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진공 64호]<랜드 앤 프리덤>

과거사진상규명위
2006년 12월 1일

User inserted image
땅과 자유, 우리를 인간답게 하는 것.
스페인 내전을 다룬 영화와 책은 많지만, 켄 로치의 이 영화가 특별히 회자되는 건 그 복잡다단했던 정치적 지형, 그리하여
이제껏 은폐되거나 숨겨져왔던 스페인 내전의 ‘계급혁명적 본질’을 제대로 담아낸 영화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스페인 내전에
대해 막연하게 ‘프랑코의 쿠데타에 반대한 반 파시즘 전선’으로, 혹은 “키스할 때 코는 어디에 두어야 하나요?”로 대표되는,
낭만적(전쟁터만큼 낭만주의가 활짝 만개할 수 있는 공간이 또 있을까) 로맨스의 공간으로 여겨왔다. 하지만 일군의 좌파들이
바라보는 스페인 내전의 성격은 단순히 그것만이 아니다. 제2 공화국의 어수선하고 힘없는 공화국 인민정부가 시스템적 권력을 명목상
가진 반면 철도, 전화 등 공공부문을 장악하며 힘을 키워가던 노동조합이 실질적 권력을 가지며 인민정부와 권력을 양분하고 있었고
또한 카탈로니아 분리주의 운동이 힘을 얻어가던 상황에서, 프랑코가 쿠데타를 일으키자 이를 저지할 능력이 없었던 인민정부 대신,
반동세력을 막아내고 노동자, 농민의 혁명을 이뤄야 한다는 기치 하에 노동자들이 스스로 일어나 싸웠던 전쟁, 그리하여 혁명을 향해
한걸음 성큼 나아갔던 전쟁이 바로 스페인 내전이었다. 그렇기에 스페인 내전은 단순히 ‘내전’이 아니라, 스페인 ‘혁명’으로
부르는 게 맞을 것이다.

당연히 이 상황에서 반-프랑코 전선에 섰던 사람들은 입장이 다양했으며, 이들을 대략 셋으로 분류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파시즘 전쟁과 혁명은 동시에 달성되어야 한다는 입장 : 통일노동자당(P.O.U.M, 품)과 전국노동자연맹(CNT, 아나키스트 노동조합)
둘째, 일단 반파시즘 전쟁에 승리하고서 혁명을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 : 통일사회당(P.S.U.C.)과 노동자총연합(UGT, 사회주의 계열 노동조합)
셋째, 반파시즘 전쟁에 승리하고 자본주의적 정부 구성 – 혁명 반대 : 우익 자유주의자, 공산당(일명 스탈린주의자)

혁명을 반대하는 세번째 입장에 공산당이 들어가 있는 것이 처음에는 낯설어보일지 모르겠지만, 사실이다. 소련은 국제역학적
관계 때문에 결코 스페인의 혁명을 원하지 않았고, 스페인 공산당은 다른 나라 공산당과 마찬가지로 소련 공산당을 추종했으며,
스페인 혁명의 실패는 이 세번째 계열의 배신 탓으로 설명되곤 한다. 전쟁이 계속되면서 소련의 무기를 공급받은 세번째 계열이
권력을 장악해갔는데, 이 와중에 첫번째 계열은 숙청의 대상이었고, 두번째 계열은 포섭과 회유의 대상이었다. 그렇기에
통일노동자당은 이후 “트로츠키주의자”라 낙인찍히며(스탈린 집권 이후 ‘트로츠키주의자’라는 말은 한국의 7, 80년대 ‘빨갱이’란
말만큼이나 위력적이었다), 파시스트들과 내통했다는 혐의로 불법단체로 선포되었고, 통일노동자당 소속 의용군들은 무장해제를 당하며
투옥되거나 암살당한다.

