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터 아일랜드”, 반전 하나로 간단히 덮는 기술


많은 영화들이 관객들의 예상을 벗어나는 일정 정도의 반전을 후반부에 보여주곤 합니다만 <식스 센스>(1999)식으로 단 한 마디의 스포일러에 영화 전체를 완전히 달리 보게 만들 수도 있는 그런 의미의 반전 영화는 상당히 오랜만에 보는 듯 합니다.

제 경우 <셔터 아일랜드>의 반전을 감독이 의도한 지점에 이르기까지 거의 알아차리지 못했기 때문에 나름대로 영화를 제대로 잘 감상한 셈입니다. 하지만 영화의 전개가 반전되는 그 지점에 당도하기 전까지 <셔터 아일랜드>는 상당히 피곤하고 짜증스럽기까지 한 영화로 여겨졌습니다.

195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긴 하지만 초반부터 배경음악을 아주 유난스럽게 사용하더니 컷과 컷의 연결이 자주 어색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군데군데 앞뒤가 잘 안맞는 느낌이 들곤 했습니다. 그외 폭풍우 내리치는 장면이나 모닥불 가에서 대화하는 장면조차도 상당히 신경이 거슬리더군요.

최근에 <러블리 본즈>에 대해 레인맨님이 “피터 잭슨이 발로 연출한 영화”라고 하신 것 때문에 신경질을 부렸었는데 이번에는 제가 <셔터 아일랜드>를 놓고 “마틴 스콜세지가 발로 연출한 영화”라고 해야 하는가 보다 생각했을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그 반전을 통해 시종일관 어색하게만 보였던 내러티브의 전모를 알게 되면서 모든 것이 의도된 연출이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반전을 알고 나면 그때까지 보아온 등장 인물들의 이상한 행동이나 전개들 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 참 이상하게 찍어놓은 장면들조차 모두 정리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역시나 이 영악한 노인네 감독이 그렇게까지 영화를 이상하게 만들었을 리는 없었던 거죠.

하지만 오랜만에 반전 영화의 묘미를 만끽했다기 보다는 그저 아항 그게 그런 거였냐 – 이제야 납득은 한다만 여전히 피곤하구나 – 라는 정도입니다.

스콜세지 감독이 제가 알지 못하는 어떤 고전 영화의 연출 기법을 차용해서 보여주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본 바로는 이런 정도의 영화를 굳이 스콜세지 감독이 연출할 필요가 있었을까 – 그러지 말라는 법은 절대 없습니다만 –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전체적으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를 비롯한 여러 배우들의 연기도 훌륭하고 그외 기술적으로 흠잡을 만한 구석도 없습니다만 – 물론 영화를 끝까지 보고난 후에 다시 정리된 바에 의하면 그렇다는 겁니다 – 그렇다고 아주 좋아라 할 만한 이유도 딱히 없는 작품이랄까요. 요즘은 영화를 워낙에 다들 잘 만드시니까 내용까지 마음에 쏙 들지 않으면 선뜻 치켜세워주게 되지를 않는군요.

눈치 빠르신 분들은 일찌감치 감을 잡고 달리 보실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예전에 자주 얘기하던 바로 그 ‘반전 영화’다 보니 내용에 관해서는 뭐라고 말도 잘 못꺼내겠군요. 영화 줄거리를 확 뒤집는 반전이 있다는 이런 식의 정보조차도 영화를 감상하는 데에 있어서는 이미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나저나 영화 속에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마크 러팔로가 시도 때도 없이 담배를 피워대는데, 그럴 때마다 < 땡큐 포 스모킹>(2005)에서 담배 회사 대변인인 주인공이 헐리웃의 영화 제작자를 찾아가 PPL 상담을 하던 장면이 떠오르곤 했습니다. 아무 곳에서나 담배를 태우던 시절의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어쨌든 디카프리오가 연습을 참 많이 했더군요.

Leonardo Dicaprio와 감독 Martin Scorsese

영진공 신어지

 

완숙 계란 두 개, “전쟁 전 한 잔”과 “무덤으로 향하다”


글쎄, 어떨까. 나는 하드보일드를 사랑한다. 경애한다. 거기 딱히 인생의 진리가 있기 때문이 아니다. 멋진 남자가 있기 때문이다.


[사조영웅전]의 건전한 모범생 타입의 히어로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유성호접검]의 삐딱한 킬러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듯이, 나는 홈즈 스타일의 갑갑하고 정직한 탐정보다는 필립 말로우처럼 세상을 비웃으며 코웃음을 날려주는 탐정을 훨씬 더 좋아한다. 그쪽이 더 멋지니까.



아무튼 내가 최고로 치는 하드보일드 소설은 예나 지금이나 [기나긴 이별]이다. 거기엔 사건이 있고, 우정이 있고, 배신이 있고, 사랑이 있고, 탐정은 그 속을 이리저리 부닥치며 돌아다니다가 어떻게든 사건의 끝장을 보고야 만다. 위선을 부리지 않고, 설교를 하지도 않고, 잔가지를 늘리지도 않는다.


