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만감”, 내 딸이 징그러워요~ ^^

 

 


 


 


* 카툰을 누르면 커집니다 *



 


 


 


 


영진공 self_fish


 


 


 


 


 


 


 


 


 


 


 


 


 


 


 


 


 


 


 


 


 


 


 


 


 


 


 


 



 


 


 


 


 


 


 

임금피크제와 일자리 나누기, 정답이 있을까?

“오자룡이 간다” 라는 드라마를 보다보니 특이하게도 재벌가의 사위가 부당해고 당한 사람들과 함께 하는 장면이 나온다. 드라마에서 제법 시대상을 반영하는 구나 싶었지만 역시나 이야기의 전개는 현실 만큼이나 답답하다.

눈길을 끄는 건 그 재벌 사위가 부당해고 당한 사람들을 위해, 다른 사람들에게 받으러 다니는 서명인데, 내용인즉슨 노동자들 자신의 임금을 좀 줄이고 그 임금만큼 해고자들을 복직시키자는 것이었다.

그 이야기와 더불어 요즘 오건호 님이 민주노총의 임금피크제 반대에 대해 비판한 글이 이슈가 되던데 한 번 읽어보면 참 비슷한 이야기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4302154105&code=990308

“그런데 현실은 생일 덕담만을 주고받기엔 갑갑하다. 민주노총이라는 조직 자원을 가진 상당수 중심 노동자들은 종종 자신만을 챙기는 ‘이익집단’으로 간주된다. 민주노총은 6개월째 위원장조차 뽑지 못하는 내홍을 겪고 있다. 조직의 생동감을 불어넣는 데 선거만큼 중요한 계기가 없건만, 정파 인사들은 자리를 논하는 ‘짝짓기 테이블’을 급조할 뿐, 노동운동을 부흥시킬 프로그램은 제시하지 못한다. 선거라는 절호의 기회를 매번 뒷걸음질에 소모해 버렸다면, 이들이 지닌 시대적 역할은 분명 종료됐다.

중앙조직의 활동 역시 명분에 치우쳐 일을 놓친다. 요사이 정년 연장에 따른 임금피크제 도입이 논란이다. 민주노총은 임금피크제가 불안정 노동자의 저임금을 악화시킨다며 도입에 반대한다. 하지만 정년 연장의 수혜가 지불능력이 있는 대기업, 공공부문에 집중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임금피크제 논란이 수년을 거듭해 온 주제임에도 ‘임금삭감 불가’만 되풀이한다. 모양은 정년 연장을 보편적 노동권으로 주창하지만 실상은 중심 노동자를 위한 조치로 귀결시킨다는 점에서 ‘미필적 고의’에 가깝다.”

솔직히 임금피크제나 다른 노동자들을 위한 임금삭감이란 것이 형태상으로는 자본가들의 이익은 그대로 보존하되 노동자 자신들끼리 부를 분배하는 방식이다. 그러니까 원칙의 입장에서 보면 임금 피크제야말로 노동자들 사이에서 부를 나누는 것이기 때문에 계급간의 문제를 노동자간의 문제로 환원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미 정년 연장 정책이 들어서게 되는만큼 민주노총의 임금 피크제 반대도 현실적으로 생각해 봐야 하는 주제가 되어버렸다. 왜냐하면 세대간의 격차가 벌어진 최근의 상황에서는 임금피크제 반대가 저소득층, 부당해고 당하는 노동자, 사회의 소수자들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닭과 달걀의 문제라고 할 수도 있지만, 지형적으로 좁은 한국이다 보니 세력화를 못하면 성취를 할 수 없고, 성취가 없으면 세력화가 매우 힘들다. 그간 대중들의 의식 속에 박혀진 개념으로는 정규직의 희생이 없이는 비정규직이 살아 남지 못하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연대없이 힘있는 노동운동이란 것은 불가능하다. 원론적으론 임금피크제나 잡 셰어링이 올바르지 않을지라도 일단 지금 바로 현실에서 힘들어하는 하위계층을 돕기 위해 이제는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일자리 나누기(Work-Sharing) 법안 통과에 반대하며 시위 중인 미국 위스콘신주 노동조합 대표단 (2013)

마음을 얻지 못하면 커다란 하나가 될 수 없을 터인데 노동자들 간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간극을 애써 무시하며 지나온 시간이 너무 오래다. 솔직히 이런 상태로 벌써 몇년째인가?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별은 그대로이고 서로에 대한 불신과 대중의 오해는 그대로이다.

