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시대를 사는 우리들이 꼭 보아야 할 몇 편의 영화들

 

얼마 전에 영화 블로그 “네오이마주”에 취임 100일 대통령에게 권하는 몇 편의 영화들이라는 기사가 실린 적이 있다.

이 글의 취지와 그 권고사항에 적극 공감하는 바이며,
이 대통령은 잠도 안 자는 새벽에 꼭 한 편 씩 챙겨서 보아주길 바라는 바이다.

각설하고, “영진공”에서는 이명박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우리 시민들에게 몇 편의 영화를 추천하고자 한다.
 
그 전에 하나 읽어볼 게 있다.

“①복지를 위한 공공지출의 삭감과 세금인하, ②국영기업의 민영화, ③노동조합의 활동규제, ④철저한 통화정책에 입각한 인플레이션 억제, ⑤기업과 민간의 자유로운 활동 보장, ⑥외환관리의 전폐와 빅뱅(big bang) 등을 통한 금융시장의 활성화 등”
“작은 정부의 실현, 산학협동(
‘)” onmouseout=Chartip_off()>學

‘)” onmouseout=Chartip_off()>同
) 중심의 교육정책”

이거 많이 듣는 거다.  이명박이냐고?  아니다.
따라쟁이 대통령이 롤모델로 삼고있는 대처와 레이건의 정책들이다.

그래서 우리는 현 대통령이 실시하고자 하는 이 정책들이 30여년 전에 이미 실행되어 어떤 결과를 낳고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실례를 보면서 알고 배울 수가 있다.
이걸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여담이지만, 대처는 재임 중 하루 다섯 시간만 수면하며 업무에 임했다고 한다 … 이것도 따라하는 거냐긔 … >_<

그때 영국에선 어떤 일이 벌어진 걸까? 그리고 미국에선 …
경제부흥? 선진국으로의 재도약? 공공서비스 개선? 감세? 소득증대? 실업감소????????

일단 신나는 음악 하나 듣고 시작하자.


<영화 “브라스트 오프” 中 윌리암 텔 서곡> 

이 영화는 1997년 개봉작으로,
대처리즘으로 인해 노조가 와해되고 아예 탄광이 폐쇄된 지역 탄광노동자들의 생활상을,
실화를 바탕으로 그려낸 <브라스트 오프 (Brassed Off)>라는 작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은 한 물 갔는지 어떤지 모르지만 암튼 꽃미남 훈남 이완 맥그리거가 주연으로 나오며 마크 허먼이 감독한 영화이다.
꼭 챙겨보시길 권한다.

요즘 공기업 민영화에 대해서 말들이 많다.
그런데 한 가지 심각한 의문점은 “공기업 민영화 = 경제부흥”이라는 공식이 어떻게 성립한다는 것일까?
공기업을 팔아서 국가재정을 확보하여 이를 공적인 사업에 투자하여 경제를 살리고 고용을 늘리겠다는데, 도대체 이건 무슨 해괴한 논리인가?
공기업을 팔아서 돈을 만들어 다시 공적사업을 하겠다는 얘긴데 … 이 무신 …
그리고 한국 공기업 매출이 한 해에 얼만지 계산은 해 보았는가?
기껏 몇 십조 벌겠다고 매년 몇 십조를 그 기업들에 국민이 갖다바치는 건 계산 안하냐?

공기업 개혁, 필요하고 절실하다.
그런데 빈대를 잡으려고 집을 태울 것인가?
함께 생각해 볼 일이다.

*참고
[[공기업 개혁 해외 사례] ①영국]
http://news.mk.co.kr/newsRead.php?sc=30000022&cm=%B0%F8%B1%E2%BE%F7&year=2008&no=333631&selFlag=sc&relatedcode=  (매일경제 인용)
[공기업 개혁과 민영화 구분부터 하라]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40080604105951&s_menu=%EC%84%B8%EA%B3%84 (프레시안 인용)

다음으로 추천하는 영화는 다들 잘 아시는 2000년도 개봉작 “빌리 엘리어트 (Billy Elliot)”이다.