그런데 데니스 루헤인의 [전쟁 전 한 잔]은 …… 아, 제길, 주일설교문을 읽는 기분이었다. 조금 몰입하려고 하면 인종 문제가 어쩌고저쩌고, 가정 폭력이 어쩌고저쩌고, 다시 또 인종 문제가 어쩌고저쩌고, 또 또 또 인종 문제가 어쩌고저쩌고,




플롯은 너무 허접해서 뭐라고 딴지를 걸기조차 민망한 수준이다. 얘기가 좀 안 풀린다 싶으면 일단 액션 묘사를 집어넣는다. 마치 로저 코만 영화를 보는 기분이랄까.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는 …… 주인공이 삐딱선을 타는 척 하지만, 실제로는 건전한 모범생이라는 게 제일 큰 문제일 것이다. 뭐야, 이거? 이게 무슨 하드보일드란 말이냐? 차라리 얼간이가 탐정 역으로 나오는 정통 퍼즐 미스터리를 보는 게 낫겠다!


허영심에 가득찬 추리소설광은 이 소설을 읽으면서 지적 만족감에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마음을 부둥켜안고 흡족해할 것이다. “아, 나도 뭔가 수준높은 하드보일드 소설을 읽었구나!”라고 하면서. 하지만 정말 수준높은 소설을 찾는다면 노벨문학상을 탄 소설을 읽어야 하는 거 아닌가?


아무튼, 하드보일드 스타일로 평점을 매기자면 “탄산수 1리터에 럼주 한 방울을 떨어트려 마시는 듯한 소설”이다. 한 마디로 밍숭맹숭.



나는 이 소설을 1주일에 걸쳐 겨우 다 읽은 다음, 너무 실망하고, 좌절했다. 그리고 분노했다. 내가 이런 걸 돈 주고 사다니!

그래서 당장 서점으로 달려가 뭔가 볼만한 책이 없을까 찾아보던 중에 로렌스 블록의 [무덤으로 향하다]라는 책을 샀다.


그날밤, 나는 그 책을 다 읽어버렸다.



사실 [무덤으로 향하다]도 아주 멋진 하드보일드 소설은 아니다. 알콜중독으로 밸밸대던 매튜 스커더는 갑자기 바른생활 중년이 되려고 애쓰고 있고, 벌어지는 사건은 ……. 음, 마약상의 가족을 대상으로 벌어지는 잔인무도한 연쇄 살인이다. 아무리 봐도 이건 하드보일드라기보다는 스릴러다. 그것도 헐리웃 취향의 비쥬얼이 강한 스릴러.



하지만 워낙 [전쟁 전 한 잔]이 형편없었기 때문인지, [무덤으로 향하다]는 그에 비하면 엄청난 걸작처럼 느껴졌다. 실제로는 [800만 가지 죽는 방법]보다 훨씬 아래인데도 불구하고.



다행스럽게도 책을 읽은 지 며칠이 지나서는 조금 정신을 차렸다. 그래, [무덤으로 향하다]도 역시 그저그런 하드보일드였어. 하드보일드 스타일로 평점을 매기자면 “보드카 한 잔에 탄산수 한 잔을 섞어 마시는 듯한 소설”이랄까.


어쨌건 ….. 중간은 한다는 얘기다. 뭐, 그 정도로 만족해야 하려나?


영진 DJ Han

<셔터 아일랜드>, 히치콕과 마틴 스콜세지를 동시에 보다

이건 정말이지 영화다운 영화다! 물론 <언 에듀케이션> <어웨이 위고> 도 좋았지만, 이 두 영화는 훗날
DVD로 봤대도 크게 후회하지 않을 뻔했다. 바로 <셔터 아일랜드>에 비하면 말이다.

필름온에서 뽑은 제목대로 ‘고전영화 미학의 재림’이 정확히 들어맞는 이 영화는 마틴스콜세지가 작정하고 오마주한 히치콕의
영화처럼 과거로 회귀한듯한 미학영상을 보여준다. 내겐 바로 이점이 <셔터아일랜드>의 최고 매력이다.

셔터 아일랜드라는 미지의 섬에 중범죄들만을 격리, 치료하는 정신병원이 있다. 도저히 탈출이 불가능해 보이는 이곳에서 한
여인이 신발도 없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수사를 위해 연방보안관 테디(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그의 동료 척(마크 러팔로)이
도착하면서 영화는 시작된다.

그리고 영화는 테디가 겪은 과거의 트라우마를, 악몽과 끔찍한 두통으로 반복적으로 보여주는 한편 좀처럼 풀리지 않는 사건의
실마리를 쫓아 관객의 숨을 끝없이 죄여온다.

당장 읽고 싶어진 영화의 원작, 데니스 루헤인의 <살인자들의 섬> 이 워낙 훌륭하대도, 원작을 이토록 매끈하게 영화화한
건 바로 마틴스코나세지라는 거장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여기에 그의 페르소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미간의 주름을 더해 상처와 불안으로 점철된 극중 테디의 모습이 바로 제것인양
놀라운 연기를 보여준다. 더해서 영화의 엔딩크레딧이 오르고 나면 척을 연기한 마크 러팔로의 연기에도 새삼 박수가 터져 나온다.

<셔터 아일랜드>는 스릴러 영화로 1%도 부족함이 없지만, 무의식, 트라우마, 자기분열 같은 인간의 내면을
고집스럽게 파고들었다는 점에서 단순히 흥행을 노린 헐리우드 영화들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꽃샘추위가 반짝 고개를 든다는 이번 주말에, 하늘이 어둡고 잔뜩 칙칙하다면 더욱 더 <셔터 아일랜드>를 보러
극장으로 향하면 좋을 것같다. 컴컴한 봄날과 ‘고딕풍의 미스터리 스릴러’의 앙상블에 제법 마음을 뺐길지도 모른다.

영화의 원작 소설.
국내에는 '살인자들의 섬'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영진공 애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