그와 더불어 동력이 사라진 노동운동은 대중과 함께하기가 만만치 않다. 오건호 님의 주장대로 이제는 그냥 그대로 있을 수는 없고 뭔가 다른 상상력과 활력이 필요한 시기가 온 것이 아닌가 싶다.사실 어떤게 정답인지는 아무도 모를 터이지만 그렇다고 이제까지의 관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혼잣말로 그냥 푸념을 하자면,

사회진보란 참 … 진보세력에게 간디와 같은 희생을 요구하면서도 또한 수퍼맨 같은 완벽함을 요구하는듯하다.

솔직히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을 내는 일은 나에게 무리지만 나름 의미가 있는 해답을 찾기 위해 할 수 있는 방안을 헤아려보는 것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한다.

영진공 엽기민원

[그 영화 그 노래] 탐 웨이츠(Tom Waits)를 아시나요?

 

 


 


 


탐 웨이츠(Tom Waits),


최후의 비트족이라 불리우는 1949년 생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이 가수의 이름을 들어본 이는 그리 많지 않을테지만, 그의 노래를 어떤 식으로든 들어본 사람은 의외로 많을 듯 하다. 왜냐하면 이 아저씨의 노래는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수 없이 많은 TV 프로그램과 영화에 삽입되었기 때문이다.


<참고: IMDb 사운드트랙 목록>


 


그의 노래가 삽입되어 있는 영화 중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화를 들자면, “파이트 클럽” “12 몽키즈” “슈렉 2” 등이 있다.


 


 



영화 “파이트 클럽” 삽입곡, “Goin’ Out West”

 



 


 





영화 “슈렉 2” 삽입곡, “Little Drop Of Poison”

 


 


그리고 그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화에 종종 출연하기도 하였다.


1984년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의 코튼 클럽”,


1986년 짐 자무쉬의 “다운 바이 로”,


1992년 역시 코폴라 감독의 “드라큘라”,


1993년 로버트 알트만의 “숏컷”,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2010년 영화 “일라이”에 출연한 나름 중견연기자이다.


 


가수로서의 그의 경력을 보자면,


1973년 데뷔앨범 “Closing Time”을 시작으로 최근작인 “Bad As Me” (2011)까지 19개의 정규앨범, 3개의 라이브앨범, 2개의 영화사운드트랙 앨범을 발표하였고,


<참고: allmusic.com 디스코그라피>


 


여러 시상식에 후보로 노미네이트 되거나 수상하기도한 매우 성공한 그리고 존경받고 있는 뮤지션 중의 하나이다.


 


 





탐 웨이츠의 곡 “Christmas card from a hooker in Minneapolis”,

Maria Tecce 커버 버전 

 


 


 


사실 그의 음악을 몇 개의 단어로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은 그리 쉬운 건 아닌데,


칙칙하고 우울하고 울컥하고 냉소적이고 빈정대고 사회현상에 대해 정곡을 찌르는 그의 음악은 우리가 기꺼이 마음으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그런데 그보다 더 우리에게 그의 음악을 낯설어지게 하는 것은 바로 그의 노랫말 때문일 터이다. 풍자, 은유, 비어, 속어, 직설 등 그의 노랫말은 사실 그걸 그대로 우리말로 옮겨 놓기가 거의 불가할 정도로 미국 정서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아저씨는 자신의 곡이 무단으로 쓰여지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민감한데,


직접 인용 또는 누군가에게 다시 부르게 한 경우까지 저작권 소송 관련 소송을 여러 차례 진행하기도 하여 대부분 승소하였고 합의금은 거의 자선단체에 기부하곤 하였다.


 


 





매니아 층을 형성하기도 했던 미국 드라마 “The Wire” 오프닝 테마,

오리지날은 탐 웨이츠의 노래 Way Down In The Hole”

다시 부른 이들은 The Five Blind Boys of Alabama


 


 


외모로만 보면 제 멋대로 살고 할 말 안 할 말 다하고 다닐 것 같은 이 아저씨,


그런데 은근히 정의감도 있고 제 할 일 착실히 잘 하면서 사는 분이다.


