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층의 악당”, 우울함이 해소되지 않는 이상한 코미디





<이층의 악당>은 손재곤 감독의 세번째 장편이다. 2000년에 이미 <너무 많이 본 사나이>라는 105분짜리 장편을 필모그래피에 올려놓고 있었으니 손재곤 감독의 존재를 널리 알려준 <달콤, 살벌한 연인>(2006)은 두번째 장편이었던 거다.

특별히 많은 제작비를 들이지 않았으면서도 내실 있는 완성도를 보여주었던 <달콤, 살벌한 연인>은 그에 걸맞는 관객 호응을 얻어 10억 안팎의 중저가 실속 브랜드 한국영화 제작의 붐을 잠시나마 불러일으키기까지 했던 걸로 기억한다.

그런 손재곤 감독의 후속작 <이층의 악당>은 전작과 유사한 코믹 컨셉의 영화로 좀 더 업그레이드된 만듦새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작품이었다 – 라고 나는 지금 과거형으로 쓰고 있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이층의 악당>은 특별히 흠잡을만한 구석을 찾기 힘들 만큼 잘 만들어진 작품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나는 이 영화가 영 마뜩찮은 것이다. 재미있게 봤다, 이 영화 무척 재미있는 작품이다 라는 말이 쉽게 나오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보고 있지만 그게 정확히 무엇 때문인지를 모르겠으니 마치 사흘째 변비에 시달리는 기분마저 들기 시작한다.

영화를 봤던 당일에는 미스캐스팅, 또는 오버캐스팅에 대해 줄곧 생각했다. 한석규와 김혜수의 연기야 손색 없이 훌륭할 따름이다. 하지만 이런 정도 줄거리의 영화에서 코믹 연기를 펼쳐보이기에는 이들의 존재감이 조금 무겁게 느껴진다. 특히 김혜수가 연기하는 삼십대 중반의 과부 캐릭터는 기가 너무 쎄다. 그 드센 기세에 한석규가 밀릴 정도는 아니지만 아무 것도 모르고 골동품 밀매업자에게 사랑방 월세를 내준 어머니와 중학생 외동딸치고는 고양이 앞에 맡겨진 생선 모녀 같은 느낌이 전혀 없다.

하지만 이건 분명 애초에 의도된 캐스팅이고 연기였으며 연출이었던 것 같다. <이층의 악당>은 분명 손재곤 감독이 의도했던 바가 그대로 작품에 반영되어 관객에게 전달되는 ‘하자 없는’ 완성품이 분명하다.



<이층의 악당>이 마냥 재미있지만은 않았던 이유에 대해 지금은 작품의 완성도가 문제가 아니라 이 영화가 손재곤 감독의 전작, <달콤, 살벌한 연인>에 비해 현실의 무게감이 너무 강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나이 탓인지는 몰라도 영화 속 등장인물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경험하는 삶의 고단함이랄까, 때로는 차라리 죽고 싶을 만큼의 괴로운 심정이 그냥 우스개로만 보고 넘길 수가 없었고 또 영화 자체도 이런 부분에 대해 그닥 개운하게 마무리해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는 얘기다.

골동품 밀매업자인 중년의 창인(한석규)는 나름 전문가인척 하고 있지만 연주(김혜수)의 집 이층에 월세를 얻어 들어간 이후 일에 진척이 없고 갈수록 무력감만 느낄 뿐이다. 우울증과 지독한 불면증에 시달리던 연주는 더 늦기 전에 제대로된 열정이라도 한번 불살라 보겠다고 이층의 소설가 선생님에게 몸과 마음을 다 쏟아보지만 그건 애초에 번지 수가 잘못된 연애 편지일 뿐이다.

심지어 어릴적 우유 광고에 출연했던 연주의 딸 성아(최지우)는 마침내 자살을 시도하고야 마는데 당연히 진짜 죽게 되는 일은 벌어지지 않고 그토록 소원했던 성형 수술까지 하게 되지만 – 왜 또 하필 얘는 강혜정을 닮아가지고 – 그렇다고 사춘기 시절에 깊게 상처받은 내면이 충분히 치유되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을 따름이다.







<이층의 악당>은 한술 더 떠서 영화의 주인공들 뿐만 아니라 조연급 배우들까지 총동원해 삶의 고단함과 각자의 괴로움에 대해 피력하는 시간을 할애한다. 어쩌면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은 마지막 대소동으로 넘어가기 전, 폭풍 전야와 같은 시간에 주요 출연진들의 모습을  일일이 비춰주며 – 심지어 이웃집 할머니까지! – 그들 모두의 삶을 한번씩 비춰주었던 바로 그 순간일지도 모른다.

결국 대한민국 국민들이 편견을 갖고 보게되는 재벌 2세와 그의 깡패 실장에 대한 권선징악도 이뤄지고 20억짜리 골동품도 찾아 새 아파트와 승용차도 갖게 되지만 <이층의 악당>에서 들쑤셔진 우리 삶의 우울증은 결국 영화를 통해 완전하게 해소가 되지 못한 채 끝나버리고 만다는게 문제다.

누군가 <다크 나이트>를 보고 내가 원했던 배트맨은 이런게 아니었다고 말했듯이 나 역시 손재곤 감독의 신작에서 원했던 건 이런게 아니었다. 등장 인물들은 좀 더 경망스럽게 꼴깝을 떨어야했고 그리하여 그들의 고통이 내게 전염되는 일은 없었어야 했다.



연주의 새 아파트에서 이튿날 – 영화의 마지막 장면 다음 날 – 잠에서 깬 창인은 과연 연주와 ‘가족의 탄생’을 이루고 행복하게 잘 살 수 있었을까? 그건 누구도 알 수가 없다. 이런 열린 결말을 만들어놓은 손재곤 감독의 의도는 분명 전작과는 다른 작품을 의도했다는 것으로 밖에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외관상 전작과 다름 없는 엽기발랄 코믹 멜러처럼 해놓고선 사실은 완전히 다른 세계관의 영화를 내놓은 것이 이번 <이층의 악당>이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구석구석 잔재미를 느낄 수 있는 장치들을 마련해놓고 있어 박장대소까지는 아니지만 충분히 낄낄거리며 볼 수 있게 해주는 영화인 것은 맞다.

그럼에도 그냥 웃기만 하고 개운하게 넘기기에는 현실의 무게감이 너무 무겁게 자리를 잡았고 또 깔끔하게 해소되지도 않는 작품이 <이층의 악당>이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