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트 플랜”, 여주인공은 지형지물에 익숙해야 한다.

  



이 영화는 마치 “조디 포스터”의 오랜 팬이 ‘마침내’ 영화판에 뛰어들고 ‘뜻하지 않게’ 초짜가 큰 프로젝트를 맡으면서 주연으로 “조디 포스터”를 기용하게 된 뒤, 이게 꿈이냐 생시냐 볼을 스스로 꼬집으며 기뻐 날뛰는 마음으로 찍은 팬픽 같다.


철학도 출신으로 무려 컬럼비아 대학과 AFI 같은 영화 명문가에서 영화를 배운 사람이 그토록 인물 클로즈업으로만 일관한 이유는 아무래도 그거이지 않을까. 그 맘 이해못할 바 아니기에, 그리고 정말 아름답게 나이먹은 “조디 포스터” 모습을 실컷 보았기에 대강 수긍하고 만다.

영화의 전반부는 감쪽같이 사람 하나 바보되는 과정이고, 후반부는 악당과의 대결. 관객들에게 좀더 혼란을 주었으면 했지만, 이 영화의 감독은 “조디 포스터”라는 배우가 주는 강인한 이미지의 위험을 잘 알고 있었던 것같다. 개인적으로 『패닉 룸』에서 “조디 포스터”가 미스캐스팅이라고 생각한 건 그 배우가 주는 믿음직한 강인함의 이미지 때문에 영화 내내 긴장도가 떨어졌던 탓이다. (뭔 일이 벌어지든 어쨌건 그녀는 악당을 물리치고 딸도 구할 것이니까. 원래 캐스팅대로 “니콜 키드먼”이 연기했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폐쇄공간에서 점차 히스테릭한 두려움을 드러내는 여주인공 캐릭터가 훨씬 더 잘 살았을 거라 생각한다.)


이 영화는 바로 그 점 때문에, 서투른 모험을 감행하지 않는 안전한 길을 택한다. 영화 내내 보는 사람들은 “조디 포스터”가 정신 착란을 일으켰을 가능성은 별로 마음에 두지 않은 채 도대체 범인이 누구고 무슨 짓을 했길래 저토록 완벽햐게 사람을 바보를 만들고 있나, 궁금하게 된다. 마침내 범인이 밝혀지고 난 뒤 “조디 포스터”와 악당의 대결 시간은 의외로 짧다. 악당은 맥없이 “조디 포스터”에게 당하고 만다. 
 



 


 


“나이트 플라이트”와 “플라이트 플랜”은 영화 러닝타임의 상당부분이 비행기 안에서 흘러간다는 점 외에도, 악당 캐릭터가 다소 약하다는 점에서 닮아있다. 이는 시나리오상의 문제라기보다는 현재의 여성의 지위 향상이라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 듯싶다.


이제 우리는 여주인공에게도 – 완력은 약할지 모르나 – 지혜와 재치로 위기를 모면하고 나아가 다른 이를 구하고 사건을 해결하는 자립적 주인공을 기대한다. 이런 여주인공을 설정하려면 당연히 악당은 완력이 아니라 머리로 범행을 벌이는 사람이어야 하고, 총을 함부로 들이대서도 안 된다.


하긴, 함부로 완력을 들이대는 악당들이 넘쳐나는 시대란 아직 덜 문명화된 시대이다. 돈 때문에 범행을 계획해도 사람을 죽이는 건 별로 원하지 않은 악당의 일반화란, 사회 분위기 전체가 점차 소.위. 문명화되는 대신 아무나 범죄자가 될 수 있는 – 그래서 아무도 믿을 수 없는, 매력적이고 자상한 남자일수록 더욱 의심할 수밖에 없는 – 현상을 반영하는 건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이후 스릴러 장르 영화의 숙제란, 이러한 범인을 상대로 어떻게 다른 종류의 긴박감을 만들어내고 그걸 관객들에게 어떻게 설득시키며 새로운 장르 컨벤션을 만들어낼 것인가가 될 듯.


이에 대한 해법 중 두 영화에서 제시해주는 하나는 이것이다.


스릴러 영화의 여주인공들은 앞으로 주변의 자잘한 소품 응용 기술과 재능을 더욱 길러야 할 것! (소화기 사용 예와 “나이트 플라이트”의 집안 가재도구의 다양한 이용 등).


그 두 경우의 공통점을 도출해 보면, 본격적인 대결은 여주인공이 매우 잘 알고있는 공간 내에서 일어나야 한다.


영진공 노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