 


이 아저씨 노래 중에 그래도 나름 우리 정서에 슬쩍 걸쳐 볼만한 곡들을 추천하자면,


“Please call me, baby”,


“Tom Traubert’s Blues”,


“Christmas card from a hooker in Minneapolis”,


“The piano has been drinking”,


“Foreign affair” 등이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찾아 들어보시길 권하는 바이다.


 


글을 마무리하면서 탐 웨이츠의 음악으로 가득한 영화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1982년 개봉하였다가 2003년에 다시 리마스터 되었던 영화, “One From The Heart”.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이 영화가 “마음의 저편”이라는 제목으로 국내 개봉하였다고는 하는데 긴가민가하다.


 


어쨌든 탐 웨이츠의 탁성과 크리스탈 게일(Crystal Gayle)의 미성이 너무나 잘 어울리는 노래들로 가득한 영화이니 한 번 쯤 찾아 감상하셔도 좋을 듯 하다.


 


그럼 즐감~ ^^


 


 



“마음의 저편” (One From The Heart) 2003년 판 예고편


 


 


영진공 이규훈


 


 


 


 


 


 


 


 


 


 


 


 


 


 


 


 


 


 


 


 


 


 


 


 


 


 


 


 

[그 영화 그 노래] 엑스파일 시즌 5 에피소드 5

 

 


 


  




 


 


요즘은 미국 드라마를 거의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지만, 예전에는 그저 공중파에서 더빙으로 방영하는 걸 보는 게 다였다.


 


그래도 간간히 대박에 가까운 히트를 기록한 드라마가 나오곤 했는데, 기억을 더듬어 보자면 …


 


“전투” (Combat), “달라스” (Dallas), “초원의 집” (Little House on the Prairie),


“코스비 가족” (The Cosby Show), “아들과 딸들” (Eight Is Enough),


“CSI: 과학수사대” (CSI: Crime Scene Investigation)


 


… 등이 떠오른다.


 


 



드라마 “전투” (Combat)의 오프닝

 


 


 



“코스비 가족” 중에서 …

 


 


흠, 그러고보니 나름 많은 히트작들이 있었구나 싶다.


 


 



개인적으로 정말 재밌게 봤던 미드 “알프” (Alf) … 알프는 고양이를 좋아라!하는데 … 

 


 


이렇듯 예전에도 국내에서 인기를 끌었던 미국 드라마가 꽤나 있었는데, 그중에 가장 독특한 경우가 바로 “엑스파일” (X-files)이 아닌가 싶다.


 


엑스파일은 쟝르부터가 SF 수사물이라 많은 시청자들이 공감하고 즐길만한 소재도 아니었고, 그 내용도 외계인에 뮤테이션에 음모론에, 여튼 소위 덕후가 즐길만한 요소로 가득했다.


 


그런데도 이 드라마 시리즈는 미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권에서도 크게 히트했고, 1993년 첫 방영 이후 2002년 까지 무려 9 시즌을 이어갔다. 그리고 영화로 두 편이 제작되기도 했다. 


 


 


 




언제 누가 들어도 익히 아는 바로 그 “엑스파일” 테마음악

 


 


“엑스파일”은 지금까지도 어쩌면 우리 문화의 필요요소 중 하나로 기능하기도 하는데,


그 테마음악은 뭐 좀 미스테리한 효과를 내고 싶다거나 할 때 거의 무조건 쓰이며,


어떤 이슈가 뭔가 폭로성이 있다 싶으면 죄다 “엑스파일”이라 부르곤 한다.


 


그리고 등장인물 “멀더 요원”과 “스컬리 요원”은 고유명사처럼 쓰이고 있고,


“진실은 저 너머에” (The Truth Is Out There) 라는 표현은 상용구화 되었으며,


이들을 더빙했던 이규화 씨와 서혜정 씨의 목소리는 여전히 TV에서 그 역할 톤 그대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자면 “롤러 코스터”의 “남녀탐구생활” 등)


 


개인적으로 “엑스파일”의 모든 에피소드를 좋아라 했지만, 그 중 독특한 재미를 선사해준 건 5시즌의 에피소드 5 이다. (참고: “The Post-Modern Prometheus“)


 


왜 그런고하니, 이 에피소드는 기존의 “엑스파일”과는 좀 벗어난, 그러니까 좀 쉬어가는 에피소드이어서 가볍게 즐길 수 있었고 코믹한 터치에 … 셰어(Cher)의 노래로 가득차 있어서이다. 


