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디 히트” (1981), 로렌스 캐스단의 감독 데뷔작


참 의아하다. 그러니까 도대체 무슨 연유로, 어떤 영화 때문에 졸지에 “로렌스 캐스단”이 “로맨틱 코미디의 귀재” 로 한때 불렸던 것일까? 『프렌치 키스』 때 그런 문구를 동원해 홍보를 했던 것 같은데, 『우연한 방문객』 때문인가? 아니면 『죽도록 사랑해』? 아니 어쩌면 내 기억이 잘못된 것일까?

캐스단 하면 언제나 『보디 히트』가 가장 먼저 언급되곤 한다. 새끈한 시절의 “윌리엄 허트”와 역시 새끈한 시절의 “캐슬린 터너”가 치정극의 주인공들로 나온다. IMDB를 찾아봤는데 이 영화가 데뷔작이란다. 이런, 결코 데뷔작같지 않은 데뷔작이다. 이렇게 능글능글할 데가 있나.

영화는 ‘치정극’, 그리고 ‘팜므파탈’이라는 단 두 단어로 설명이 충분할 만큼 예상 가능한 방향으로 흘러가지만, 이 예상 가능한 것의 과정 하나하나를 흥미롭게 엮어가고 있다. 정말로 그녀는 그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한 것일까? 정말로 그녀는 그를 죽이려 했단 말인가? 정말로 그녀는 그를 이용한 것인가? 혹은, 정말로 그녀는 그를 사랑했을까? 어쩌면 모든 답을 다 알면서도, 영화를 보면서 우리는 의심을 하게 된다.

역시나, “잔느 모로”나 “페이 더너웨이”처럼 서늘한 미녀과에 속하는 “캐슬린 터너”가 서늘한 매력을 발산한다. 마르고 팽팽한 피부의 “윌리엄 허트”는 매우 섹시하다. 영화를 보면서, 의도적으로 접근한 남자를 정말로 사랑해 버렸고 게다가 알고보니 팜므파탈이 아니라 가련한 희생자였던데다 비참한 죽음을 맞는 『차이나타운』의 “페이 더너웨이” 꼴이 나지 않기를 바랐다. 다행히 그녀는 그를 철저하게 이용하고 속이고 심지어는 자신의 죽음까지 위장해 더이상 추적과 의심을 받을 필요 없이 이국적인 곳에서 삶을 즐기고 있다.

고전 누아르에서 팜므파탈은 언제나 주인공 남자에게 파멸을 맞곤 했다. 나는 이 영화가, 결국 그녀의 승리로 끝나는 것이 마음에 든다. 물론 ‘승리’라고만 할 수는 없는 게, 그녀는 그를 죽일 생각을 하면서도 마음 한 편으로는 믿고싶었을 것이다. 그의 사랑을, 그의 진심을. 대체로 똑똑한 팜므파탈이 나오는 영화에서, 마지막까지 의심하지 않고 모든 걸 다 바치고, 그녀를 위해 기꺼이, 자기가 앞서 배신당해주는 남자주인공들이 마침내 여주인공에게 구원을 얻는다.

그러나 평범하고 일반적인 사람이라면, 간이라도 빼줄 듯 굴다가도 자기가 손해보는 것같으면 의심을 시작한다. 그러게 진짜 사랑은 바보들만 하는 것이다. 혹은 진짜 사랑할 때 바보가 된다.

숨막히는 밤, 숨막히는 유혹

대체로 이런 식의 스릴러는 인간의 신뢰와 배신에 대해 다룬다. 세상은 너무 순진하게만 살 수는 없다. 그런 경우 멍청함은 불행을 부르고 그는 결국 상대의 사악함 탓을 하게 된다. 하지만 그 엄밀한 계산의 와중에도 사람은, 누군가를 믿고 싶어한다. 그 믿음이 성취될 때, 막대한 돈을 능가하는 행복을 함께 얻는다. 많은 이들이 아름답고 똑똑하며 착하지 않은 그녀들을 욕하면서도 그녀들에게 매혹된다.

하지만 그녀들의 배신은, 말하자면 테스트이다. 그녀들은 사랑의 깊이를 테스트한다. 그의 사랑이 과연 세월에 금방 시들게 될 육체에만 홀려있는지, 아닌지. 손해와 상처를 감수할 자세가 되어있는지. 정말로 그녀들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인지.그 테스트를 통과하는 사람만이 궁극적으로 그녀들에게 구원을 얻는 것이다.

영진공 노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