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영화 그 노래] 탐 웨이츠(Tom Waits)를 아시나요?

 

 


 


 


탐 웨이츠(Tom Waits),


최후의 비트족이라 불리우는 1949년 생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이 가수의 이름을 들어본 이는 그리 많지 않을테지만, 그의 노래를 어떤 식으로든 들어본 사람은 의외로 많을 듯 하다. 왜냐하면 이 아저씨의 노래는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수 없이 많은 TV 프로그램과 영화에 삽입되었기 때문이다.


<참고: IMDb 사운드트랙 목록>


 


그의 노래가 삽입되어 있는 영화 중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화를 들자면, “파이트 클럽” “12 몽키즈” “슈렉 2” 등이 있다.


 


 



영화 “파이트 클럽” 삽입곡, “Goin’ Out West”

 



 


 





영화 “슈렉 2” 삽입곡, “Little Drop Of Poison”

 


 


그리고 그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영화에 종종 출연하기도 하였다.


1984년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의 코튼 클럽”,


1986년 짐 자무쉬의 “다운 바이 로”,


1992년 역시 코폴라 감독의 “드라큘라”,


1993년 로버트 알트만의 “숏컷”,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2010년 영화 “일라이”에 출연한 나름 중견연기자이다.


 


가수로서의 그의 경력을 보자면,


1973년 데뷔앨범 “Closing Time”을 시작으로 최근작인 “Bad As Me” (2011)까지 19개의 정규앨범, 3개의 라이브앨범, 2개의 영화사운드트랙 앨범을 발표하였고,


<참고: allmusic.com 디스코그라피>


 


여러 시상식에 후보로 노미네이트 되거나 수상하기도한 매우 성공한 그리고 존경받고 있는 뮤지션 중의 하나이다.


 


 





탐 웨이츠의 곡 “Christmas card from a hooker in Minneapolis”,

Maria Tecce 커버 버전 

 


 


 


사실 그의 음악을 몇 개의 단어로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은 그리 쉬운 건 아닌데,


칙칙하고 우울하고 울컥하고 냉소적이고 빈정대고 사회현상에 대해 정곡을 찌르는 그의 음악은 우리가 기꺼이 마음으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그런데 그보다 더 우리에게 그의 음악을 낯설어지게 하는 것은 바로 그의 노랫말 때문일 터이다. 풍자, 은유, 비어, 속어, 직설 등 그의 노랫말은 사실 그걸 그대로 우리말로 옮겨 놓기가 거의 불가할 정도로 미국 정서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아저씨는 자신의 곡이 무단으로 쓰여지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민감한데,


직접 인용 또는 누군가에게 다시 부르게 한 경우까지 저작권 소송 관련 소송을 여러 차례 진행하기도 하여 대부분 승소하였고 합의금은 거의 자선단체에 기부하곤 하였다.


 


 





매니아 층을 형성하기도 했던 미국 드라마 “The Wire” 오프닝 테마,

오리지날은 탐 웨이츠의 노래 Way Down In The Hole”

다시 부른 이들은 The Five Blind Boys of Alabama


 


 


외모로만 보면 제 멋대로 살고 할 말 안 할 말 다하고 다닐 것 같은 이 아저씨,


그런데 은근히 정의감도 있고 제 할 일 착실히 잘 하면서 사는 분이다.


 


이 아저씨 노래 중에 그래도 나름 우리 정서에 슬쩍 걸쳐 볼만한 곡들을 추천하자면,


“Please call me, baby”,


“Tom Traubert’s Blues”,


“Christmas card from a hooker in Minneapolis”,


“The piano has been drinking”,


“Foreign affair” 등이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찾아 들어보시길 권하는 바이다.


 


글을 마무리하면서 탐 웨이츠의 음악으로 가득한 영화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1982년 개봉하였다가 2003년에 다시 리마스터 되었던 영화, “One From The Heart”.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이 영화가 “마음의 저편”이라는 제목으로 국내 개봉하였다고는 하는데 긴가민가하다.


 


어쨌든 탐 웨이츠의 탁성과 크리스탈 게일(Crystal Gayle)의 미성이 너무나 잘 어울리는 노래들로 가득한 영화이니 한 번 쯤 찾아 감상하셔도 좋을 듯 하다.


 


그럼 즐감~ ^^


 


 



“마음의 저편” (One From The Heart) 2003년 판 예고편


 


 


영진공 이규훈


 


 


 


 


 


 


 


 


 


 


 


 


 


 


 


 


 


 


 


 


 


 


 


 


 


 


 


 

“에일리언”, 소통할 수 없는 존재에 대한 두려움






내 주변에 조류를 무서워하는 사람이 몇 명 있다.

어떤 사람은 어릴 적에 집에서 닭 잡던 기억, 그 중에서도 목이 반쯤 잘린 닭이 뛰어다니던 모습에 대한 기억 때문에 새를 무서워하게 되었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히치콕의 영화 ‘새’를 본 이후로 새 한 마리는 무섭지 않은데 떼로 나오면 무서워진다고 한다.

하지만 조류공포증에 대한 가장 인상적인 설명은 비둘기를 무서워하는 한 친구의 이야기였다. 비둘기를 무서워하는 그녀는 비둘기의 눈을 들여다보았을 때의 경험을 이야기했다. 그때 그녀가 비둘기의 눈동자를 보며 “비둘기에게는 정말 아무런 생각이 없다” 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갑자기 비둘기가 무서워졌다는 것이다 ……



사실 이건 말이 되지 않는다. 아무런 생각이 없다고 해서 두려워할 필요가 있을까? 만약 그게 두려움의 이유라면 그녀는 진짜 아무런 생각이 없는 존재인 자동차나 컴퓨터를 더 두려워해야 하지 않을까?