 


 


 



 


 


 


위의 동영상은 인터넷 검색 중 우연히 발견한 것인데, 매우 친절하게도 엔딩 신의 Cher 노래가 우리말로 번역까지 돼있다.


 


만드신 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올리는 바이다.


 


그런데 여기에 나오는 노래 “Walking In Memphis”는 원래 Mark Cohn이 1991년에 발표하여 그래미 신인상까지 수상하게 해 준 노래이다.


 


이 노래를 Cher가 리메이크한 건 1995년이고 큰 히트를 하지는 못했지만 이후 “엑스파일”에 삽입되면서 많은 이들에게 알려진 그런 노래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Cher의 뮤직비디오 중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를 무척 좋아하는데, 한 번 보시면 왜 그런지 이해가 갈 정도로 Cher의 매력이 듬뿍 묻어 나온다.


 


 


 



 


 


 


1946년 생인 Cher는 가수로서 대성공을 거뒀을 뿐만 아니라 1985년에 칸느에서, 1988년에 아카데미에서 여우 주연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성공한 배우이기도 하다.


 


사실 Cher는 그래미, 아카데미, 에미, 골든그로브, 칸느 등 내노라하는 주요 문화 수상식에서 다 수상을 한 바 있는 유례를 찾기 힘든 엔터테이너이며 데뷔후 최근까지 줄곧 빌보드 넘버 1 싱글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녀가 열연한 영화 중에는 명작으로 불리는 작품이 여럿 있는데,


“실크우드” (Silkwood), “마스크” (Mask), “이스트윅의 마녀들” (The Witches of Eastwick), “문스트럭” (Moonstruck), “귀여운 바람둥이” (Mermaids), “티 위드 무쏠리니” (Tea with Mussolini) 등이 그것이다.


 


관심이 있는 분들은 하나씩 찾아서 감상해 보시길 권하는 바이다.


 


이 글을 마무리하면서 그녀의 영화 중 하나와 관련된 뮤직비디오를 소개하고자 하는데, “귀여운 바람둥이” 원제로 인어들이라는 영화에 나오는 The Shoop Shoop Song이다.


 


이 영화에는 어린 시절 위노나 라이더와 크리스티나 리치가 함께 공연하고 있고 뮤비에는 그녀들의 싱그럽고 사랑스러운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럼 즐감~ ^^



 



영진공 이규훈


 


 


 


 


 


 


 


 


 


 


 


 


 


 


 


 


 


 


 


 


 


 


 


 



 

빅 데이터는 빅 브라더가 될 것인가?

 

 


 


 


“Who controls the past controls the future.


Who controls the present controls the past.”


(과거를 지배하는 이가 미래를 결정하며,


현재를 지배하는 이가 과거를 결정한다.)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84


 


 








 


 


 


1949년에 나온 조지 오웰의 소설 “1984”.


굳이 다른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될 이 책에는 우리가 너무도 잘 아는 말이 나온다.


그건 바로 “Big Brother”.


 


사회의 모든 활동과 개인의 일상 모든 것이 다 통제되고 지배되는 그런 사회,


그걸 조정하는 한 사람, Big Brother 말이다.


 


한때 요란하게 떠들어지던 이 단어가 요즘은 거의 사용되지 않긴 하지만,


이 이미지가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빅 데이터와 흡사하다고 느껴지는 건 나만의 지나친 상상일까.


 


 


 


빅 브라더는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소설 “1984”는 1956년과 1984년에 영화화 된 적이 있다.


 


 


 






 


 


 


소설과 영화에서는 강압과 폭력 그리고 인간성의 왜곡을 통한 통제체제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깨어있는 인간들,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인간들이 협력하고 저항하면 이러한 체제는 충분히 극복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사실 역사상 존재해왔던 그리고 계속 새로 생겨나는 전체주의들은 바로 그런 희망에 기반한 노력에 의해 대부분 소멸되었다.


