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데이터는 빅 브라더가 될 것인가?

 

 


 


 


“Who controls the past controls the future.


Who controls the present controls the past.”


(과거를 지배하는 이가 미래를 결정하며,


현재를 지배하는 이가 과거를 결정한다.)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84


 


 








 


 


 


1949년에 나온 조지 오웰의 소설 “1984”.


굳이 다른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될 이 책에는 우리가 너무도 잘 아는 말이 나온다.


그건 바로 “Big Brother”.


 


사회의 모든 활동과 개인의 일상 모든 것이 다 통제되고 지배되는 그런 사회,


그걸 조정하는 한 사람, Big Brother 말이다.


 


한때 요란하게 떠들어지던 이 단어가 요즘은 거의 사용되지 않긴 하지만,


이 이미지가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빅 데이터와 흡사하다고 느껴지는 건 나만의 지나친 상상일까.


 


 


 


빅 브라더는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소설 “1984”는 1956년과 1984년에 영화화 된 적이 있다.


 


 


 






 


 


 


소설과 영화에서는 강압과 폭력 그리고 인간성의 왜곡을 통한 통제체제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깨어있는 인간들,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인간들이 협력하고 저항하면 이러한 체제는 충분히 극복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사실 역사상 존재해왔던 그리고 계속 새로 생겨나는 전체주의들은 바로 그런 희망에 기반한 노력에 의해 대부분 소멸되었다.


 


1998년 개봉 영화, “에너미 오브 더 스테이트 (Enemy Of The State)”.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코자 노력하지는 않는 오락영화이지만, 이 영화는 참으로 구체적이고 실감나게 통제의 공포를 느끼게 해 준다.


 


 


 





 


 


 


이 영화에서 통제는 첨단 기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를 행하는 이는 최고 권력층 내의  심각하게 비뚤어진 인사이다.


 


인공위성과 통신기기 그리고 CCTV를 통해 가해지는 통제의 압박은 무척 공포스럽고 끔직하여서, 그 기술과 권력은 반드시 선한 권력층과 건전한 체제 하에서 관리되어야 한다고 절실히 느껴진다.


 


그리고 사실 이 영화를 보면서 마음 한 구석에는 … “에이, 정말 저게 가능하기나 하겠어?”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었고.


 


그런데 빅 데이터라?


 



이건 말하자면 현존하는 모든 데이터를 파악하고 관계지워서,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 또는 더 나아가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어내고자 하는 행위의 총칭이라고 생각한다.


 



게다가 빅 데이터는 누군가의 강압이나 외적인 요소에 의해 강제되는 게 아니라,


내 스스로 제공한 그리고 나도 모르는 사이에 쌓여진 정보에 기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2011년에 방영을 시작한 미국 드라마 “Person of Interest”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잘 그려져 있다.


 


이 드라마는 9. 11. 테러 이후 미국 정부가 유사한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거대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스템을 운영하는 정부가 평범한 사람들에게 벌어지는 범죄는 무시하기에, 이를 못 견딘 제작자가 직접 행동에 나선다는 것이다.


 


이 드라마에서 통제와 관리를 위해 동원하는 주요 도구는 “Digital Footprint”, 즉 온라인 행적이다.


 


온라인 흔적과 통신 내역, 공적 기록에다가 인공위성과 CCTV를 통원하여 한 개인의 행동과 그 행동의 영향을 또 다른 개인들과 연결시켜 분석하면 그 개인에게 어떤 일이 언제 벌어질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게 가능할까 긴가민가 하면서 그냥 시청하곤 했는데,


빅 데이터라는 개념과 묶어 보니 … 어?! 이거 가능할 수 있겠다 싶어진다.


 


 


 


 




 


 


 


일상의 시시콜콜한 대부분을 SNS에 기록하고, 포탈과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취득과 의견 피력을 수시로 하며, 인터넷 쇼핑 등으로 대부분의 생활용품을 구매하고 거의 모든 결제를 신용카드로 하는 나는 점점 더 깊고 상세히 데이터의 형태로 규정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누군가 마음만 먹으면, 특정 개인이 예전에 어떤 단체나 동아리에서 활동하며 어떤 의견을 내고 누구와 어울렸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어느 계절에 주로 어떤 물건을 사고 전화통화는 어느 시간에 누구와 하는지, 여가는 어떻게 즐기는지, 정치적 성향은 어떤지, 뭘 잘 먹는지, 잠은 언제 자는지 등등 … 모든 걸 순식간에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의외로 사람은 단순해서 이전에 형성했던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니,


Digital Footprint에 의해 어딘가에는 기록된 나의 과거를 보고 현재를 모니터링하여 나의 미래를 높은 신뢰도로 예측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제는 온라인 흔적을 찾아 지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니 어느 순간에 힘을 가진 누군가에 의해 빅 데이터가 빅 브라더로 변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 그리 지나친 걱정이 아닐지도 모른다.


 


물론 그런 일이 일어나기 매우 힘들게 사회적 안전장치를 만들면 될 것이다. 그런데 그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닐테고, 주어진 정보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안다면 이를 탐내지 않을 권력자가 그리 흔하겠는가.


