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고?, <슬럼독 밀리어네어> 단상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를 봤다.
영화야 뭐… 충분히 익숙하면서도 참신하고, 현실감 있으면서도 로맨틱하며, 동화적이면서도 긴장감 넘친다.

한마디로 말하면, 재미있다.
영화가 꽤 긴데, 그렇게 긴 줄 몰랐을 정도니까.
게다가 해피엔딩이다. 그게 뭐 그리 대단하냐고?

이 영화, 얼토당토않은 설정을 밀고나가는 영화답지 않게 아슬아슬하고 긴장감이 넘치기 때문에 해피엔딩이 정말 고맙게 느껴질 지경이다. 심지어 나는 엔딩을 보며 좀 울컥했을 정도다.

보통 이 영화가 미국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다크 나이트>나 <벤자민 버튼> 같은 수준작들을 제치고 작품상을 포함한 알짜배기 상을 8개나 탔다는 사실을 놓고 미국 주류영화계가 인도를 받아들였다고들 말한다. 물론 그 수상은 분명 이례적인 일이다. 이 영화가 재미야 있지만, 그리고 나름 새롭지만 아주아주 대단한 작품은 아니거든. 따라서 이 영화의 성공이 바로 ‘인도’ 라는 나라의 사회와 역사와 문화에 영향받은 것에 대해서는 아마 거의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그러나 이게 그렇게 간단하게 보고 넘길 일이 아니다.
문화에 대해 우리가 익숙한 말 중에,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라는 표어가 있다. 어찌보면 이 영화도 바로 위의 표어를 증빙하는 사례로 해석할 수 있어 보인다.

그렇다. 이 영화도 인도적인 것을 다루었기 때문에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거는 맞다.
하지만 그것을 “가장 인도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미국에 헐리우드가 있다면, 인도에는 발리우드가 있다.
헐리우드 영화가 미국의 주류 상업영화를 대표하듯, 발리우드 영화 역시 인도의 주류 상업영화를 대표한다. 따라서 가장 인도적인 것이라면 보통은 이 발리우드 영화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상식이다.

하지만 이 영화 <슬럼독>은 발리우드 영화와는 한참 떨어져 있다.
발리우드 영화에는 액션과 로맨스와 환타지가 넘치지만 진짜 인도 빈민들의 진짜 어두운 삶은 다루지 않는다. 하지만 이 <슬럼독>의 소재는 바로 그 진짜 빈민들이다.
심지어 영화에 등장하는 아역배우 3 명 중 2 명은 실제로 가난과 착취에 시달리는 애들이다. ‘살림’ 역을 맡은 애가 사는 집은 아직도 아래와 같은 꼬라지이며,
라티카’ 역을 맡은 애가 영화 촬영에 대해서 회고하며 “아무도 나를 때리지 않아서 참 좋았다”는 말을 남길 정도다.

그 아이들의 삶은 영화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다.
 



‘살림’役 꼬마가 사는 “집” …

주인공들의 생김새도 주류배우들과는 많이 다르다.
남자배우도, 여자배우도 인도영화계 기준으로는 미남미녀라고 하기에 한끗 혹은 두끗 부족하다. 이 영화에 나오는 배우들은 인도주류 영화였다면 기껏해야 단역수준이라고나 할까.

그러니 아무리 이 영화가 성공했어도 주연 배우들은 인도 발리우드 영화계에서는 성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마지막의 발리우드 풍 군무조차도, 진짜 발리우드 영화의 기준으로는 참 싱겁고 뻣뻣한 군무라는 것은 아마 발리우드 영화를 한편이라도 보신 분이라면 누구든 동의하실 것이다.


발리우드의 대표 영화배우들이시다.

* 진짜 발리우드 군무라면 이 정도는 해줘야 한다 *
http://www.youtube.com/watch?v=waEXlvat5GA&hl=ko

실제로 인도 본토 사람들은 이 영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발리우드 영화에 비하면 지나치게 구중중하고 심각하고 게다가 흥겹지도 못하니
당연하지 않겠나.

게다가 인도를 무슨 거지소굴마냥 그렸다고 화를 낸다던데,
입장을 바꿔놓고 봐도 이해할 만하다.
우리나라에도 빈민가가 여전히 있지만 주류 영화계에서
더 이상 그런 곳을 소재로 하지는 않으니…

말이 길어졌지만 요약하면, 이 영화에 담긴 인도는 인도인들이 아는 인도가 아니다.
지극히 비주류의, 지극히 예외적인 시공이라는 얘기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것 중에서 소위 한류를 일으킨 것들도 어떻게 보면 그렇다.
한류들이 우리에게 놀라운 일이었던 이유는 단순히 우리나라 것이 외국에서 인기를 얻어서가 아니라, 우리는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것들이 외국에서 뜻밖의 인기를 얻었기 때문이 아니던가?

일본에서 한류의 불꽃이 되었던 <겨울연가>, 그 이전에 한국 영화를 알렸던 <8월의 크리스마스>, 모두 우리나라에서 받아들여지던 모습과 일본에서 받아들여지는 모습이 완전히 다르다.

<겨울연가>는 우리나라 역사에 길이 남을 걸작이 아니라 기성품 드라마 중 하나였고, <8월의 크리스마스> 역시 규모에 비해서 알찬 흥행성적을 올린 작은 영화였다. 그것은 <내 머릿속의 지우개>도 마찬가지인데, 이들 모두 우리나라보다 일본에서 뜻밖의 대박을 쳤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래도 핑클이나 SES를 넘어서지 못하던 걸그룹 <베이비복스>가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는다거나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정말 모두의 주목을 받은 진짜배기 주류는 의외로 외국에서 그만한 대접을 못 받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영화 흥행 1,2,3위를 차지하는 <괴물>, <태극기 휘날리며>, <실미도> 중에서 외국에서도 그에 상응하는 평을 받은 작품은 <괴물> 뿐이다.