영화에서 빌리의 아버지와 형은 영국의 탄광노동자인데, 이들은 노동자의 권익을 보장받기 위해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 파업은 노동자 내부의 분열과 대체근로자(미국에서는 strike breaker, 즉 파업파괴자라고도 부른다.)의 투입으로 위기를 맞는데, 이 와중에서 빌리는 발레에 대한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많이들 보셨겠지만, 자꾸 봐도 좋은 영화이다.
감독은 스테판 달드리, 제이미 벨이 빌리 엘리어트 역을 맡았다.


<영화 “빌리 엘리어트”의 한 장면>

1982년에 나온 영화 <더 월 (The Wall)>은 한 편의 거대한 뮤직비디오랄 수 있다.  락 그룹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의 1979년 앨범 <The Wall>을 그대로 영화로 옮겨놓은 독특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자본과 경쟁에 얽매이고 치여 돌아가는 사회 속에서 인간성이 어떻게 소외되고 파괴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걸작 뮤직영화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ink Floyd, Another Brick In The Wall (1979)>

감독은 알란 파커이고 각본은 그룹의 멤버인 로저 워터스가 맡았으며 음악은 당근 핑크 플로이드이다. ^^

아래의 클립 역시 대처 시절의 영국 노동자의 삶을 그린 영화 중 한 장면인데, 사실 이 장면은 여러 광고에서 패로디 하기도 하였다.

 


<영화 “풀 몬티(Full Monty)”의 한 장면>

이 영화는 1997년 개봉작인 <풀 몬티 (Full Monty)>이다.
감원조치로 철강공장에서 해고된 이들이 생활방편으로 선택한 것은 … … 스트립쇼!
영화의 제목 풀 몬티는 홀랑 벗는다는 뜻이라능 … ^^;;;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피터 카타니오 감독에 로버트 칼라일 주연 작품이다.

<식코(Sicko)>, <화씨 9/11(Farenheit 9/11)>의 감독으로 유명한 도큐멘타리 영화제작자인 마이클 무어(Michael Moore).  그의 데뷔작은 1989년의 <로저와 나(Roger&Me)>이다.

미시간주 플린트에서 대학신문의 편집자로 일하던 청년 마이클 무어는 고향에 있던 제너럴 모터즈(GM) 자동차가 공장을 폐쇄하면서 3만명이나 되는 고향 사람들이 직장을 잃게 되자 당시 GM의 사장인 로저 스미스(Roger Smith)에게 해명을 듣겠다고 길을 나선다.
이 영화는 그 여정과 에피소드를 담고있다.


<영화 “로저와 나(Roger & Me)”의 예고편.  여기에도 윌리암 텔 서곡이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코미디 영화 한 편을 소개할텐데,
그전에 2001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생했던 대규모 정전사태에 대해 공부하고 넘어가자.

* 참고
[캘리포니아 정전사태]
http://www.changbi.com/webzine/content.asp?pID=204 (창비 인용)
[한전 노사 ‘미 정전사태’ 해몽 따로따로]
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_donga/news277/wd277dd020.html
(주간동아 인용)

1983년 개봉작 “에디 머피의 대역전(Trading Places)”은 국내 제목 그대로 에디 머피가 주연을 맡은 영화이다.
이 영화 무지 웃기고 재밌다.

그런데 웃다보면 ㅆ ㅂ 욕이 저절로 나온다.
자본가들이 그리고 졸부들이 소위 서민을 어떤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지, 또 어떤 가치를 매기고 있는지 신랄하게 꼬집고 코후비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감독은 존 랜디스이고 에디 머피 뿐만 아니라 댄 애크로이드, 제이미 리 커티스, 제임스 벨루시, 덴홀름 엘리어트 등 초호화 캐스팅이다.

