고 있다.

그걸 보며 문득 이런 생각을 하였다.
“교육이라? … 뭘 가르치는 걸까? … 누군가에게 뭘 가르친다는 게 과연 가능한 걸까? …”

‘이것이 옳으니 이리 하여야 한다’ 또는 ‘저것이 그르니 저리 하지 말거라’ 라고 제시하고 그대로 따르라는 건 강요나 주입이지 교육이 아닐 것이다.

사실을 보여주고 이를 해석하는 다양한 시각과 방법을 제시하면서 함께 토론하여 스스로의 판단과 방법론을 정립하도록 서로 돕는 활동,

그런 과정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분석과 해석 그리고 전망을 할 수 있는 종합적 사고 능력이 발전되도록 하는 활동,

그게 교육이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무엇을 하였고 무엇을 하려는 것일까?

‘나라에 충성, 부모에 효도’가 절대진리라 “배웠고”, 그리고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인간’이 되라 “배웠다”.

자, 그건 그렇게 배웠으니 됐고 … 그리고는 이 험난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남들보다 일점이라도 더 받고 남들보다 반발짝이라도 빠르게 세상에 적응하는 요령을 외우고 몸으로 익혔다.

영어 단어를 외우고, 수학 공식을 외우고, 소설과 시의 의미를 외웠다.
그러면서 경쟁에서 앞서야 대우 받는다는 걸, 어떻게든 눈에 띄고 능력있어 보여야 무시 당하지 않는다는 걸 온 감각으로 체험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걸 다시 우리의 아이들이 배우고 겪게 하겠는가?
그걸 “교육”하겠는가?

돈 있으면 편하고, 성공하면 잘 나가고, 권력을 쥐면 무시 당하지 않는다 …
맞는 말이다.

그러나 그건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변치 않는 진리가 아니다.
강요하고  주입할 무엇이 아니라 각자가 선택할 여러 길 중 몇 가지일 뿐이다.

‘나라에 충성’함을 원한다면 스스로 그 당위성과 방식을 찾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부모에 효도’를 원한다면 복종과 고득점 고연봉 이외에도 많은 길이 있음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스스로 길을 찾고 어려우면 남에게 도움을 청하는, 고집도 부리고 다툴줄 아는,  
그렇게 자기를 아끼고 남을 존중하는 이들이 실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할 수 있지 않겠는가.

그대,
혹시 꿈을 죽이지 않았나 …
길 가 어느 한 켠에 스러진 꿈을 외면하고 욕망을 주인으로 모시지 않았는가 …

나 그리고 그대,
그걸 탓하지 말자.

허나 …
나의 욕망을 우리 아이들의 꿈에 억지로 우겨 넣지는 말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혼자의 꿈은 그저 꿈일 뿐이지만, 함께 추구하는 하나의 꿈은 현실로 이루어진다." 오노 요코


영진공 이규훈
 
 



그 소식 이제 듣게 됐어 크게 놀라진 않았지,
버려진 마음 구석 어느 벌판에 마치 벌레와 같이 비참히,
한때 친한 친구였던 내 꿈이 죽어있다고,


그 소식 이제 알게 됐어 눈물은 나지 않았지,
눈썹을 찌푸리고 아주 오래 전 모습 더듬어봐도 흐릿해,
한때 친한 친구였던 내 꿈이 죽었다는데,





도대체 난 그 언제부터 그를 버리고 살아온 건지,
숨가쁜 세상에 홀로 살아남으려 덤을 줄이고 싶었는지,
어떻게 난 그 오랫동안 꿈을 버리고 살아왔는지,


이제야 무서운 진실을 알게 됐어,
어쩜 내가 내 손으로 내 꿈을 죽였다는 걸,


어쩜 내가 내 손으로 내 꿈을 죽였다는 걸 …

정부가 준 악몽


 

경찰은 촛불집회를 옹호 지지하는 자, 촛불 집회에 한번이라도 참여한 자를 색출하기 위해 전국 거주지 무차별 압수수색을 강행하기로 했다. 그 무식한 컨테이너를 하늘까지 쌓아버렸는지 벌개야 할 대낮의 하늘은 칠흑같이 어둡고, 세상은 귀를 찢는 사이렌 소리로만 가득 차 있었다. 인터넷으로 어젯밤 촛불집회의 상황을 살피던 나는 이내 컴퓨터를 껐다. 사복경찰들이 아파트 복도를 오르내리는 빠른 발구름 소리가 감지됐기 때문이었다. 집에는 나 혼자뿐이다. 불안은 놀랍도록 큰 공포가 되어 나를 감쌌다.