“아무런 생각이 없다.” 는 말은 실제로 생각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비둘기라고 왜 생각을 하지 않겠는가. 심리학자들은 ‘생각이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뇌의 활동’ 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날고 걸어다니고 모이를 주워먹고 하는 비둘기의 행동은 결국 그 새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다.

그렇다면 아무런 생각이 없다는 느낌은 왜 생기는 걸까? 그건 새의 사고방식이 우리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진화론적으로 보면 당연하다. 새는 파충류에서 진화한 존재고, 우리는 포유류의 자손이다. 새의 조상은 공룡이나 뱀이고 우리의 조상은 원숭이인 것이다. 영화 『쥬라기 공원』에 등장하는 영악한 괴물 벨로시랩터와 새는 동족이다. 실제로 벨로시랩터의 동작을 표현하기 위해서 CG 애니매이터들은 타조나 독수리 같은 조류의 행동방식을 주로 참고했다.

상대방이 정말 아무 생각이 없다고 느낄 때가 있다. 그건 그가 실제로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게 아니다. 그보다는 그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도저히 알 수 없을 때를 말한다. 상대의 속을 알 수 없는 이유는 그와 나의 사고방식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고, 이렇게 자기와 본질적으로 다른 존재에 대해서 인간은 호기심보다는 두려움을 느끼게 되어있다. 앞서 얘기한 새에 대한 두려움의 근원도 결국 그 종족이 우리와 전혀 다르다는 느낌이다.

영화 『에일리언』에서 그 에일리언들이 겁나게 무서운 이유도 바로 그것이다.
에일리언이 무서운 이유는 그놈들의 힘이 무지막지하게 세기 때문만도 아니고, 그놈들의 피가 황산이기 때문만도 아니며, 입이 이중 삼중이어서도 아니다. 그놈들이 진짜 무서운 이유는 그들이 우리와는 전혀 다른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생긴 것부터 우리와 전혀 다르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그것은 그놈들에게는 악의가 없다는 점이다.



에일리언은 애초부터 알에서 깨어나자마자 숙주를 찾아 기어 들어가게 되어 있고, 변태를 마치고는 숙주를 죽이고 튀어나오게 되어 있고, 튀어나온 다음에는 주변에 보이는 모든 생명체를 잡아죽이게 되어있다. 그들은 특별히 악의가 있어서 사람을 죽이는 게 아니다. 그냥 살육이 원래 그들의 삶의 방식일 뿐이다. 유전적으로 그렇게 정해져 있는 거다. 고로 그들과 우리는 정말 아무런 소통의 여지가 없다. 우리의 행동에 따라서 그들의 행동이 바뀐다면 뭔가 대화나 관계 개선의 여지가 있겠지만, 그런 건 전혀 없다. 고로 남은 건 죽느냐 죽이느냐의 문제뿐이다.



『프레데터』도 그렇지 않느냐고? 프레데터도 에일리언과 같은 외계인이고, 인간을 사냥감으로 여긴다는 점은 비슷하다. 하지만 사냥감 중에서도 꽤 괜찮은 실력을 가진 대상은 나름대로 존중해주며 사냥한다. 그리고 무기가 없는 사람이나 여자는 건드리지 않는다. 그들은 문명도 있고 나름대로 규범도 있고 도덕도 있는, 우리와 비슷한 존재이다. 사실 프레데터는 인간에 대한 은유라고 보면 된다.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무지막지한 프레데터, 즉 지구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하는 포식자는 바로 인간이니까 말이다.

『13일의 금요일』시리즈의 제이슨은? 그놈도 앞뒤 가리지 않는 살인마이긴 하다만, 제이슨이 그렇게 된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일단 그놈은 인간 아닌가.

『나이트메어』 시리즈의 프레디 크루거는? 그놈은 우리의 꿈속에 존재하며, 우리의 생각을 가지고 노는 존재다. 따라서 프레디가 무서운 이유는 에일리언이 무서운 이유와는 정 반대이다. 그가 우리와 전혀 다르기 때문에 무서운 게 아니라, 우리를 너무 잘 알기 때문에 무서운 것이다.

드라큘라들은? 사실 이들은 우리보다 한 수준 높은 존재, 즉 일종의 초월자라는 점에서 다른 괴물들과는 다르다. 드라큘라는 악마의 다른 모습인데, 악마는 땅에 저주 받은 천사이고 천사는 인간보다 우월한 존재이다.

어떨 때는 인간보다 더 인간답고, 인간에 대해서 훤히 꿰고 있다는 점에서 프레디와 비슷한 이유로 두려운 존재이다. 하지만 블레이드에서처럼 꽤 멋있는 존재가 되기도 한다. 불멸 불사의 몸으로 모든 인간의 문명을 경험해왔으니 그 어떤 인간보다도 지적이고 고상할수도 있는 거다.



http://www.fred-katrin.de
에일리언 디자인의 원형을 제시한 H.R.Gigger의 갤러리.
거기에서 가져온 이미지 두 개
 

같은 인간이라도 그와 말이 통하지 않는다고 느낄때, 소통을 통해 상대를 변화시킬 수 없다고 느낄때, 우리는 그를 에일리언처럼 대하게 된다. 히틀러 치하의 나치가 유태인들에게 저지른 행태도 결국 그런 신념(유태인은 악함을 타고난 존재이고 따라서 이에 대한 최종적 해결은 말살밖에 없다는)의 결과이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이런 종류의 적대감과 분노가 점점 더 커지고 있는게 아닐까.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