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더 (Spider, 2002)”, 섬세하게 쌓아올린 건축물 같은 작품

프로이드의 주장 대로라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고 자란 모든 남자에게 해당되는 ‘극히 일반적인’ 정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만일 단순한 컴플렉스 수준에서 끝나지 않고 실질적인 어떤 행동으로까지 옮겨지게 된다면 그 결과는 ‘매우 특이한’ 사건과 기억이 되어 그의 남은 일생을 지배하게 될 것이 분명하다. 패트릭 맥그래스 원작의 <스파이더>는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에 대한 재해석을 기본 골격으로 어느 정신병 환자의 치명적 과거 속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포스터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창문을 벽돌로 전부 막아버린 건물의 이미지는 세상과 단절된 주인공의 의식 세계를 상징하면서 영화의 도입부를 장식한다.

오이디푸스는 어머니에 대한 사랑 때문에, 알고 그랬든 모르고 그랬든 자신의 생부를 살해한 신화 속 인물이었지만 <스파이더>의 주인공은 남자로서 갖는 여성성에 대한 상반된 기대 가치, 즉 엄마와 창녀의 이원화된 존재를 실재로 혼동 하는 와중에서 아버지와는 모종의 타협을 하고, 대신 생모에 대한 응징을 선택한다. 이런 사실은 영화 속에서 비교적 나중에 밝혀지는 일종의 반전이자 현실이기는 하지만 영화 중간 즈음부터 충분히 예측이 가능하도록 느슨하게 연출되었다는 점에서 <스파이더>에서 데이빗 크로넨버그가 역점을 둔 것은 관객을 깜짝 놀래키는데 있지 않았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스파이더>는 다소 느리고 답답한 느낌을 주기는 하지만 마치 거미 한 마리가 자신의 둥지를 직조하듯 영화 속 작은 요소 하나하나까지 섬세하게 다듬어 쌓아올린 건축물과 같은 작품이다. 이전의 데이빗 크로넨버그의 작품들이 구차한 설명을 과감히 생략함으로써 다소 거친 뒷맛을 남기곤 했던 데에 비해 <스파이더>는 대단히 명쾌한 끝맺음과 앞뒤 아귀 맞음이 조금 생소하게 느껴질 따름이다. 그러나 만약 <스파이더>의 최대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여러 장치들의 섬세한 배열이 연출이 아니라 원작과 시나리오(모두 패트릭 맥그래스가 했다)라는 사전 작업 과정에서 이미 나온 것들이었다면 이 영화를 위해 ‘굳이 데이빗 크로넨버그였을 필요가 있었겠는가’하는 의문이 가능할 것이다.

원작과 시나리오가 뛰어났든 데이빗 크로넨버그의 색다른 감각이 빛을 발했던 것이든 간에 <스파이더>에서 가장 눈부시게 빛나는 이는 너무나 다른 1인 3역의 캐릭터를 기막히게 소화해낸 미란다 리처드슨이라고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랄프 파인스나 가브리엘 번이 다소 밋밋하게만 보였던 것은 이들이 결코 부족한 배우라서가 아니라 상대적으로 미란다 리처드슨의 활약 앞에 가려질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란 생각이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