어디로 숨어야 하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d Dog, a Caricature of People’s Fear of a Mad-Dog and of Rabies, 1826


이대로 있다간 그대로 연행될지 모른다. 아니 그렇다면 다행이지. 왜 문을 일찍 안 열었냐며 발길질을 할지도, 집안 꼴이 이게 뭐냐 이 꼴을 보니 네가 주범임이 확실하다며 뺨을 갈겨댈지도 모를 일이었다. 21세기에 최루액을 살포해 무고한 시민들까지 다스리겠다는 제대로 똘끼도는 정부가 아닌가.

초인종이 울렸다. 공포는 인간의 자제력을 잃게 한다. 겨우 옷을 걸친 나는 3층 아래로 뛰어내리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은 애초에 문이 열릴 것을 기대하지 않은 듯, 곧장 문을 부쉈다. 다급해져 숨을 곳을 찾았지만 눈에 띄는 곳은 작은 옷장뿐이었다. 옷장 안에 엉덩이를 밀어넣고 두 다리를 올리려는데 마음처럼 몸이 따르질 않았다. 몸을 작게 웅크리면 배가 쪼였다. 이러다간 뱃속의 아기가 터져버릴지도 모른다. 곧 뭉뚝한 발톱 같은 대빵과 아래애들 두 명이 신을 신은 채 집안으로 성큼 걸어 들어와 내 앞에 섰다.

“사진 몇 장 찍고 갈 겁니다. “ 발톱이 발톱과 같은 딱딱한 투로 말했다. 그는 힐끗 집안을 살피더니 지금 쓰고 있는 모자를 벗고, 두 손을 올리고 자신이 볼 수 있도록 손바닥 앞을 보이라고 요구했다. 덜덜 떨고있는 나는 그리하였다. 이어서 얼굴의 정면 사진을 수 차례 찍어댔다. 번쩍이는 플레쉬 세례를 맞으니 눈알이 따끔거렸다. 발톱 아래 애들 중 한 명은 진공청소기의 먼지 통을 들여다보며 촛불집회 때 쓰여졌을 법한 어떤 것을 그 안에 숨겼는지 꼼꼼히 살폈다. 이어서 발톱에게 보고했다. “깨끗합니다.” 남은 한 명은 옷 방의 잡다한 것들을 모조리 뒤졌다. 그는 왜 이렇게 먼지가 많냐고 툴툴거리더니 “이상 없습니다.” 라고 소리쳤다.

발톱은, 옷 방의 하얀 문에 검정 매직으로 알아보기 힘든 사인을 갈기고는 아래 애들 둘을 데리고 떠났다. 다리에 힘이 풀린 나는 그대로 주저앉음과 동시에 그대로 눈을 떴다. 기분 나쁜 악몽이었다.

꿈은 현실을 반영한 무의식의 세계다. 오늘 아침 내가 꾼 꿈은 말도 안 되는 현 시국과 그것이 공포가 된 무의식이 동시에 반영된 것이다. 지금 이명박과 그의 정부는 분명 공포를 조장하고 있다. 더구나 아무 죄 없는 나의 충분한 수면을 방해할 만큼의 정신적, 신체적 고통도 안겼다. 이런 꿈을 꾸며 사는 지금의 우리가 다시는 잠들고 싶지 않을 만큼 … 가엽다.

영진공 애플

꿈이 그리운 나와 그대에게 …

“꿈이 뭐예요?”

“명문대 나와 월급 빵빵한 직장에 들어가야지”
“아니면 연예인이 되어 모두가 나만 쳐다보는 걸 즐기는 거야”
“그리고 벤츠차 굴리면서 강남에서 살아봐야하지 않겠어”

“… 그건 … 꿈이 아니잖아요 …”

명문대 졸업에 억대 연봉을 받는 임원이 되거나 잘 나가는 연예인이 되어 몇 억이 넘는 출연료를 받으며 강남에 큰 아파트 사고 마이바흐 굴리면 그 다음엔 … 또 뭘 사고 뭘 이뤄야하지?

그렇게 자꾸 욕심을 키워가는게, 그렇게 사는게 내 꿈이 될 수 있을까?
내 삶의 목표, 내 커다란 욕구가 될 수야 있겠지만 … 그걸 꿈이라고 할 수 있나?
결코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세상에서 나만을 위한 무언가를 원한다는 게 꿈이기나 한 걸까?

오늘 내가 왜 무엇을 위해 사는지, 그리고 내일 나는 어떻게 함께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대답을 주는 게 내 꿈이어야하지 않을까 …

그런데 요즘 또 지금 내게는 꿈이 있는가?

