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스의 상인 (The Merchant of Venice, 2004), “알 파치노의 광기 어린 샤일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셰익스피어 원작의 “베니스의 상인”이라고 하면 샤일록이라는 잔인한 고리대금업자와 그에게 내려진 ‘살 덩어리는 가져가되 피는 한 방울도 흘려서는 안된다’는 유명한 판결문을 떠올리게 된다. 그리하여 착한 주인공들이 사악한 악당의 손아귀로부터 구원받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베니스의 상인” 본래의 결말이다. 그러나 알 파치노가 연기하는 샤일록은 더 이상 일방적인 금권의 화신으로만 머물지 않는다. 마이클 래드포드의 시나리오는 당시 베니스의 유대인들이 왜 고리대금업을 하게 되었는지, 그것이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 간의 종교적, 인종적인 갈등과는 어떤 식으로 관련을 맺고 있었는지를 설명한다.

기독교인들로부터 온갖 멸시와 조롱을 받아야 했던 샤일록에게 외동딸의 가출 사건은 기독교인들에 대한 살의를 품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한다. 득의만만한 샤일록과 그 앞에 독 안의 쥐 같았던 안토니오의 뒷 자리에 각기 일군의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이 대치하고 있던 상황 역시 샤일록 개인의 잔혹함만으로 설명하던 기존의 텍스트들과는 다른 맥락에서 상황을 인식하게 해준다. 원한을 풀기는 커녕 오히려 가진 재산을 몰수당하고 심지어 기독교로 개종까지 하게 된 샤일록의 오열하는 모습은 극적인 반전을 통한 권선징악의 통쾌함 보다는 한 인간의 몰락을 바라보는 지극히 인간적인 연민의 시선을 느끼게 한다.

마이클 래드포드의 재해석은 농익은 배우들의 연기 만큼이나 세련되고 풍성한 편이지만 샤일록의 인간적인 면모를 강조하게 되면서 원작이 지향했던 극전 반전의 묘미는 아무래도 희석될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 알 파치노의 광기 어린 샤일록과 보다 원시적인 시대 분위기를 기대했던 관객이라면 다소 실망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신어지

폭력과 비폭력 그리고 지금의 우리

—–

1986년 영화 <미션 (The Mission)>입니다.


역사적 실례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영화는 롤랑 조페가 감독하였고 제레미 아이언스와 로버트 드 니로가 주연을 맡았다.  그리고 1987년도 오스카 시상식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1700년대 중반 브라질과 파라과이 국경이 만나는 이구아수 폭포의 밀림 속에서 원주민들을 교화하는 가브리엘 신부(제레미 아이언스 분)와 그에 이끌려 함께 밀림으로 오게 된 로드리고 멘도자 (로버트 드 니로 분).  둘은 원주민과 함께 생활하며 선교와 봉사를 행하게 되고, 전직 노예 사냥꾼인 로드리고는 자신도 목자의 길을 가겠노라 마음을 먹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나 당시 남미의 식민정복자들인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교황청의 묵인하에 이 지역을 정치적으로 거래하고, 예수교회는 포르투갈령으로 넘어가게 된 이 지역의 신부들에게 철수를 명한다.

그들이 떠나고나면 함께했던 원주민들은 노예 사냥꾼들에게 포획되어 비참하게 팔려 나가거나 죽게 될 게 뻔한 상황에서, 둘은 교회의 명령을 거부하고 그 곳에 남아 원주민을 지킬 것을 결심한다.

허나, 둘이 선택한 방법은 서로 달랐다.  로드리고는 무기를 들고 정복자의 무리들과 싸웠고, 가브리엘 신부는 폭력이 아닌 사랑의 힘을 믿으며 기도로 저항하였다.

그리고 …
 

여기에서 비폭력과 폭력을 구별하려고 하는 것도 아니요, 어느 쪽이 더 옳다고 주장하려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그 뒤에 숨어있는 갈등의 원인이자 시작이며 가장 험악한 폭력이,
권력이라는 이름의 탈을 쓰고 커다란 어금니를 애써 숨기지도 않은 채 도덕을 설파하고 있는 모습을 잊지말자는 것입니다.

“하늘에서 그러하듯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소서”
Kyrie Eleison …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