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라이트 역사교과서, 성폭행은 있었으나 결과는 긍정적이라고?

 


 

 


 


 


“강제병합 후 일제에 의한 근대제도의 이식과 우리 민족의 수용을 역사교육과정에 명시할 것을 요구 … 일제가 한국 근대화가 끼친 긍정적 역할도 인정하자고 주장”하는 한국현대사학회가 집필한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교학사)가 검정심의 본심사를 통과했다고 한다. [기사 원문 링크]


 


그러니까 이들의 주장을 나름대로 해석하자면 … 성폭행을 당해 그 결과로 아이를 출산한 여성에게 ‘네 꼴로는 원체 좋은 남자 만나서 결혼할 수가 없었는데 그나마 그렇게 해서라도 아이를 얻었으니 다행’ 이라는 것이고, ‘그 사내가 너를 강간한 건 사실이지만 그렇게 얻어진 아이가 건강하고 귀여운 것도 사실’이라며 어거지를 부리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강간을 당했어도 결국 괜찮은 유전자가 섞인 아이를 얻었으니 형식은 부정적이지만 강간한 행위는 긍정적이거나 불가피했던 것이라는 요상한 소리를 지껄이는 것이다.


 


무슨 이런 일이 있을까.


자신의 의사에 반해 주권, 인권, 자원을 강제로 수탈한 자가 끼친 긍정적 역할을 인정하자는 주장이 그저 음지에서 간혹 보이는 것도 아니라 대놓고 버젓이 우리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과서로 채택이 된다니 말이다.


 


잃어버린 10년을 되돌리겠다더니 … 이제 나라는 반민특위가 강제로 해체되던 1949년으로 되돌아 가는 중이다.


 


 


 



1949년 당시 남대문로에 있던 반민특위 청사.


이후 이 건물은 국민은행 건물로 사용돼 왔다 [사진 출저: 블로그 보림재]


 


 


 


기독교에는 인간이라면 저지르지 말아야 할 죄악에 대한 가르침이 있다. 이를 ‘일곱가지 대죄’ 또는 ‘죽음에 이르는 일곱가지 죄’라 일컬으며 항상 이를 경계하여야 하고, 그러지 못할 시에는 지옥에 떨어지게 된다고 한다.


 


이 일곱가지 대죄의 리스트는 역사 속에서 조금씩 수정되어 오다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정해져 내려오는데,


 


1. 교만(Pride), 2. 질투(Envy), 3. 탐욕(Greed), 4. 분노(Wrath), 5. 탐식(Gluttony), 6. 욕정(Lust), 7. 나태(Sloth) 이다.


 


사실 리스트를 보면 굳이 기독교가 전하는 교훈이라고만 할 수도 없는, 인류의 역사가 진행되고 생산이 발달할 수록 인간이 빠져들기 쉬운 모든 유혹을 나열해 놓은 것이라고 해도 된다.


 


개인적으로는 이 일곱가지 대죄에 한 가지를 더하고 싶은데, 그것은 바로 … 무지(Stupidity)이다. 여기서 무지라 함은 저학력을 일컫는 것이 아니다. 자신만의 욕망에 따라 움직이며 목적하는 바를 어떻게든 취하기 위해 저지르는 고집만 남은 멍청함, 맹신, 의도적 외면, 계산된 왜곡, 곡학아세 등을 말하는 것이다.


 


사실을 비틀고 궤변을 덧붙이다 못해 종내는 다른 큰 죄악을 찾거나 만들어 내어 당장의 자신의 허물을 덮어버리거나 합리화하는 작위적 무지는 그 중 악질이라 하겠지만, 이러한 행위에 멋모르고 동조하거나 방치하는 것도 그 못지 않은 죄악이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영화 속 음악은 바하의 “G선상의 아리아”

 


 


 


일곱가지 죄악을 모티브로 한 영화 “세븐” (1995, 데이비드 핀쳐 감독)을 보면, 죄악에 대한 심판을 명분으로 무고한 사람들에 대해 연쇄살인을 저지르는 범인이 나온다. 그리고 이 범인에 대해 형사 윌리엄은 시종일관 냉철하게 대처하지만, 열정적인 파트너 형사 데이비드는 범인의 교활함에 넘어가 분노의 죄악에 이르는 함정에 빠진다.


 


그리고 영화 “미션” (1986, 롤랑 조페 감독)을 보면, 자유롭게 살아가는 원주민에게 가해지는 침략자들의 공격에 맞서는 가브리엘 신부와 로드리고가 나온다. 가브리엘 신부는 권력자들에게 읍소한다거나 해보지만 결국 기도를 올리는 걸로 갈 길을 정하지만, 로드리고는 거대한 폭력 앞에 턱없이 부족하다해도 원주민들과 함께 무기를 들고 맞선다.