물론 이러한 설명은 <랜드 앤 프리덤>이 취하고 있는 관점이기도 하고, <랜드 앤 프리덤>과 세트라 부를 수 있는 조지 오웰의 [카탈로니아 찬가]
가 취하고 있는 관점이기도 하다. <랜드 앤 프리덤>의 주인공 데이빗 카(이안 하트 분)와 조지 오웰은 모두
통일노동자당 소속의 의용군에 속해 있었다. 영화의 말미, 제복과 신식무기로 무장한 ‘인민군’에 의해 무장해제를 당하고, 이
와중에 블랑카가 죽는 장면은 바로 통일노동자당이 불법단체로 선언되고 이들에 대한 탄압이 시작된 시기, 1937년경이다.
<랜드 앤 프리덤>은 바로 이러한 정치적 격변 속에서 혁명을 위해 싸우며 희망과 좌절과 상처를 동시에 안는 의용군들의
모습을, 외국인 참전병인 데이빗 카의 시점으로 다룬다. 어수룩한 기강과 후진 무기에 환멸을 느낀 데이빗 카는 도중에 당적을
공산당으로 바꾸고 인민군으로 적을 옮기지만, 바르셀로나 시가전(조지 오웰도 묘사하고 있다.)에서 CNT 동지들과 대치하면서 느낀
환멸 때문에 결국 공산당원증을 찢고 통일노동자당 의용군의 전선으로 다시 돌아간다.

하지만, 우리가 영화를 보는 것은 단순히 역사적 사실을 ‘공부’하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위에서 길게 서술한 내용은,
<랜드 앤 프리덤>이 취하고 있는 시/공간적 배경과 역사적 배경을 좀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바로 영화 그 자체일 것이다.

User inserted image
데이빗의 유품에서 나온 동지들의 사진

<랜드 앤 프리덤>은 역사 교육용 텍스트가 아닌 ‘영화'(feature – 극영화)인 것은, 주로 인물의 묘사를
통해 드러난다. 남녀 할 것없이 혁명에 대한 신념으로 총을 잡은 이들은 비록 기강은 엉망이고 허술한 무기로 무장했을지언정,
단순히 ‘죽고 죽이는 인간 사냥게임’이 아닌, ‘혁명’의 과정에 함께 하고 때로 지켜보면서 역사적 격변기 속에서 사랑과 상처와
눈물과 웃음을 함께 했던 사람들이다. 켄 로치의 영화를 보며 항상 감탄하는 것이 그가 인물을 그리는 방식인데,  글로 이렇게
서술해놓으면 딱딱하기 이를 데 없는 것같지만 실제로 그의 영화 안에서 인물들은 제대로 발을 펴지도 못하고 참호 안에서 잠을 자는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웃고, 농담하고, 사랑에 빠지고, 함께 노래를 부르는 ‘살아있는’ 인간 본연의 모습이 묘사된다. 블랑카와
쿠간의 ‘연애행각’을 두고 동지들이 던지는 편견과 추측의 말이나, 그 블랑카를 두고 농담으로 데이빗 카를 놀려먹는 동지들,
쿠간의 죽음 앞에서 걷잡을 수 없는 슬픔으로 눈물을 흘리면서도 마음을 다잡는 블랑카의 모습 등은, 혁명같은 거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인간적 보편성’으로 호소하는 힘이 있다. 이념에 홀려 기계가 돼버린 인간이 아니라, 신념이 있지만 때로 회의하고,
갈등하고, 절망하는 인간. 나약하고 불안하기에 더욱 강해질 수도 어리석어질 수도 있는 인간, 그 인간들이 만들어내는 상처와
눈물을, 켄 로치는 대단히 건조하면서도 호소력 넘치게 전달하는 힘을 갖고 있다.

켄 로치의 영화에서는 ‘토론’의 장면이 눈에 많이 띈다. 특히 내가 멋대로 한 계열로 묶어버린 <랜드 앤
프리덤>과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는 공통적으로 극장에서 뉴스릴을 보는 장면과 살벌한 토론 장면이 길게 들어
있는데, 이 장면들은 두 영화 모두에서 인물의 심적 변화나 사건 전개에 있어 중요한 변화의 계기를 제공한다. 좌파적 이념을
경계하는 사람들이 ‘영화적 테크닉’으로는 낮은 점수를 줄 수도 있는 이 장면들을, 나는 켄 로치 영화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장면 구성 방식으로 여긴다. 조지 오웰이 [카탈로니아 찬가]에서 소위 ‘문학적 완성도’를 해칠 것을 뻔히 알면서도
제11장을 굳이 넣었던 것처럼, 그리고 그 11장이 오웰의 빛나는 통찰력을 보여주는 것처럼. 토론 장면은, 바로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직접 행사하는 과정 그 자체를 보여준다. <랜드 앤 프리덤>에서 이 장면은 사실 스페인 내전을
둘러싼 저 다양한 정치적 노선들이 그대로 드러나는 장면이기도 하다. 모든 농토의 집산화를 이루는 입장과, 자신이 가지고 있던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고 이를 지지하는 입장의 대립은, 사실 위에서 서술한 두번째 입장과 세번째 입장이 그대로 대립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이자, 토론과 논쟁을 통핸 민주주의적 의결방식의 작동을 그대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이 장면에서 소유권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미국 공산당 출신의 로렌스(톰 길로이 분)가 나중에 인민군 장교로 등장해 품의 동지들에게 무장해제를
명령하는 장면은 그러므로, 영화적으로 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그럴 수밖에 없는’ 장면이 된다.