준비한 클립은 동 영화의 한 장면인데, 자막은 없지만 잠깐 맛만 보시기 바란다.

자, 여기까지이다.

일하랴, 교제하랴, 가족 챙기랴, 배우랴, 놀랴, 바쁘고 바쁜 우리들에게,
나라 걱정이라는 거대한 숙제를 떠넘기고 있는 현 집권세력 때문에 잠 못 이루는 우리 국민들,

그리고 촛불의 행진에 동참하느라, 또는 함께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를 생방송으로 지켜보느라 뜬 눈으로 밤을 지새우는 우리 국민들이,

위에 추천한 영화들을 보며 잠깐이라도 마음의 위로와 휴식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면,
우리 영진공은 더 이상 바랄 것이 없겠다.

그럼, Good night and good luck~


영진공 이규훈

[영진공] 즐겁게, 질기게, 악착같이

 


올 초에 [영진공]의 생각은 이랬습니다.
비록 영진공에 참여하고있는 그 누구도 현 대통령을 찍지 않았고,
오히려 현 대통령에 대해 후보단계에서부터 강한 비판을 제기하였지만,
어쨌든 적법한 절차를 통해 선출이 되었고 결과적으로 정통성을 획득하였으니 인정하자고.

그래서 그간 우리는,
어차피 견뎌야 할 5년이라면 나름대로 즐겁게 보내자는 생각으로 영화와 문화를 매개로 대화한다는 우리 본연의 모토를 충실히 이행하며 한편으론 현 집권세력에 대한 풍자도 곁들이며 업데이트를 지속해 왔습니다.

그러던 우리의 생각이 바뀐 것은 지난 5월 31일이었습니다.

그날,
우리의 돈으로 월급을 주고있는 공권력이 우리에게 폭력을 가했을때,
섬기라고 고용한 머슴이 주인을 물어 뜯었을때,
현 대통령과 집권세력이 형식적으로 보유하고 있던 정통성은 폐기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당분간 업데이트를 중단”하겠다고 공지를 올리고 (http://0jin0.com/1367),
오늘까지 영화와 문화에 대한 기사의 업데를 중단하였으며,
정통성을 잃은 정권에 대한 국민의 저항에 글을 통해서 참여하였고,
언론정상화를 위한 노력에 동참하기도 하였으며 (http://0jin0.com/1368),
당연히 저항의 현장에도 참여 하였습니다.

그리고 어제, 2008년 6월 10일에 국민들의 거대한 힘과 결의를 온몸으로 느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lien.net 자유게시판의 ‘곽공’ 님 이미지입니다.  누르시면 엄청 커집니다. ^^>


자신감과 안도감은 확신으로 굳어졌습니다.
해 낼 수 있고 해내리라는 믿음입니다.

허나 현 대통령과 집권세력은 여전히 버티기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때우기, 돌려막기 대책으로 말장난만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이 저항의 촛불은 장기전이 될 듯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그에 맞춰 방향을 정하겠습니다.
질기고 악착같이 그리고 즐겁게 저항을 이어나가겠습니다.

영화와 문화를 매개로 공화국 시민들과 대화하고 소통하는 활동을 재개하고,
동시에 현 대통령과 집권세력이 제 정신을 차리고 국민을 섬기는 머슴이 될 때까지 비판과 질타를 멈추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2008. 6. 11.

영진공



jk23.bmp

 

어떤 퀘스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은 페니웨이님의 블로그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pennyway.net

어떤 퀘스트가 있습니다.

퀘스트의 목표는 보스 몹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뭐 직접 찾아갈 수도 있고, 어떤 다른 방법으로 영향력을 미칠 수도 있겠죠.
어쨌든 지금 행패부리는 짓을 그만두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몹은 지금까지 사용한 어떤 간접적인 방법에도 꿈쩍하지 않았습니다.

퀘스트의 규칙은 이렇습니다.

장벽이 있으되 그 장벽을 강제로 넘어서는 안됩니다.
만약에 혹시라도 장벽이 저절로 열린다면 지나갈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장벽은 열린적이 없으며 갈수록 더 두터워집니다.

