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키와 자니”, 달빛을 들으며 카푸치노 한 잔 어때요


이 영화는 그 동네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구전가요 속의 인물과 같은 이름을 가진 두 사람이 주인공으로 나온다. 그리고 1936년과 1966년에 이미 동명 타이틀의 영화가 만들어 진 바 있다. 1966년에 만들어진 그 영화의 주연이 누구였냐고? 엘비스 프레슬리!

Elvis Presley, Johnny Cash, Van Morrison, Duke Ellington 등 수 많은 가수와 연주자에 의해 불려졌던 그 구전가요는 그다지 아름다운 이야기도 아니고 가슴 시린 교훈을 남기는 노래도 아니다. 어쩌면 우리의 구전 가요에 나오는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발병이 나라든가 서방이 바람을 피워 부인이 목을 맸다는 등의 이야기와 비슷한, 자신을 배신한 남자를 죽인 여자의 이야기이다.

어쨌든 1936년과 1966년의 영화는 그 구전가요의 내용을 그대로 극화한 것이지만, 1991년의 영화는 내용이 전혀 다르다. 노래가 아니라 테렌스 맥날리가 쓴 연극 “Frankie and Johnny in the Clair De Lune”을 영화화 한 것이기 때문이다.

”]
그래서 이 영화는 죽도록 사랑하다가 누군가의 배신으로 엄청난 비극을 맞는 내용이 아니라 영화 속 두 주인공이 참으로 고단한 삶이지만 나름대로 열심히 살아가다가 원작 극본의 제목처럼 “달빛(Claire De Lune)”의 도움으로 서로를 사랑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달빛? 그렇다. 영화 『오션스 일레븐』에도 삽입됐던 드뷔시의 그 피아노 곡, “Claire De Lune”의 도움을 받아 사랑을 이루게 된다는 내용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되겠다.

로맨틱 코미디 영화라. 근데 로맨틱 코미디 영화 치고는 좀 독특하기는 하다. 우선 나이가 마흔 둘, 아니 마흔 다섯, 아니 실은 마흔 여섯의 사내와 그리고 나이가 서른 둘, 아니 서른 셋, 아니 실은 서른 여섯 먹은 여자의 사이의 사랑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다.

물론 “사랑할 때 당신이 버려야 할 것”이나 “더 이상 좋을 순 없다” 등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서도 나이 많이 드신 분들의 사랑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니 이 영화가 독특하다고 할 게 뭐 있느냐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주인공 사내는 전과자이고 여자는 매맞고 살다 헤어진 이혼녀 되겠다. 로맨틱이나 코믹할 건덕지가 눈곱만치도 없어 보이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헐리우드 특유의 솜씨로 엮어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알 파치노”가 누구인가? 카리스마하면 국제 경기에서 챔피언 먹어도 될 만큼 빵빵한 우리의 대부(“God Father”)요, 우리의 상채기 얼굴(“Scarface”)이 아니던가. 또한 “미셸 파이퍼”가 누구인가? 온갖 미인대회는 다 말아먹고도 남을 소위 만인의 연인 아니시던가. 그런 두 사람이 망가지고 상처 받은 삶을 힘겹게 이어가다가 어렵사리 서로를 받아들이게 되는 역할을 전개하는 모습을 보는 재미도 꽤 쏠쏠하다.

그런데 “알 파치노”와 “미셸 파이퍼”가 공연을 한 건 이 영화가 처음이 아니다. 실은 1983년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의 영화 『스카페이스』(Scarface)에서 “알 파치노”는 마약 조직 보스의 자리를 노리는 악바리 건달로, “미셸 파이퍼”는 그 보스의 쭉쭉빵빵 어린 애인으로 나와 결국엔 “알 파치노”의 품에 안기는 역할로 만났었던 것이다.