 


1998년 개봉 영화, “에너미 오브 더 스테이트 (Enemy Of The State)”.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코자 노력하지는 않는 오락영화이지만, 이 영화는 참으로 구체적이고 실감나게 통제의 공포를 느끼게 해 준다.


 


 


 





 


 


 


이 영화에서 통제는 첨단 기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를 행하는 이는 최고 권력층 내의  심각하게 비뚤어진 인사이다.


 


인공위성과 통신기기 그리고 CCTV를 통해 가해지는 통제의 압박은 무척 공포스럽고 끔직하여서, 그 기술과 권력은 반드시 선한 권력층과 건전한 체제 하에서 관리되어야 한다고 절실히 느껴진다.


 


그리고 사실 이 영화를 보면서 마음 한 구석에는 … “에이, 정말 저게 가능하기나 하겠어?”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었고.


 


그런데 빅 데이터라?


 



이건 말하자면 현존하는 모든 데이터를 파악하고 관계지워서,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 또는 더 나아가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어내고자 하는 행위의 총칭이라고 생각한다.


 



게다가 빅 데이터는 누군가의 강압이나 외적인 요소에 의해 강제되는 게 아니라,


내 스스로 제공한 그리고 나도 모르는 사이에 쌓여진 정보에 기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2011년에 방영을 시작한 미국 드라마 “Person of Interest”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잘 그려져 있다.


 


이 드라마는 9. 11. 테러 이후 미국 정부가 유사한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거대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스템을 운영하는 정부가 평범한 사람들에게 벌어지는 범죄는 무시하기에, 이를 못 견딘 제작자가 직접 행동에 나선다는 것이다.


 


이 드라마에서 통제와 관리를 위해 동원하는 주요 도구는 “Digital Footprint”, 즉 온라인 행적이다.


 


온라인 흔적과 통신 내역, 공적 기록에다가 인공위성과 CCTV를 통원하여 한 개인의 행동과 그 행동의 영향을 또 다른 개인들과 연결시켜 분석하면 그 개인에게 어떤 일이 언제 벌어질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게 가능할까 긴가민가 하면서 그냥 시청하곤 했는데,


빅 데이터라는 개념과 묶어 보니 … 어?! 이거 가능할 수 있겠다 싶어진다.


 


 


 


 




 


 


 


일상의 시시콜콜한 대부분을 SNS에 기록하고, 포탈과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취득과 의견 피력을 수시로 하며, 인터넷 쇼핑 등으로 대부분의 생활용품을 구매하고 거의 모든 결제를 신용카드로 하는 나는 점점 더 깊고 상세히 데이터의 형태로 규정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누군가 마음만 먹으면, 특정 개인이 예전에 어떤 단체나 동아리에서 활동하며 어떤 의견을 내고 누구와 어울렸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어느 계절에 주로 어떤 물건을 사고 전화통화는 어느 시간에 누구와 하는지, 여가는 어떻게 즐기는지, 정치적 성향은 어떤지, 뭘 잘 먹는지, 잠은 언제 자는지 등등 … 모든 걸 순식간에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의외로 사람은 단순해서 이전에 형성했던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니,


Digital Footprint에 의해 어딘가에는 기록된 나의 과거를 보고 현재를 모니터링하여 나의 미래를 높은 신뢰도로 예측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제는 온라인 흔적을 찾아 지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니 어느 순간에 힘을 가진 누군가에 의해 빅 데이터가 빅 브라더로 변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 그리 지나친 걱정이 아닐지도 모른다.


 


물론 그런 일이 일어나기 매우 힘들게 사회적 안전장치를 만들면 될 것이다. 그런데 그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닐테고, 주어진 정보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안다면 이를 탐내지 않을 권력자가 그리 흔하겠는가.


 


 


 






 


 


 


이번 보스턴 폭발(또는 테러)의 경우를 보아도,


<보스턴 사고의 사상자와 가족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언젠가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는 나도 모르게 빅 브라더의 존재에 진심으로 감사하게 될 것인지,


아니면 빅 브라더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강렬히 저항하게 될지 곰곰 생각해보게 된다.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