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을 먹다말고 희경씨를 잠시 생각하다


최근 새로운 화상통신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광고하고 있는 모 이동통신사의 CF 중에 여자 친구 어머니의 환심을 사기 위해 그녀의 언니시냐고 물으며 당사자의 지극히 아줌마스러운 웃음소리를 이끌어내는 버전이 있다. TV를 거의 안보는 사정 상 주로 영화 시작 전에 쏟아지는 여러 광고들 틈에서 이 장면을 반복해서 보곤 했는데 정윤철 감독의 영화 <좋지 아니한가>(2007)에서 심씨 집안 어머니 역으로 출연했던 문희경씨가 그 주인공이었다는 것은 한참 뒤에야 알게 되었다. 87년 대학강변가요제에서 ‘그리움을 빗물처럼’이란 곡으로 데뷔한 이후 뮤지컬 무대에서 실력을 인정받다가 실명과 같은 ‘희경’이라는 이름으로 영화에 첫 나들이를 한 그녀는 이동통신 CF에서 무척 실감나는 연기를 보여준다. 다림질을 하다가 무심코 받은 딸내미의 핸드폰에서 젊은 남자로부터 ‘언니’ 소리를 듣고는 남편 와이셔츠를 태워먹으면서도 웃음을 참지 못하는 주책 없는 아줌마상을 보여준다.

얼마 전 집에서 가족들과 식사를 하다가 밥 공기를 유심히 쳐다보게된 일이 있었다. 갑자기 밥 먹는 일이 지겹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는 <좋지 아니한가>에서 밥을 하고 먹는 일이 인생의 전부였다가 어느날 문득 커피의 세계에 빠져드는 희경씨를 생각하게 됐다. <좋지 아니한가>의 흥행 실패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문희경씨가 너무 현실적으로 우울해 보였던 탓도 있으리란 생각을 한다. 한국영화의 주 관객층들이 절대 받아들이고 싶지 않는 미래의 공포가 희경씨와 같은 삶 아니겠는가. <추격자>의 지영민은 그런 놈을 만날까봐 무섭지만 <좋지 아니한가>의 희경은 내 자신이 그런 모습으로 늙어갈까봐 무섭지 아니한가. 어쨌든 그 표정 하나로 이미 모든 것을 설명해주는 희경은 황새 쫓던 잡새 마냥 독서실에 안가고 노래방에서 땡땡이를 치던 여고생 딸내미를 쫓아가다가 다리를 다쳐 갑작스런 병원 신세를 지게 되지만 변변한 병문안 한번 못받아 보던 중에 급기야 일탈을 결심하게 된다. 꽃미남 노래방 총각(이기우)의 접근에 마음이 싱숭생숭해져 모든 것을 내팽개치고 길을 떠나지만 다시 찾아온 듯한 생의 환희는 저 멀리 춤추는 오렌지색 티셔츠와 같은 허상이었던 거다. 미숙이 그 잘난 년은 동생 약혼자까지 뺏어서 잘도 달아나더니만. 결국 집으로 돌아온 희경에게 남겨진 것은 MP3 플레이어 기능까지 탑재된 수 백 만원짜리 최첨단 커피메이커. 여전히 남편 허리띠로 뚜껑을 고정시켜줘야 하는 대따 큰 밥통으로 밥을 지어먹을 지언정 이제사 알게 된 커피향의 의미는 그냥 포기할 수만은 없는 노릇이 된다.

당장 내동댕이 치고 싶은 비루한 일상이란 영화 속에서 흔히 채용되는 생활 공감형 출발점이 되곤 한다.(생활 공감이라는 말이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다면 미래 공포형이라고 하자) 그런데 매일 먹던 밥에서 비린내가 느껴진다면 이 일을 어찌해야 하는가. 내가 성장해온 삶의 터전이고 상황에 따라서는 유일하게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피난처이긴 하지만 더이상 견딜 수가 없을 지경이 된다면 그때는 어찌해야 좋단 말인가. 생각해보면 <좋지 아니한가>는 비교적 너그러운 판타지를 보여준 편이다. 희경씨의 대모험은 처음 뜻했던 바와는 크게 어긋나고 말았지만 결국 일상을 다시 견디고 그런대로 살아갈 만하게 만들어주는 새로운 무언가를 남겨주었으니 말이다. 커피도 매일 마시다보면 어느덧 밥이나 마찬가지가 될 수도 있으니 무엇이 생활이고 무엇이 꽃단장인지는 곰곰히 따지고 명확하게 구분해가며 살아야 할 일이다. 밥 먹는 일 외에도 다른 즐길 만한 거리가 많이 있다는 사실에 감사해 한다면 어느날 문득 찾아드는 밥 비린내도 너끈히 다스릴 수 있을런지 모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왜 우리 희경씨에게는 <문스트럭>(1987)의 로레타(셰어)와 같은
젊은 남자와의 멜러가 허락되지 않는 건가. 희경씨를 그렇게
쓸쓸하게 내동댕이 쳤으니 영화가 쫄딱 망하는 건 당연지사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