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 vs “셔터 아일랜드”, 진실을 대하는 두 가지 방법

천안함 전사자들의 명복을 빕니다.


차마 감당하기 어려운 진실을 마주할 때가 있다.
그 진실이 놀랍거나 거대하거나 처참하기 때문이 아니라,
바로 내가 당연하게 여기고 의지하던 사실을 부정하기 때문이다.

<식스센스>의 주인공이 직면했던 진실이 바로 그런 것이었다.
스스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기에 현실을 왜곡해왔던,
자신의 모습이 그 진실 속에 담겨있었다.


걔네들은 지가 보고 싶은 것만 봐요

내가 그리 잘못 알았던 것이 누군가에게 속은 탓이라면,
나를 속인 그를 비난하면 된다.

하지만 내가 적극적으로 그 거짓말을 받아들여왔다면,
그래서 내 삶을 지금까지 그 거짓말에 기초해서 쌓아올렸다면,
그 진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내 존재 자체를 뭉개야 한다.

결국 진실이냐 내 존재냐의 갈림길에 서는 것이다.

<셔터 아일랜드>와 <마더>,
전자는 2차 대전과 매카시즘을 배경삼은 미국 영화고,
후자는 피끓는 모정을 소재로 한 우리나라 영화다.
하지만 두 영화는 여러 가지로 비슷한 면이 있다.

일단 두 영화의 주인공은 필사적으로 진실을 찾는다.
왜냐하면 자신에게 주어진 끔찍한 현실에서 벗어날 유일한 탈출구가,
바로 그 진실에 숨겨져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이 도달한 진실은 탈출구가 아니었다.
오히려 더 끔찍한 절망과 죄책감의 구렁텅이로 들어가는 입구였을 뿐이다.


진실을 찾아내겠어!! 정의를 구현하겠어!!!


이게 진실이라니…


 

 



우리 애 그런 애 아니거등? 내가 진실을 찾아내 보여주게써!!!


아, 이게 진실이라니 … -_-

거기서 두 주인공은 진실이냐 아니면 내 존재냐의 갈림길에 마주친다.
그리고 완전히 다른 선택을 한다.

<셔터 아일랜드>의 테디는 ‘괴물로 살기보다는 결백하게 죽기’를 선택한다.
영원히 죄책감에 시달리느니 차라리 인간으로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능력 자체를 지우기로 한다.
죄책감이 자신을 먹어치우기 전에 스스로 자신을 지우기로 한 것이다.


그래, 이게 차라리 낫지 …

하지만 <마더>의 엄마는 다른 선택을 한다.
그녀는 자신과 자식을 위해서 진실을 지우기로 한다.
망각의 침 한 뜸과 묻지마 관광버스의 음률에 모든 것을 흘려보내기로 한다.

비록 자신의 내면은 죄책감으로 조금씩 썩어가겠지만,
겉보기의 삶은 평온할 것이며 모두가 만족할 것이라고 스스로 안위하며 …
이는 ‘결백하게 죽기보다는 괴물로 살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하지 …


침맞고 묻지마 관광 가자!!!

<마더>의 결말을 보던 당시에는 그저 그녀가 안쓰러웠다.
과연 그녀의 삶이 그 소망대로 이루어질까.
그의 삶이 과연 평온할까. 아들은 그녀를 이제 어떻게 대할까?
그녀는 예전처럼 자신있게 아들을 변호할 수 있을까?
시간이 흐른 뒤, 그녀의 삶에 진실이라곤 뭐가 남아있을까?
괴물로 산다는 것은 이미 삶을 포기한 것이 아닐까?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그건 다 부질없는 걱정이었고,
그저 복에 겨운 한때의 주제넘은 참견이었다.

봉준호는 알고 있었던 거다.
이 나라가 바로 그런 수많은 마더들의 나라라는 것을.
괴물도 한 둘 일 때야 이상하지만 허구헌날 괴물들만 출몰하는 곳에선,
오히려 그렇게 사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것을.

테디, 너는 셔터 아일랜드에서 치료받을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좀 살아봐야 했다.
그랬더라면 “괴물로 오래 사느니 순수하게 죽을래” 따위의 헛소리는 애저녁에 치워버리고 똘망똘망 괴물로 천수를 누리며 잘 살다가 죽었을 거다.


테디, 너 그 딴 마음가짐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일년도 못버틸거야 …


서해에서 또 수많은 젊음이 스러졌는데
온갖 ‘라면’ 을 팔고 주접을 떨어대며
진실을 눈물, 아니 콧물로 덮으려는 누군가의 면상에서
괴물로 살기의 한 경지에 이른 초고수 괴물의 악취를 느끼며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