암튼간에 아침, 저녁으로 밖에 나서면 아직은 겨울의 기운이 코 끝에 느껴지는 요맘때, 가슴 한 켠을 슬며시 따뜻하게 해 주거나 자연스럽게 미소 한 자락 짓게 하는 드라마 땡기는 분들은 이 영화가 괜찮을 듯 하여 권하는 바이다.


영진공 이규훈

베니스의 상인 (The Merchant of Venice, 2004), “알 파치노의 광기 어린 샤일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셰익스피어 원작의 “베니스의 상인”이라고 하면 샤일록이라는 잔인한 고리대금업자와 그에게 내려진 ‘살 덩어리는 가져가되 피는 한 방울도 흘려서는 안된다’는 유명한 판결문을 떠올리게 된다. 그리하여 착한 주인공들이 사악한 악당의 손아귀로부터 구원받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베니스의 상인” 본래의 결말이다. 그러나 알 파치노가 연기하는 샤일록은 더 이상 일방적인 금권의 화신으로만 머물지 않는다. 마이클 래드포드의 시나리오는 당시 베니스의 유대인들이 왜 고리대금업을 하게 되었는지, 그것이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 간의 종교적, 인종적인 갈등과는 어떤 식으로 관련을 맺고 있었는지를 설명한다.

기독교인들로부터 온갖 멸시와 조롱을 받아야 했던 샤일록에게 외동딸의 가출 사건은 기독교인들에 대한 살의를 품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한다. 득의만만한 샤일록과 그 앞에 독 안의 쥐 같았던 안토니오의 뒷 자리에 각기 일군의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이 대치하고 있던 상황 역시 샤일록 개인의 잔혹함만으로 설명하던 기존의 텍스트들과는 다른 맥락에서 상황을 인식하게 해준다. 원한을 풀기는 커녕 오히려 가진 재산을 몰수당하고 심지어 기독교로 개종까지 하게 된 샤일록의 오열하는 모습은 극적인 반전을 통한 권선징악의 통쾌함 보다는 한 인간의 몰락을 바라보는 지극히 인간적인 연민의 시선을 느끼게 한다.

마이클 래드포드의 재해석은 농익은 배우들의 연기 만큼이나 세련되고 풍성한 편이지만 샤일록의 인간적인 면모를 강조하게 되면서 원작이 지향했던 극전 반전의 묘미는 아무래도 희석될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 알 파치노의 광기 어린 샤일록과 보다 원시적인 시대 분위기를 기대했던 관객이라면 다소 실망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신어지

살아있는 세계문화유산, 알 파치노 vs 로버드 드 니로





  




알 파치노와 로버트 드 니로. 두 사람 모두 뉴욕에서 태어난 명배우들입니다.
이탈리아계인 알 파치노가 40년생, 아일랜드계인 로버트 드 니로가 43년생이로군요.

영화 데뷔는 로버트 드 니로가 약간 빨랐습니다. <Trois Chambres à Manhattan>(1965)라는
프랑스 영화에서 엑스트라로 처음 출연한 이후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의 X 등급 영화
<그리팅>(Greetings, 1968)에서 주역을 맡았습니다. 알 파치노는 68년 <N.Y.P.D>라는
TV 시리즈에 출연 후 <미, 나탈리>(Me, Natalie, 1969)에서의 조역으로 영화 데뷔를 합니다.

이후 몇 편의 출연작이 있고 70년대 초반에 이르러 드디어 출세작을 찍게 되는데요,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에게 픽업된 알 파치노가 72년 <대부>로 선빵을 날립니다.
그리고 로버트 드 니로는 73년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비열한 거리>에 출연하죠.
알 파치노가 연극 무대를 경유한 신데렐라 같은 영화배우였다면 로버트 드 니로는 좀 더 많은
출연작을 통해 조금씩 배우로서의 인지도를 넓혀나간 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972년       1973년

