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세계 …… 그리고 내러티브



음악과 영화의 차이는 뭘까?
난 무엇보다 내러티브가 있고 없음이 가장 큰 차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음악을 좋아하고 계속 그 세계를 벗어나지 않는 이유는 음악에는 내러티브가 없기 때문이다.


음악에도 코드 진행이 있고 리듬 패턴이 있으며 역시나 기승전결의 구조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청각의 세계다. 느낌의 무엇인 것이다. 그 세계의 구조와 미세한 변화는 숙련된 귀를 가져야 제대로 알 수 있다. 그렇다고 내가 숙련된 귀를 가졌다는 얘기는 아니다. 오히려 나는 음악을 막 들을 수 있는 귀를 가졌기에 음악이 좋고 들으면 행복해진다.







영화를 참 좋아한다. 음악 못지 않게 좋아했다. 한 때는 영상 만드는 데 관심도 많았고, 기웃거리기도 했다. 그러나 가장 큰 좌절점은 글 만큼이나 영상 역시 내러티브가 있고, 그것이 너무나 선명해서 음악처럼 끝없는 상상을 자극하지 못한다는 데 있었다. 그것이 영화의 매력이기도 하지만 ……


그리고 영화는 음악도 글도 미술도 애니매이션도 다 먹어삼키는 괴물이었다. 음악이 절대 가질 수 없는 크기의 깊고 넓은 구덩이이기도 하고. 너무 자유로워서 (더더욱 감당할 수 없을만큼) 옭아오는 세계였다.

맘의 여유가 없다는 핑계로 영화를 참 안봤다.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얘기를 주워 듣는 사람으로 참 창피한 얘기다. 그러나 음악처럼 내 머리 속을 마구마구 자극하는 무엇을 어느 순간부터 찾기 힘들어 영화 앞에서 주저했다.

기타 소리 하나에서 기타줄-픽업-바디-암-스프링-앰프-리턴-이펙터의 매커니즘을 상상할 수도, 담배 연기와 독한 술을 생각할 수도, 무대에 섰을 때 관객의 호응을 떠올리기도, 음악의 인상이 주는 인생의 좌절과 환희를 맛볼 수도, 혹은 지구 밖의 괴상한 꿈나라 속을 걸을 수도 있는, …… 그런 별의 별 생각을 다 떠올릴 수 있는 음악.


 





 


음악을 들으며 나는 답답하고 뾰족한 수 없는 그저 그런 인생 속에서 도저히 그려볼 수 없는 우주를 꿈꿀 수 있었다. 음악은 그랬다.


그러던 어느 연휴, TV 채널 여기저기서 나오는 영화들. 참 오랫만에 영화를 첨부터 끝까지 봤다. 꾸준히 보는 DVD영화 몇 편이 있지만, 그와 다른 느낌으로, 다른 자세로, 정말 영화에 빠져서, 조명이 어떻고, 화면 구성이 어떻고 표정이 어떻고 그런 거 다 잊고, 그냥 영화의 얘기에 빠졌다. (사실 짜증나서 채널을 돌려버린 영화도 몇 편 있다.)

잊고 있었던, 아니 피하고 싶던 내러티브의 세계에서 놀았다. 예전에 갖지 못했던 기분이 온 몸을 적셔왔다. 영화 속 음악이 때론 거슬리기도, 과도하기도, 답답하기도 했지만 꿋꿋이 영화의 얘기에만 빠졌다. 이상하게 보는 영화의 수가 늘어날수록, 그리고 한 편, 한 편 끝날 때마다 더더욱 기분이 좋아졌다.


 



 


아주 오래 전, 하루에 영화 한 편 이상 보지 못하던 옛 기억도 났다. 한 편을 흡수하고 나면, 영화는 커녕 음악도 듣지 못하고 술만 겨우 마실 수 있던 정말 오래 전의 나의 모습 말이다.


물론 기억만 났다. 그 다음 날 저녁에는 방에 들어오자마자 피아노 트리오 음악이, 더블 베이스의 도약하는 연주가 땡겼던 것을 보면 과거의 내가 또 다시 반복되는 것은 분명히 아닌 것 같다. 과거와 달리 내러티브가 전하는 떨림에 짓눌리지 않고 (그저)즐기는 내 모습이 싫지 않다.



만화책을 본다. 영화를 본다. …… 내러티브의 세계.


왠지 그 세계가 다시 맛있어 질 것 같다.


영진공 헤비죠


 


 


 


 


 


 


 


 


 


 


 


 


 


 


 

<원스(Once)>를 통해 다시 확인하는 내러티브의 중요성

뮤지컬 영화, 저로서는 참 적응이 안되는 장르입니다. 등장인물들이 대사를 하다말고 갑자기 노래를 하고 춤을 춥니다. 무대에서 이루어지는 오페라나 뮤지컬 공연이라면 원래 생겨먹은 양식 자체가 그러하니 보는 입장에서도 그냥 그러려니 하면서 지켜볼 수 있겠지만 뮤지컬로 진행되는 영화나 애니메이션은 그야말로 5분마다 자다 깨다를 반복하는 선잠 같습니다. 잘 만들었다는 화제의 뮤지컬 영화들을 보면 대부분 참 잘한다는 생각은 들지만 그 이상의 호감은 갖지 못합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그간에 정말 재미있게 봤던 뮤지컬 영화가 딱 한 편이 있었습니다. 바즈 루어만 감독의 <물랑 루즈>(2001)는 니콜 키드먼과 이완 맥그리거가 노래 자랑만 하다가 끝나는 영화가 아니었습니다. 영화 속에 사용된 좋은 음악들도 호소력 있는 내러티브와 만났을 때 비로소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뮤지컬이든 애니메이션이든, 액션이 중심이건 음악이 중심이건, 영화란 결국 내러티브를 통해 승부가 갈린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뮤지컬 영화’의 새로운 개념을 정립했다고 평가받고 있는 <원스>(Once, 2006)는 그러나 주인공들이 노래로 대화를 대신하는 영화는 아닙니다. 주인공이 노래하는 사람이고 남녀가 노래로 만나 교감하며 생기를 얻습니다. 그리고 노래를 통해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갑니다. 등장 인물들이 시종일관 라이브로 노래를 해대니 그저 음악을 참 많이 들을 수 있는 ‘음악 영화’라는 정도로만 해두면 괜한 오해는 피할 수 있겠습니다.

<원스>가 기존의 ‘음악 영화’들을 뛰어넘은 이유는 소박하지만 관객들의 가슴을 울리는 잔잔한 드라마가 있기 때문입니다. 영화 속에 사용된 음악 자체는 취향에 따라, 그리고 곡에 따라 좋을 수도 있고 별로일 수도 있습니다. 남자 주인공을 연기한 글렌 핸사드가 약간 질러대는 스타일이다 보니 좀 더 잔잔한 아이리쉬 포크 음악을 기대했다면 오히려 실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원스>는 음악만 있는 영화도 아니고 음악을 핑계로 인생 드라마를 펼치는 영화도 아닙니다.

어쩌면 적은 예산을 가지고 한장의 음악 앨범을 널리 들려주고 보여주기 위해 만든 영화가 <원스>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영화의 내러티브에 호소력이 없었다면 <원스>는 정말 음악을 위해 찍은 필름일 뿐이지 한 편의 영화 자체로서 인정받기는 어려웠을 거라는 생각입니다. 전업 배우 뺨치는 등장인물들의 자연스러운 연기와 이들의 라이브 음악, 그리고 요구하기 보다 서로의 마음을 간직하기로 하는 아름다운 결말은 올해 최고의 ‘가을날의 동화’를 탄생시킨 원동력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