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키 사토시 감독의 인생철학



친구의 홈피를 보던 중 한 글귀가 눈길을 끌었다.  


“인생 참 별거 없다.


어릴 적부터 삶은 대단한 거라고 생각했었고


무언가 특별한 것이 기다리고 있을 줄 알았다 …”




결혼을 하고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된 지금 친구의 글이 종종 떠오른다. 나 역시 삶이란 뭔가 특별한 것이 있는 줄 알았다. 방황의 20대를 보낸 것도 결국 남과 다른 삶을 살고 싶었던 발버둥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지금 내 모습은 다른 이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집 걱정, 가족 걱정, 돈 걱정을 하며 살고 있는 모습. 마치 어떤 관광지를 가던지 손가락으로 V 포즈를 하고 있는 여행사진들처럼 우리 모두는 배경만 다를 뿐 똑같은 인생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우리가 꿈꾸는 특별한 인생이란 무엇일까. 모 기업가처럼 죄를 짓고도 어디 소풍 다녀오듯 사면되어 나와선 ‘정직하게 살아야 한다’고 훈계하는 것일까? 히피족처럼 바람따라 구름따라 자유롭게 사는 것일까? 타임지의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뽑혀야 특별한 인생일까? 어떤 인생이 ‘특별’한 인생일까?




미키 사토시 감독은 이런 질문에 자신만의 확고한 답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그의 영화에는 언제나 지루하고, 무기력하고, 별 볼일 없는, 쳇바퀴를 돌리는 다람쥐형 인간들이 주인공 자리를 떡하니 차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특별한 것 없는 인생, 실패한 인생을 살고 있는 사람들이다.

물론 이런 주인공들이 피똥싸는 노력 끝에 기사회생하여 인생의 대박을 얻는 성공 스토리를 그린 영화는 많다. 그러나 미키 사토시의 영화에는 그런 커다란 성공은 나오지 않는다.

오히려 그런게 당신의 인생을 특별하게 만들어 줄 리 없다는 듯 쪼잔하다 싶을 정도로 아주 작고 평범하고 사소한 것으로 시선을 돌린다.
 



거북이는 의외로 빨리 헤엄친다(2005)
지루한 인생에 지친 전업주부 우에노 주리 양이 등장해서 주부 스파이로 활약한다.
영화는, 평범한 일상이라도 조금만 생각을 바꾼다면 이 세상은 정말 기똥차게
재미있는 곳이라고 말한다.



텐텐(轉轉, 2008)
텐텐은 여기저기 정처없이 걷는다는 뜻으로 오다기리 죠가
잉여인간으로 나오는 작품이다. 자기 앞길을 찾지 못하고 청춘을 썩히고
있는 오다기리 죠와 부인을 살해해 도쿄경찰청에 자수하러 가는
빚쟁이가 함께 도쿄시내를 산책하며 경찰청까지 가는 로드무비(?)다.
우리가 사는 주변, 내가 살아왔던 삶을 되돌아보며 그 안에서 일어났던 사소하고
작은 일들이 얼마나 행복하고 소중한 것인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인스턴트 늪(インスタント沼, 2009)
초현실적인 존재를 믿지 않는 현실주의자 편집장이 찌든 일상을 접고
골동품가게를 열기까지의 좌충우돌 이야기로 익숙했던 주변을 다른 시선으로
본다면 놀라운 것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소소한 것들의 즐거움을 이야기한다.


미키 사토시 감독은 우리의 인생을 특별하게 만들어 주는 것은 어떤 거창한 무엇이 아니라 주변의 작은 것들을 다르게 바라볼 수 있는 눈이라고 말한다.

그런 눈은 자신의 인생을 사랑하는 사람만이 볼 수 있다. 식물에 관심이 없는 이에게 산에서 자라는 풀들은 그저 잡초들의 집합일 뿐이다. 하지만 식물을 사랑하고 관심있게 이에게는 산에 있는 풀 하나, 나무 하나 마다 자기 이름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는 특별한 삶을 꿈꾸지만 우리의 삶은 그 자체로 특별하다.