한편 뉴스릴을 보는 장면은 내게는 ‘영화감독’으로서의 켄로치의 자의식을 보여주는 장면이라고 여겨진다. 새로운 사건에 대한
정보를 굳이 책이나 신문 등을 통해서가 아니라 어두컴컴한 극장의 뉴스릴을 통해 접하는 것. 켄 로치는 인터뷰 등에서 곧잘
“영화는 영화일 뿐”이라 말을 하지만, 실상은 자신의 영화를 본 관객들 중 단 한 명이라도, 자신이 몰랐던 사실에 대해 알고 그
혁명의 기운을, 역사를 받으며 변화하기를 내심 바라고 있는 건 아닐까. 할아버지의 유품을 통해 스페인 내전을 알게 된 데이빗의
손녀가 영화 마지막, 장례식에서 붉은 손수건의 흙을 무덤에 함께 부어주며 주먹을 불끈 쥐고 들어올리는 것처럼, 그리고
‘투쟁!’이라고 나지막히 속삭이는 것처럼.

User inserted image
혁명의 퇴행은, 여자동지들의 손에서 총을 뺏던 그 순간 이미 시작되었다.

영화를 보는 내내 눈물을 펑펑 쏟았다. (비디오가 아닌 ‘필름’의 위력은, 그리고 뭔가를 조금 알고 보는 것은 확실히
다르다.) 영화의 시작, 그 붉은 손수건 안의 흙이 나오던 시점부터. 바르셀로나 시가전 장면, 거리를 하나 사이에 두고 저
전화국의 CNT 동지들과 대치하며 주고받는 총성과 외침, 어제 함께 싸웠던 동지들이 오늘, 적이 되어 총을 겨누고 있게 된 그
기막힌 상황, 그리고 영화의 말미, 심지어 한 부대에서 싸웠지만 인민군 장교가 되어 부하들과 함께 이들에게 총을 겨눌 때, 그
분노와 절망과 상처의 외침과 눈물, 그리고… 블랑카가 죽는 슬로우 모션 장면. 가슴이 산산조각이 나서 부서질 것만 같았다.
그저 멍하게 스크린을 바라보며 콸콸 눈물을 쏟아내는 수밖에.

하지만 극장문을 나서며 생각했다. 내 눈물은 과연 어떤 의미일까. 역사 한 켠에 스러져 가는 낭만적인 혁명의 기억에 대한
소비일까. 이미 오래 전 지나간 역사이기에 마음놓고 감상에 젖어들며 감정을 소비하는 사치의 행위일까. 비극으로 마무리 된 잘
짜인 플롯의 드라마 한 편에 대한 의례적인 반응일까.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채, 그저 혁명의 기록을 담은 영화를 보고 눈물을
흘리는 문화소비자인 자신에 대한 역겨움과, 죄책감 때문에 씁쓸했다.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이어야 하지 않나. 켄 로치가 원했던
건, 그리고 그때, 저 멀고먼 스페인 땅에서 죽어간 저 노동자 선배들이 원했던 건, 그저 한 편의 문화상품을 소비하며 감상에
젖는 건 분명 아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나는 영화를 본지 2주가 넘은 지금, 다시 이렇게 멍청하게 중얼거리고 있다 : 언제고
다시, 또다시 보고 싶다, 이 영화. 진정한 걸작이다. 라고.

clk1061.mp3
과거사진상규명위 상임간사
노바리(invinoveritas@hanmir.com)

“[영진공 64호]<랜드 앤 프리덤>”의 3개의 생각

지나에게 댓글 남기기 댓글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