<대부>로 일약 스타덤에 오른 알 파치노는 이듬해 <허수아비>(Scarecrow)와
<형사 써피코>(Serpico)를 찍었고 그 사이 로버트 드 니로가 <비열한 거리>로
‘업계의 시선’을 끌게 된 거죠. 그리고 두 사람이 처음으로 같은 영화에 출연한 작품이
74년작 <대부 2>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시점의 마이클 콜레오네인 알 파치노와
돈 콜레오네의 젊은 시절을 연기한 로버트 드 니로는 극중에서 직접 만날 일이 없었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후로 알 파치노와 로버트 드 니로는 당대 최고의 배우로서 맹활약을 하게 됩니다.
<대부 2> 이후 80년대까지 두 배우의 출연작들을 연대 순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연작들의 수에서나 작품의 질에서나, 로버트 드 니로가 훨씬 부지런한
활동을 보여주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반면 알 파치노는
83년 <스카페이스> 이후 89년 <사랑의 파도>로 재기하기까지
상당 기간을 말 그대로 ‘헤맸다’고 밖에 할 수 없는 기간을 보냈습니다.

오랜 기간의 공백 끝에 돌아온 알 파치노에겐 역시 <대부 3>가 기다리고 있었죠.
로버트 드 니로도 마틴 스콜세지 감독과 <좋은 친구들>을 찍었습니다.


  1990년 

로버트 드 니로는 같은 해인 1990년 제인 폰다와 함께 <스탠리와 아이리스>라는
멜러 영화를 찍었는데요, 알 파치노 역시 이듬해 미셸 파이퍼와 <프랭키와 쟈니>
출연했습니다. 두 배우가 거의 같은 시기에 유사한 컨셉의 영화를 찍었다는 건
당시 이들의 존재감이 헐리웃 스튜디오의 기획 자체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91년       1990년



90년대 초반에 알 파치노는 <딕 트레이시>(1990), <여인의 향기>(1992),
<글렌게리 글렌로즈>(1992), <칼리토>(1993) 등에 출연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로버트 드 니로의 주요 출연작은 <사랑의 기적>(1990), <비공개>(1991),
<분노의 역류>(1991), <케이프 피어>(1991), <밤 그리고 도시>(1992),
<디스 보이스 라이프>(1993), <형사 매드독>(1993), <브롱스 대부>(1993),
<프랑켄슈타인>(1994), <카지노>(1995)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1995년 마이클 만 감독의 <히트>(Heat)에서 21년만의 만남이 이루어집니다.
알 파치노는 1999년 <인사이더>에서 마이클 만 감독과 한번 더 작업했습니다.
 두 배우의 세번째 만남은 현재 촬영 중인 존 애버넷 감독의 차기작
<의로운 살인>(Righteous Kill)을 통해 내년 중 다시 볼 수 있게될 예정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 명의 명배우 가운데 감독 데뷔작을 먼저 내놓은 것도 로버트 드 니로였습니다.
그의 첫번째 감독 데뷔작은 93년작 <브롱스 대부>(A Bronx Tale)이었구요
최근 두번째 연출작 <굿 셰퍼드>(The Good Shepherd, 2006)를 내놓았죠.

셰익스피어 연극에 지대한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알 파치노의 감독 데뷔작은
<리차드 3세>를 원작으로 한 <뉴욕 광시곡>(Looking for Richard, 1996)입니다.
두번째 연출작 <차이니스 커피>(Chinese Coffee)도 아이라 루이스의 희곡을
영화화한 작품입니다. 2004년에는 마이클 레드포드 감독의 <베니스의 상인>에서
샤일록을 연기하며 셰익스피어에 대한 오랜 애정을 과시한 바 있습니다.