대학가고 졸업하고 취직하고 결혼하고 애낳고 … 이런 식으로 삶을 단순화 시키는 것은 모든 영화가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일 뿐이라고 말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단순해 보이는 나의 하루, 나의 한달, 나의 일년이지만 그 안에서 특별한 당신과 만나고 특별히 햇살 좋은 날도 있고 특별히 재수없었던 날도 있다.

오늘따라 매끈하게 유선형으로 깎여진 손톱이 맘에 들고 뫼비우스의 띠 처럼 묶여진 농구화 끈을 보며 오늘따라 자유투가 잘 들어갈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 이런 사소한 것들이 우리의 인생을 특별하게 만들어준다.

특별한 삶이란 다름아닌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삶이다. 그래서 우리가 특별한 삶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은 단지 지금 자신의 삶을 더 사랑해주는 일 것이다.


덧붙여.


국내 팬들 사이에선 일본의 장진 감독이라 불리는 미키 사토시 감독은 장진 감독처럼 자신만의 색깔을 가지고 있다. 초현실스런 사건과 인물들의 묘사, 그 인물들이 주고받는 중구난방 동문서답의 대화들로 아주 유쾌한 영화를 만들어 낸다. 게다가 장진 감독의 영화에서 정재영과 장영남씨처럼 미키 사토시 감독의 영화에도 터줏대감들이 있다. 그들은 이와마츠 료와 후세 에리라는 배우인데 이 둘은 거의 항상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한다.


이와마츠 료와 후세 에리. 사진만 보고 있어도 절로 유쾌해진다.

영진공 self_fish

 

빅 리버 (Big River, 2005) “오다기리 죠 끼워팔기”


처음 이 영화의 개봉 소식을 접했을 때 ‘오다기리 죠가 좀 팔리니까 끼워팔기 식으로 아무거나 들이미는구나’ 싶었다. 더군다나 미모와 성실함 외에는 배우로서 그 이상의 성취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오다기리 죠의 영화라니, 오히려 더이상 보고 싶지가 않다는 쪽이었다. 하지만 좋은 영화를 보고 싶은 소망은 한결 같아서, 이내 <빅 리버>를 보자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그리고 그 때 같은 주말 개봉작 중에 볼만한 영화라고 생각되는 건 정말 이거 하나 밖에는 없는 상황이었으니.

저예산 영화라고 해서 면죄부가 발급되어서는 절대 안된다는 게 유료 관객의 입장이다. <빅 리버>는 창의성이 결여된 기존 독립영화들의 답습이자 유사 예술영화다. 더군다나 길에서 우연히 만난 금발 백인 미녀와의 낯간지러운 사랑의 줄다리기라니. 이 작품을 통해 작가의 팬터지는 충족되었을지 몰라도 관객들은 영화과 학생 졸업작품에서나 경험할 수 있는 실소를 연발해야만 한다. “모르겠다가 무슨 뜻이야”에 “내가 싫어진거지”라니, 제니퍼 제이슨 리나 쥴리엣 루이스 같은 배우로 설득력을 발휘하거나, 예를 들어 <메종 드 히미코>와 같이 전혀 다른 방식의 긴장 관계로 엮어나갔어야 했다. 중간에 <데드 맨> 오마쥬를 끼워넣는다고 해서 짐 자무쉬의 영화처럼 대접받을 수 있는 것도 결코 아니다.

<빅 리버>와 <러브 토크>와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공통점은? 작가가 “저 여기서 유학했어요~”라고 자랑하는 영화들이다. 만듬새의 기본기는 <러브 토크>가 그나마 낫다. <빅 리버>는 영화 자체 보다 이런 영화를 베를린과 부산에 출품할 수 있었던 제작자들의 능력이 좀 더 놀랍게 느껴지는 영화다. 그러나 <클림트>를 보면서 존 말코비치의 연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만족할 수 있듯이 오다기리 죠가 출연한 100분짜리 영상물이라는 이유만으로 만족할 수 있는 관객이라면 <빅 리버>는 나름의 가치가 있는 영화라고도 할 수 있겠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