 


 


 






 


 


 


이번 보스턴 폭발(또는 테러)의 경우를 보아도,


<보스턴 사고의 사상자와 가족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언젠가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는 나도 모르게 빅 브라더의 존재에 진심으로 감사하게 될 것인지,


아니면 빅 브라더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강렬히 저항하게 될지 곰곰 생각해보게 된다.   


 


 


 


영진공 이규훈


 


 


 


 


 


 


 


 


 


 


 


 


 


 


 


 


 


 


 


 


 


 


 


 


 


 


 


 


 


 


 


 


 


 


 

해커, 그 광기와 비밀의 기록

재외공관소식
2006년 9월 13일

“지금까지 컴퓨터는 민중을 위해서가 아니라 민중에게 해를 끼치는데 사용되었다. 민중의 해방이 아니라 민중의 통제를 위해 사용되었다. 이제 이 모든 것을 변화시킬 때가 되었다.”
– 피플즈 컴퓨터 사의 성명서 (1972년 10월), [해커, 그 광기와 비밀의 기록] 중에서 발췌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리차드 파인만 박사의 자서전에는, 동료 물리학자가 복잡한 계산을 하려고 컴퓨터를 배우다가 그만 컴퓨터 자체에 푹 빠져 버려 몇날 며칠 밤을 새면서 컴퓨터를 붙들고 있던 이야기가 실려 있다. 그리고 파인만 박사는 문제 해결의 수단인 컴퓨터를 목적으로 착각하는 건 대단히 어리석은 짓이란 뉘앙스를 풍겼다.

분명 컴퓨터는 평범한 인간의 두뇌로 처리하기 힘든 복잡한 계산을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수학적인 기계에 불과하다. 도구라는 점에 있어서는 낫이나 망치와 별 차이가 없다. 그러나 컴퓨터는 인간의 명령에 반응해서 다양한 결과를 도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면에서 끝없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수단이 아닌 목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해커는 바로 그런 사람들이다. 컴퓨터를 다루는 일로 어떠한 이익을 창출하기보다는 컴퓨터를 다루는 일 자체에서 만족감을 얻었던 사람들, 컴퓨터를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삼은 사람들. 그 중에는 개인적인 자부심을 위해 컴퓨터에 몰두한 이기주의자가 있었고, 컴퓨팅 능력은 정부기관이나 대기업에서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에게 골고루 분배되어야 한다고 믿었던 이상주의자가 있었고, 컴퓨터야말로 하인라인이나 아시모프의 비전을 실현시켜줄 장치로 숭배한 낭만주의자가 있었다.

스티븐 레비의 [해커, 그 광기와 비밀의 기록]은 바로 그런 사람들에 관한 기록이다. 컴퓨터의 여명기인 50년대 말부터 시작해서 애플 컴퓨터를 시작으로 하는 80년대 개인용 컴퓨터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MIT의 컴퓨터 연구실에서 홈브루 컴퓨터 클럽과 시에라 온라인을 무대로 삼아 펼쳐진 수많은 해커들의 역사적인 이야기를 꼼꼼하게 기록한 책이다.
‘모든 정보는 공유되어야 한다’는 해커들의 윤리는 70년대 말, 빌 게이츠가 알테어용 베이직을 유료로 판매하면서부터 서서히 변질되기 시작했다. 워즈니악이 개발한 애플 컴퓨터가 날개돋친 듯이 팔리면서 공학자가 아닌 일반인 중에서도 컴퓨터 해킹에 몰두하는 사람이 나타나게 되었다. 해커였던 캔 윌리엄스는 애플 II용 어드벤쳐 게임을 만들어 대박을 터뜨려 컴퓨터 게임 회사 시에라 온라인을 설립했다. 해커들이 세운 회사는 성장을 거듭하면서 마침내 해커들 자신이 그렇게 증오하던 ‘공룡’ IBM과 마찬가지로 비효율적인 괴물이 되어버렸다.
이 책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은 1983년, 해커의 윤리가 사라지는 것을 한탄하며 그 소스부터 결과물까지 완전히 공개된 GNU 유닉스를 개발한 리처드 스톨맨의 이야기이다. 이 책이 나왔을 당시에는 아마도 전통적인 해커의 윤리는 ‘끝장났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던 모양이다.

재미있는 것은 20여년이 지난 지금, ‘모든 정보는 공유되어야 한다’는 윤리가 다시금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공개 OS인 리눅스를 필두로 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API를 무료로 제공하는 인터넷 기업에 이르기까지, 소스와 결과물을 독점적인 판매물로 꽁꽁 묶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공룡’들이나 하는 짓거리로 전락해 버렸다.
21세기에 와서 되살아나는 해커의 윤리, 그것이 전세기 인류의 삶을 어떻게 바꿔 놨는지 알고 싶다면 읽어야 할 책이다. 10년 전인 96년에 나온 책이라 구해보기 쉽지 않다는 것이 문제긴 하지만

재외공관 독서권장위원회
DJ. HAN (djhan@thrune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