 


 


 



영화 속 음악은 널리 알려진 “가브리엘의 오보에”

 


 


 


윌리엄 형사가 옳으냐, 데이비드가 그르냐, 가브리엘 신부의 방식이 나은 거냐, 로드리고가 맞느냐 … 이런 논쟁은 각자의 견해에 따라 다른 결론이 날 거고, 달리 보면 어떤 식으로든 행동을 한다는 걸로 봤을 때는 큰 차이가 없을 수 있다. 중요한 점은, 뭐라도 한다는 데 있는 것이다.


 


큰 죄악을 저지른 이들은 절대, 한때 실수에 의해 작은 죄를 저지른 이들처럼  죄책감에 힘들어하거나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며 속죄를 하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의 죄가 드러나면 오히려 더 길길이 날뛰며 합리화와 정당화를 위해 말 그대로 분골쇄신한다.


 


친일이 드러나면 그땐 다 그랬다며 오히려 그 친일로 인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우기면서 우리에겐 현재 더 큰 위험과 적이 있는데 과거에 집착하지 말자 한다. 위법과 탈세, 착복이 드러나면 그땐 모두 다 그랬다며 오히려 그보다 다른 중요한 일을 해냈다고 자랑하면서 우리에겐 현재 더 큰 위험과 적이 있으니 거기에 집중하자고 한다.


 


지난 역사를 돌아봐도 큰 죄를 저지른 이들이 스스로 뉘우쳐 잘못을 되돌리고자 노력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누군가 나서서 계속 훈계를 하든, 지속적으로 매를 들든 아니면 죄인들이 기를 못 펴게 사회 주도층이 형성되든지 해서야 비로소 잘못을 인정하고 더 이상의 패악질을 안하게 되곤 하였던 것이다.


 


이제는 저들이 스스로 정신을 차려 뭔가를 하거나 아니면 안하거나를 바랄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런 상황이 더 악화되기 전에 나부터 스스로 뭔가를 해야겠다. 공부를 더 하든, 주변 사람들과 자주 진솔하게 대화를 하든, 뜻이 같은 이들과 적극적으로 함께 널리 알리든 말이다.


 


 


 


영진공 이규훈


 


 



 


 


 


 


 


 


 


 


 


 


 


 


 


 


 


 


 


 


 


 


 


 


 


 


 


 


 


 


 


 


 


 

영화 속 고전음악으로 마음의 평화를 찾아보자

세계적 경제위기를 핑계거리로 삼아 오히려 이때가 기회라는듯 온갖 패악을 서슴지 않고 있는 권력자들과 위정자들.  그들의 흉한 횡포와 경제난에 우리 몸과 마음이 온통 고달프고 힘들다.

허나 아서라, 자칫 지쳐 떨어지기라도 할라치면 더 험한 꼴을 당할지도 모르니 …

그러니 마음의 평화를 찾자.  자연의 품을 통해서든, 아름다운 음악을 통해서든.
그래야 견딘다.

그런 의미에서 영화 속 고전음악을 소개하고자 하니 마음의 평화가 필요하신 분은 잠깐 시간 좀 내시라.

1.
바하의 토카타와 푸가
Toccata & Fugue By J.S. Bach

요즘 TV와 라디오의 뉴스는 죄다 이 음악을 배경으로 깔고 들어야 하는 게 맞을듯하다.
온통 심장이 벌렁대는 후덜덜한 소식들을 전하는데도 아나운서들의 목소리는 괴기스러울만치 차분하기 때문이다.

여튼, 들어보자.
커트 아이손(Kurt Ison)의 파이프 오르간 연주이다.


셀 수 없이 많은 영화와 드라마 그리고 광고 등에서 접할 수 있는 이 곡은 바하가 1703~1707 년 사이에 작곡한 파이프 오르간용 음악인데,

요걸 또 유명 기타리스트 John Williams가 세션 뮤지션들과 함께 만들어 활동하였던 그룹 Sky에서 팝뮤직으로 편곡하여 신나게 연주한 적이 있다.

그것도 들어보자.

 

2.
드뷔시의 달빛
Claire De Lune By Claude Debussy

프랑스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의 1903년 작품인 이 음악은 가장 유명한 피아노 곡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 곡을 David Oistrakh의 바이올린 연주곡으로 준비하였으니 즐감~ ^^


이 곡은 몇 년 전에 개봉한 영화 “오션스 일레븐”이나 최근 개봉작 “트와일라이트”에서도 들을 수 있는데, 허나 뭐니뭐니해도 이 곡이 쓰여진 영화의 백미는 1991년 작 “프랭키와 쟈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게리 마샬이 감독하고 알 파치노와 미셸 파이퍼가 주연을 맡은 이 로맨스 영화.
아직도 안 보신 분은 꼭 구해서 보시길 권한다.


