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금자씨 또는 속죄는 나의 것

박찬욱 감독의 복수 연작 세번째 작품(복수 3부작은 잘못된 표현이고 어디까지나 마케팅을 위해 동원된 수사일 뿐이다. 애초부터 3부작으로 기획된 시리즈가 아니다)인 “친절한 금자씨”.  요즘 영화 속 금자라는 인물에 대해 자주 생각하게 된다. 영화를 보았을 때 스크린을 가득 메우던 이영애의 얼굴 뒤에 가려졌던 실제 금자의 모습을 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금자는, 많은 관객이 기대했던, 복수의 화신이라기 보다는 속죄의 강박에 사로잡힌 단죄의 화신이라고 하는 편이 맞겠다. 멀리 돌아갈 필요도 없이 박찬욱 감독의 전작들에 등장한 ‘진정한’ 복수의 화신들과 금자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이 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복수는 나의 것”에서 두 개의 대립각을 이루는 류(신하균)과 동진(송강호)는 모두 자신의 피붙이, 하나는 하나 밖에 없는 누나를, 또 하나는 하나 밖에 없는 딸을 잃는다. 자신의 생명이나 다름 없는 절대적 가치를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방식으로 빼앗겼을 때, 류는 장기매매단의 콩팥을 소금에 찍어먹을 수 있었고 동진은 집요한 추적 끝에 류의 혈맥을 끊어놓을 수 있었다.

“올드 보이”도 마찬가지다. “올드 보이”에서 복수의 화신은 오대수(최민식)이 아니라 오대수의 세치 혀 놀림에 누나를 잃어야 했던 이우진(유지태)이다. 물론 15년간 사설 감방에 갇혀 그 만큼의 인생과 가족을 잃어야 했던 오대수에게도 복수의 이유는 충분하다. 하지만 그에게는 마침내 풀려난 데에서 오는 해방감과 더불어 자신이 왜 갇혀야만 했었는지에 대한 의문의 답을 찾는 일이 우선이다. 반면 이우진은, 그러니까 영화의 말미에야 밝혀지는 이우진의 지독한 복수의 이유는 “복수는 나의 것”의 인물들의 사연에 비하면 약간은 신화화된 측면이 없지는 않지만 역시나 다시 한번, 자신의 생명이나 다름 없는 절대적 가치의 상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복수라는 게 무엇인가. 아니, 복수라는 행위가 갖춰야 할 감정적 상태의 가장 순도 높은 형태는 어떤 것인가. 어느 정도의 원한과 증오가 가슴 속에 터지고 피멍이 들었을 때 복수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태로까지 내몰리게 되는가.

그러나, “올드 보이”에 이은 “올드 레이디”의 새로운 주인공이 되었어야 했을 금자는(쉽게 바꿔 말하자면, “올드 보이”에서 이우진의 여자 버전인 이금자로서 그녀의 깊은 상처와 치밀한 복수의 과정을 풀 스토리로 보여주는 영화가 되기를 많은 이들이 바랬던, 그리하여 “올드 보이”의 변주곡이 되어야 했을 “친절한 금자씨”는) 대부분 관객들의 바램과 달리 순도 높은 원한과 증오의 여건부터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복수의 화신이라기 보다는 속죄의 강박에 휩싸인 단죄의 대리인으로서 우리 앞에 나타났다.