1996년       1993년

2004년       2006년

배우로서, 그리고 영화인으로서의 경력은 객관적으로 로버트 드 니로가 좀 더
착실하게 잘 쌓아온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알 파치노에게는 로버트 드 니로에게도 없는
배우로서의 천부적인 카리스마가 있습니다. 저는 <시티 홀>(City Hall, 1996)에서
알 파치노가 혼자 긴 러닝타임을 채우는 장면을 보면서 ‘로버트 드 니로가 갖지 못한
알 파치노만의 그 무엇’을 발견했습니다. 연출자들이 요구하는 대로 너무 버럭! 하는
연기를 선보이는 경우가 잦은 편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알 파치노 필모그래피  vs  로버트 드 니로 필모그래피

이제는 두 사람 모두 환갑의 나이를 훌쩍 넘긴 말년의 나이가 되었습니다만
여전히 엄청난 스타 파워를 과시하고 있습니다. 알 파치노는 2009년에 만들어질
살바도르 달리의 전기 영화에 출연할 예정이고 로버트 드 니로 역시
많은 작품들이 후반 작업 중이거나 사전 준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 세대를 대표하는 이름인 동시에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위대한 두 배우,
알 파치노와 로버트 드 니로입니다.

영진공 신어지

[가사 검열] 영화 <프랭키와 쟈니> 中 드뷔시의 <달빛(Clair De Lune)>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91년 개봉 헐리우드 로맨틱 코미디 영화 “프랭키와 쟈니 (Frankie & Johnny).

알 파치노와 미셸 파이퍼 주연의 이 영화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트(http://nowhereman.co.kr/entry/프랭키와-쟈니)에서 자세히 다룬 적이 있으니 시간 많으신 분들은 들러보시라.

이 영화에서 두 주인공을 이어주는 중요한 계기는 한 피아노 소품곡인데,
그게 바로 드뷔시의 “달빛(Claire De Lune)”되겠다.
그리고 사실 이 영화의 원작인 연극의 제목이 “달빛 속의 프랭키와 쟈니 (Frankie and Johnny in the Clair De Lune)”이다.

영화 속에서 쓰여지는 피아노 소품곡은 그저 소품으로 쓰이기 십상인데,
이 영화에서의 “달빛”은 참으로 멋진 하나의 배우가 된다.

그래서 오늘 준비한 가사 검열은 드뷔시(Debussy)의 “달빛”이다.
첫 번째 동영상은 이 곡이 흘러 나오는 영화의 엔딩 장면이고,
두 번째는 이 곡을 배경으로 영화의 장면 등을 모아 놓은 동영상이다.

그럼 모두들 즐감~ ^.^

영화 <Frankie And Johnny> 중에서 …
Clair De Lune
By Claude Debussy (1905)  


영진공 이규훈

[가사 검열] 영화 <프랭키와 쟈니> 중 드뷔시의 <달빛(Clair De Lune)>

dll1184.bmp
1991년 개봉 헐리우드 로맨틱 코미디 영화 “프랭키와 쟈니 (Frankie & Johnny).

알 파치노와 미셸 파이퍼 주연의 이 영화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트(http://nowhereman.co.kr/entry/프랭키와-쟈니)에서 자세히 다룬 적이 있으니 시간 많으신 분들은 들러보시라.

이 영화에서 두 주인공을 이어주는 중요한 계기는 한 피아노 소품곡인데,
그게 바로 드뷔시의 “달빛(Claire De Lune)”되겠다.
그리고 사실 이 영화의 원작인 연극의 제목이 “달빛 속의 프랭키와 쟈니 (Frankie and Johnny in the Clair De Lune)”이다.

영화 속에서 쓰여지는 피아노 소품곡은 그저 소품으로 쓰이기 십상인데,
이 영화에서의 “달빛”은 참으로 멋진 하나의 배우가 된다.

그래서 오늘 준비한 가사 검열은 드뷔시(Debussy)의 “달빛”이다.
첫 번째 동영상은 이 곡이 흘러 나오는 영화의 엔딩 장면이고,
두 번째는 이 곡을 배경으로 영화의 장면들을 모아 놓은 동영상이다.

그럼 모두들 즐감~ ^.^

영화 <Frankie And Johnny> 중에서 …
Clair De Lune
By Claude Debussy (1905)  


영진공 이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