게다가 <괴물>은 외국영화제에서의 호평 소문의 힘을 입어 성공했다고 볼 수도 있으니 예외적인 경우라 해도 무방하다 치면, 우리나라에서 잘나간 영화들이 외국에서 성공하지 못했다는 원칙이 통한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정말 미미한 주목을 받았던 김기덕 감독의 영화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은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한국영화의 대표로 인식되고 있다. 심지어 미국에서는 얼마 전까지 한국영화 흥행 1위작이기도 했었다.

그러고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에서도 인기를 얻은 국민드라마 <대장금>은 오히려 예외적인 경우이고 대부분은 그 반대들이다.


물론 이런 현상의 원인이 우리나라 문화 자체가 여전히 주변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문화계에서는 언제나 조금은 독특한 것이 인정받는다. 우리나라에서 김태희가 미인인 이유는 이 동네에 김태희 같은 미모가 드물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심부에서 주변부를 볼때는 그렇게 되지 않는다. 주변부라는 것 자체만으로도 독특하거든. 그때문에 그 주변부 동네에서는 보편적인 것이 중심부에 가면 더 잘 나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미국에서 높이 치는 한국 미인은 김태희가 아니라 순이나 장윤주 같은 무던한 한국 얼굴이 되는 거다.

하지만 꼭 그렇게만 봐야 하는 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인기있는 팝송이나 외국 소설이 반드시 그 동네에서 인기있으리란 법은 없다.
예를 들어,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책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렸다. 마이클 베이의 <아일랜드>도 우리나라에서만 성공했다. 예수님도 “선지자는 밖에 나가서는 인정을 받는데, 자기 고향에서는 업신여김을 당한다” 고 말했다는 걸 보면 이건 정말 동서고금을 막론한 진실일지도 모른다.

결국 위의 말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는 이렇게 보완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모르는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바로 이 부분이다.

“우리는 뭐가 세계적인 것이 될지 모른다.”

그것이 빈민들의 험악하고 슬픈 삶일 수도 있고 사소한 취미일 수도 있으며 우리 모두가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그 어떤 것이 될 수도 있다.

스케일을 조금 줄여놓고 보면 이것은 우리나라 안에서도 마찬가지다.
기획자나 감독이 스스로 “이거야 말로 대박이다!” 라고 생각한 것이 실제로 그들 마음의 밖에 나갔을 때도 대박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오히려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뜻밖의 성공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워낭소리>도 그렇지 않던가. 아무리 봐도 거기에 무슨 3백만명 동원 가능성이 보이질 않는다. <과속스캔들>도 마찬가지고 <추격자>도 그렇다. 누군들 그런 소박하거나 잔혹한 영화가 그해 최고 흥행작이 되리라 예상했겠나.

이런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내가 보는 세상과 남들이 보는 세상이 다르고, 내가 보는 나와 남들이 보는 나도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는 세상을 온전히 볼 수 없다. 그저 가끔씩 던져지는 단서들을 만지작거리며 추측만 할 수 있을 뿐이다. 가끔은 세상이 던진 단서가 우리가 준비한 무엇과 맞아떨어지기도 한다. 마치 <슬럼독->의 자말에게 벌어진 일처럼 말이다. 하지만 자말 자신도 퀴즈쇼에 나가기 전까지는 그때의 그 경험이 바로 퀴즈의 정답이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니 우린 계속 겸손해야 한다.
우리는 늘 맞추기보다는 틀리는 경우가 더 많다.

이솝도 이런 이야기를 해주지 않던가.

사슴 한 마리가 호수에 비친 자신의 뿔을 보니 너무 아름답고 늠름해 보였데, 가냘픈 다리를 보니 괜히 짜증이 났습니다.
어디선가 갑자기 사냥개 짖는 소리가 났습니다. 사슴은 숲 속으로 달아났습니다. 사냥개가 사슴의 빠른 발을 따라오지 못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만 뿔이 나뭇가지 사이에 얽혀버렸습니다. 그 사이에 사냥개가 사슴의 코앞까지 달려왔습니다.
“아, 내가 구박했던 가냘픈 다리가 나를 살렸는데, 나의 사랑을 받던 뿔이 나를 죽이는구나

영진공 짱가

추가1.  아 참 근데, 어떤 나라의 문화부에서는 될 영화만 골라 밀어주겠다며?
도대체 어떻게 될 영화와 그렇지 않은 영화를 구분하겠다는 건가? 사람이 그걸 어캐 안다고 … 아무래도 그 나라 문화부장관은 무슨 신령님의 점지를 받은 모양이다.

추가2.  아카데미상 받은 거는 축하하는데, 영화 시작할 때 꼭 그렇게 자랑질 해야 하나 싶더구만 … 그건 좀 깨는 마케팅 아닌가?

추가3. 대니보일은 앞으로도 영화 성공하고 싶으면 화장실 투신 장면을 넣을지 모르겠다. <트레인스포팅>에 이어 이번에도 아주 쎈 화장실 투신 장면이 나온다. 맥락은 둘이 똑같다. 여튼 그 장면이 쎈만큼 더 영화가 잘 되었는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