오대수의 15년 만큼은 아니지만, 금자에게도 13년의 잃어버린 인생이 있었고 무엇보다 행방을 알 수 없는 딸과의 잃어버린 시간이 있었으므로 충분한 복수의 이유가 된다. 그러나 딸은 살아있었고 자신은 자유의 몸이 되었다. 금자의 사연은 류나 동진이나, 이우진의 경우라기 보다는 오대수에 가깝다. 그럼에도 금자는 백 선생에 대한 응징을 실천한다. 더군다나, 13년만에 되찾은 딸에게서 스스로 엄마라고 불리우기 조차 거부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금자는 남들 보다 죄의식이 강한 사람이다. 딸을 죽이겠다고 백 선생이 협박을 했다지만 그녀가 유괴 살인의 죄를 뒤집어 쓴 데에는 어찌하든 딸을 살리겠다는 이유도 있었지만 자기 스스로가 유괴 살인의 공범 노릇을 했다는 자괴감도 작용했으리라는 추측을 하게 된다. 백 선생에 대한 복수심이 13년의 감방 생활 동안 철저한 이중 인격으로 살게 했지만 13년 동안 그녀가 동료 복역수들에게 그토록 친절할 수 있었던 이유도 유괴 살인에 동조한 자신의 죄를 씻기 위한 노력이었으며, 감방에서 나오자 마자 유가족 앞으로 달려가 자신의 손가락부터 끊는 행위는 백 선생에 대한 복수 보다 스스로에 대한 속죄의 심정과 노력이 훨씬 더 앞서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관객 앞에 전시되는 금자의 복수 퍼포먼스는 관객들이 가슴으로 동참하는 주체할 수 없는 감정적 폭발이라기 보다는, 마치 신의 대리인을 자처하는 심판자의 모습을 띄게 된다. 복수라기 보다는 정의의 심판에 가까운, 백 선생에 대한 금자의 단죄는 그리하여 결국 관객들에게 아무런 감정 이입이나 카타르시스를 주지 못하고 오히려 상당히 부담스러운, 또 다른 그 무엇이 되고 마는 게 아닌가 싶다.

여기서 “친절한 금자씨”가 대부분 관객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려고 했다면 그건 아마도, 악독한 백 선생과 그의 청부업자들의 손에 의해 금자의 딸이 죽고 짧았던 금자와 딸의 불완전한 행복은 그나마도 더 이상 이어질 수 없는 과거의 것이 되면서 백 선생의 생살을 전부 씹어먹어도 충분치 않을 금자의 ‘마녀로의 변신’ 정도가 이어져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영화는 처음엔 몰랐던 백 선생의 더 많은 죄가 밝혀지면서 어느 관객도 기대했거나 예상하지 못했던 방향으로 튀어가 버린다. 그리고 “친절한 금자씨”는 관객의 만족 보다는 박찬욱 감독의 작가적 명성에 기여하는 또 하나의 작품, 또는 관객들에게는 불친절하고도 매우 모호한 작품으로 남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금자는 왜 이미 죽어버린 백 선생의 얼굴에 총질을 했을까?

이것 역시 금자가 가진 속죄와 단죄의 강박으로 해명할 수 밖에 없다. 백 선생에 대한 금자의 단죄는 무려 13년 동안 한순간도 꺼지지 않았던 불꽃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백 선생에 대한 순도 높은 복수의 감정이라기 보다는 단죄의 사명감에 가까운 것이었다. 금자는 스스로가 그랬던 것 이상으로 백 선생 자신도 스스로의 죄를 우선 깨닫기를 원했고 그래서 피해 아동의 부모들이 백 선생에 대한 살해 모의를 하는 내용을 전부 경청할 수 있도록까지 한다. (백 선생이 죽기 전에 공포감을 느끼도록 한 것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가 어디 그런 인물이던가? 소 귀에 경 읽기라 하더라도 죄인을 죽이기 전에 죄목부터 낱낱이 열거하는 것이 심판의 대리인들이 취하는 습관이다.)

금자의 총질은 죄인에 대한 심판이 완료된 이후에 일어난 일이다. 그리고 금자의 총질에는 아무런 감정적 폭발음이 들리지 않는다. 그건 아마도 죄의식 강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일종의 자기 계획에 대한 완벽주의의 발로가 아니었을까 싶다. 13년 동안 고이 품어왔고 사제 총에 은장식까지 해넣기까지 준비해온 그 일의 마지막을, 때로는 본래의 목적이 더이상 의미 없어진 지점에 이르렀을 때에 조차 고집하곤 하는 그런 습성. 또는 강박.

“친절한 금자씨”가 세번째 복수의 드라마가 아닌, 속죄와 구원에 대한 아리송한 이야기가 되어버린 이유가 결국 금자씨에게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