영화 “프랭키와 쟈니”의 예고편
 

3.
스탠리 마이어즈의 까바띠나
Cavatina By Stanley Myers (Guitar: John Williams)

위에서 잠깐 언급한 바 있는 John Williams는 클래식 기타리스트로서 명성이 자자한데, 여러 클래식 음악 연주자와 팝 아티스트들과의 성공적 협연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영화  “디어 헌터(Deer Hunter, 마이클 치미노 감독, 1978)”에 영국 출신의 작곡가 스탠리 마이어즈의 “Cavatina”를 연주한 것이 삽입되면서 그의 이름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까바띠나는 음악의 한 형식인데 ‘악기로 연주하는 노래’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다.  준비한 연주는 John Williams가 주축인 그룹 Sky의 공연실황이다.


그리고 아래는 영화의 한 장면.


영화 “디어 헌터(Deer Hunter)”

   

4.
모짜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 2악장
Piano Concerto No.21 K.467 2nd Mov. By W. A. Mozart

1967년에 나온 스웨덴 영화 “엘비라 마디간 (Elvira Madigan)”은 1880년대 후반에 스웨덴에서 실제 일어났던, 줄타기 곡예사 엘비라 마디간과 기병 장교 에드바르드 식스텐의 사랑의 도피와 비극적 최후를 아름답고 유려한 화면으로 차분하게 그려낸 영화이다.


영화의 한 장면


당시 굉장한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이 영화는 히트곡도 하나 만들어 냈는데, 그게 바로 모짜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 중 안단테이다.  그래서 이 연주는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엘비라 마디간”으로 불리우고 있다.

그 곡을 들어보자.
그런데 연주자가 바렌보임이다.  싫어하시는 분들은 패쓰하셔도 무방하다 ^^;;;

5.
바하의 G선 상의 아리아
Air On The G string By J. S. Bach


뭐 그닥 설명이 필요 없는 아주 유명한 곡이다.
바하의 관현악 조곡 3번의 한 부분을 아우구스트 윌헤미라는 바이올린 연주자가, 바이올린의 가장 낮은 현인 G선으로만 연주하도록 편곡한 것이 널리 알려지면서 G선 상의 아리아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이 곡도 셀 수 없이 많은 영화와 드라마에서 들을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인상 깊은 장면 중 하나가 바로 영화 “세븐(Seven)”의 도서관 Scene일 것이다.


영화 “세븐(Seven)”의 한 장면

그리고 이 곡은 팝 음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는데, 대표적으로 그룹 Procol Harum이 1967년에 발표한 “A Whiter Shade Of Pale”이 바로 이 곡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되었다.


“A Whiter Shade Of Pale”, Procol Harum  


자, 이 곡을 제대로 들어보자.  연주자는 장영주.

6.
쇼팽의 이별곡(Tristesse)
Etude Op.10 No.3 in E Major By F. Chopin


이번 곡 역시 별 설명이 필요 없는 곡.
쇼팽의 피아노 연습곡 중 하나인 이 곡은 그 애절하고 아름다운 선율로 인해 사람들에게 이별 또는 슬픔이라는 곡으로 통하게 되었다.

이 곡도 아주 많은 영화에서 쓰여졌는데, 어쩌나, 딱히 떠오르는 장면이 엄따. –;;;
그래서 걍 연주만 준비하였다.


연주자는 Freddy Kempf

이 곡 또한 여러 버젼의 팝송으로 불리워지는데, “No Other Love” “So Deep Is The Night’ 그리고 Annie Haslam의 “Careless Love” 등이 있다.
그 중 “So Deep Is The Night”을 준비해 보았으니 즐감 ^.^


테너: Finba Wright

7.
챠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인형들의 행진
March Of The Nutcrackers By Tchaikovsky

자, 정리하자.
때가 크리스마스 시즌이고 해서 그에 맞는 걸로 준비해 보았는데, 그전에 극히 일부 기독교도분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게 있다.  종교의 기본은 경쟁과 대립이 아니라 평화와 구원에 있음을 상기해 달라는 것이다.

크리스마스 때면 어김 없이 무대에 올려지는 발레공연이 있다.
바로 챠이코프스키의 3대 발레 중 하나라는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인데 이 작품 중간에 “목각 인형들의 행진” 부분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들어보자.

이 부분을 영국 출신의 프로그레시브 락 그룹 Emerson, Lake & Palmer가 락으로 어레인지하여 발표한 적이 있다.  1971년 발매한 라이브 앨범 “Pictures At An Exhibition”에 수록되어 있는 이 곡은 그래서 제목도 Nutrocker라고 바꿔 붙였다.

마음의 평화를 찾았으면 이제 힘내서 열심히 살아보자는 의미에서 신나는 음악으로 마무리하고자 함이다.

아자! 힘내자!


Nutrocker By Emerson Lake & Palmer

끗.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