장벽을 넘기 위해서든 몹으로 전진하기 위해서든
어떤 이유로든 폭력은 쓰면 안됩니다.
왜 그런지는 모르지만 장벽이 폭력을 쓸 수는 있으나
퀘스트 참가자들은 쓰면 안된다는군요.

지금까지 참가자들은 몇가지 방법을 썼습니다.
참가자의 인원수를 늘렸고,
온갖 기발한 텍스트와 이미지들을 양산했으며
심지어 정치적인 영향력도 발휘했습니다.

처음에는 퀘스트 자체로도 의미가 있었고, 재미도 있었습니다.
지금도 퀘스트는 충분히 재미와 의미가 있고 그래서 참가자는 쑥쑥 늘어나는 중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그것 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참가자들이 조금씩 생깁니다.
퀘스트에 진척이 없어 보이는 것입니다.

여전히 몹은 건재할 뿐만 아니라 더 기염을 뿜고 있으며
장벽은 두텁고 치밀하거든요.

몹의 진영에서는 퀘스트 참가자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싫으면 애초에 참가하지 말던가.
이 퀘스트를 만든 것은 바로 니들 아니냐.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이게 이 퀘스트의 문제입니다.

정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짱가

권위와 인간의 존엄

 

우선 영상 두 개부터 보시죠 ^^

본 사람도 많겠지만. 위의 영상은 EBS의 지식채널-e 에 나온 ‘광우병’ 관련 영상이다.

난 광우병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1980년대의 ‘영국’을 이야기 하려 한다.

위의 영상들의 시초는 모두 영국의 1980년대다. 물론 ‘미친 공장’의 경우 1970년대부터 시작된 소의 사료 이야기지만 그 배경에는 역시 ‘인간’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이 있다.

영국은 1970년대 – 1973년과 1979년 – 오일쇼크를 두 번 겪었다. 그 중 두 번째 오일쇼크 덕에 정권이 ‘철의 여인’ 대처에게로 넘어갔다. 물론 이 배경에는 숙련 노동자들이 중산층으로 넘어가면서 ‘변절’하는 등의 여러가지 사건이 많지만 어쨌든 ‘경제 위기’ 덕분에 철저한 ‘반공주의자’이자 복지 따위 집어 치우고 닥치는대로 ‘민영화’를 시켜버린 대처가 수상이 되어버린 거다.

대처는 이 때부터 1990년 퇴임때까지. 12년을 영국의 수상으로서 온갖 ‘암울한 일’을 벌였다. 이후에 ‘토니 블레어’ 총리 시대때 대처가 벌여놓은 ‘경제 호황’을 누렸다고, 경제가 발전했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대처 덕분에 영국은 빈부 및 지역 격차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벌어졌고, 영국의 근본적인 경제 문제의 근본은 건드리지도 못 했다.

어떤가?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과 비슷해 보이지 않는가?

경제 발전 시키겠다고 국민을 현혹시켜 당선 되어 놓고 근본적인 문제는 건드리지도 않은 채 ‘닥치고 민영화’? 더불어 그 뿐인가?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기 위해 ‘사람’이라는 최대의 가치를 가볍게 다루는 이 ‘정권’에게 저런 과거의 영국이 걸었던 길이 뻔히 보이지 않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V for Vendetta의 원작인 만화는 저런 ‘대처리즘’의 배경에서 만들어졌다. 동시대를 살던 만화가가 ‘대처’ 때문에 암울한 시대를 한탄하기 위해 만든 거다.

권위주의 정부.

시장 논리를 내세우며 기본적인 ‘인권’ 마저 ‘국가’라는 명목으로 가볍게 여기고, 무시해 버리는 정부.

더 할 말이 없다.

‘사람’을 위해, ‘더불어 같이 살아가야 할 사람’을 위해.
우리 조금만 더 ‘함께’ 생각하면 안 될까?