그래서 꿈이 그립다.
꿈을 그리며 노래를 들어본다.
꿈이 그리운 사람과 함께 듣고싶다.

John Lennon과 Carole King의 노래를 …

Imagine
By John Lennon

Imagine there’s no Heaven
It’s easy if you try
No hell below us
Above us only sky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for today

천당이란게 없다고 상상해봐요,
그냥 생각해봐요,
땅 속에는 지옥도 없고,
머리 위에는 하늘만이 있어요,
우리 모두가 보다 나은 오늘을 위해,
살아가는걸 상상해보세요

Imagine there’s no countries
It isn’t hard to do
Nothing to kill or die for
And no religion too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life in peace

국가라는게 없다고 상상해봐요,
어려워말고 그냥 생각해봐요,
누굴 죽일 필요도 무엇을 위해 죽을 필요도 없죠,
종교도 없다고 상상해봐요,
우리 모두가 평화 속에서,
살아가는걸 상상해보세요,

You may say that I’m a dreamer
But I’m not the only one
I hope someday you’ll join us
And the world will live as one

날 보고 몽상가라 하실 수도 있죠,
하지만 난 혼자가 아니랍니다.
언젠가 그대도 함께 하길 바래요,
그러면 이 세상은 하나가 될 수 있어요.

Imagine no possessions
I wonder if you can
No need for greed or hunger
A brotherhood of man
Imagine all the people
Sharing all the world

소유가 없다고 상상해봐요,
그러실 수 있나요?
탐욕도 없고 굶주림도 사라져,
형제애가 넘치는 세상,
우리 모두가 이 세상을,
함께 나누는 상상을 해보세요,

You may say that I’m a dreamer
But I’m not the only one
I hope someday you’ll join us
And the world will live as one

날 보고 몽상가라 하실 수도 있죠,
하지만 난 혼자가 아니랍니다.
언젠가 그대도 함께 하길 바래요,
그러면 이 세상은 하나가 될 수 있어요.

You’ve Got A Friend
By Carole King

When you’re down and troubled
And you need some loving care
And nothing, nothing is going right
Close your eyes and think of me
And soon I will be there
To brighten up even your darkest night

네가 어렵고 힘들 때,
아무 것도 제대로 되는 게 없을 때,
사랑의 손길이 필요할때,
눈을 감고 나를 생각해,
그러면 나 거기 있을테니,
네 가장 어두운 밤을 밝히는 빛이 되려니,

You just call out my name
And you know wherever I am
I’ll come running to see you again
Winter, spring, summer or fall
All you have to do is call
And I’ll be there
You’ve got a friend

그냥 내 이름을 불러,
나 어디에 있든 대답할테니,
널 보기 위해 달려올 거야,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든 나를 부르기만 해,
그러면 나 거기 있을테니,
네겐 친구가 있다는 걸 기억해,

If the sky above you
Grows dark and full of clouds
And that old north wind begins to blow
Keep your head together
And call my name out loud
Soon you’ll hear me knocking at your door

네 머리 위의 하늘에,
먹구름이 잔뜩 끼었을 때,
거친 북풍이 불어올 때,
고개를 들고,
내 이름을 크게 불러,
그러면 넌 곧 내가 방문을 두드리는 소리를 들을 거야,

You just call out my name
And you know wherever I am
I’ll come running to see you
Winter, spring, summer or fall
All you have to do is call
And I’ll be there
You’ve got a friend

그냥 내 이름을 불러,
나 어디에 있든 대답할테니,
널 보기 위해 달려올 거야,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든 나를 부르기만 해,
그러면 나 거기 있을테니,
네겐 친구가 있다는 걸 기억해,

Ain’t it good to know that you’ve got a friend
When people can be so cold
They’ll hurt you, and desert you
And take your soul if you let them
Oh, but don’t you let them

친구가 있다는 건 정말 좋은 일이지 않니?
네 주위의 사람들이 너무나 냉정할 때,
그들이 널 상처내고, 널 황폐화 시킬때,
그들은 네 영혼마저 요구할지도 몰라,
하지만 친구여, 그들에게 영혼까지 내주지는 마,

You just call out my name
And you know wherever I am
I’ll come running to see you again
Winter, spring, summer or fall
All you have to do is call
And I’ll be there
You’ve got a friend

그냥 내 이름을 불러,
나 어디에 있든 대답할테니,
널 보기 위해 달려올 거야,
봄, 여름, 가을, 겨울,
언제든 나를 부르기만 해,
그러면 나 거기 있을테니,
네겐 친구가 있다는 걸 기억해,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