복지를 줄이고, 민영화를 시키고, 빈부 격차를 넓히고……

그렇게 살아남아서 아름다운 세상이라 말하고 싶은가?

약육강식의 세상이 ‘본능’이 아니라 저 빨간 털 원숭이처럼 ‘함께’ 살아야 하는 게 인간 아닌가?


영진공 함장

촛불을 들고 계신 그대에게 드리는 노래 …

 

지금 이 시간에도 변함 없이 거리에서, 가정에서, 직장에서 그리고 이 세상 곳곳에서 손과 마음에 촛불을 켜 자랑스럽게 들고 계시는 여러분들에게 노래 한 곡 올려드리고자 합니다.

준비한 곡은 Sting의 1993 년 앨범 “Ten Summoner’s Tales”에 실려있는 “It’s probably me”인데요, 영화 “리썰웨폰 3″와 “데몰리션맨”에 삽입되기도 하였던 그 곡입니다.

즐감하시고요, 우리 힘내자고요 ^.^



If the night turned cold and the stars looked down
And you hug yourself on the cold cold ground
You wake the morning in a stranger’s coat
No one would you see
You ask yourself, who’s watched for me
My only friend, who could it be
It’s hard to say it
I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별님만이 그대를 내려다 보고 있는 차가운 밤,
차디 찬 땅 바닥에 누워 웅크리고 있는 당신,
모르는 이의 외투를 입은 채 아침에 눈을 뜨는 그대,
주변에 아무도 보이지 않을 때,
당신은 스스로에게 묻겠지, “누가 나를 돌봐준거지” 라고,
“내 유일한 친구여, 누구긴 누구겠어”
그게 누군지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When your belly’s empty and the hunger’s so real
And you’re too proud to beg and too dumb to steal
You search the city for your only friend
No one would you see
You ask yourself, who could it be
A solitary voice to speak out and set me free
I hard to say it
I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배 속이 텅비고, 배고픔으로 뼈가 저릴 때,
자존심 때문에 구걸도 못하고, 도둑질을 할 만큼 뻔뻔하지도 못한 당신,
유일한 친구를 찾아 온 도시를 헤매 다니겠지,
주변에 아무도 보이지 않을 때,
당신은 스스로에게 묻겠지,
“누굴까, 나를 자유롭게 해 줄 유일한 목소리”
그게 누군지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You’re not the easiest person I ever got to know
And it’s hard for us both to let our feelings show
Some would say I should let you go your way
You’ll only make me cry
If there’s one guy, just one guy
Who’d lay down his life for you and die
It’s hard to say it
It’s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당신은 사실 편하게 사귈만한 사람이 아니야,
서로가 서로의 감정을 솔직하게 내보이기 힘든 사람이지,
다른 이들은 말하지, 당신의 길을 가게 내버려두라고,
그대는 나를 울리기만 하네,
그러나 만약, 단 한 사람,
당신을 위해 목숨을 걸고 또 죽어 줄 사람이 있다면,
그게 누군지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When the world’s gone crazy and it makes no sense
There’s only one voice that comes to your defense
The jury’s out and your eyes search the room
And one friendly face is all you need to see
If there’s one guy, just one guy
Who’d lay down his life for you and die
It’s hard to say it
I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I hate to say it
I hate to say it, but it’s probably me

세상이 미쳐가고, 상식이 통하지 않을 때,
당신을 변호해 줄 사람은 단 하나 뿐이네,
배심원들 앞에서 그대는 법정을 훑어보겠지,
그리고 당신은 오직 하나의 반가운 얼굴을 발견하게 될 거야,
만약 이 세상에, 단 한 사람,
당신을 위해 목숨을 걸고 또 죽어 줄 사람이 있다면,
그게 누군지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고 싶지 않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그게 누군지 말하기 어렵지만,
그게 누군지 말하기 싫지만, 아마 그건 나겠지,


영진공 이규훈


Cand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