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버 3”, 건달영화로 살펴보는 정치외교 공학

 

 


 


 


여기서 핵, 저기서 핵, 사방이 핵핵댄다.


이 오뉴월 땡칠이마냥 핵핵거리니, 미도 중도 한도 따라서 핵핵댄다.


누구는 그게 다 뻥이라 하고, 누구는 이러다 정말 일 벌어지는 거 아니냐고 한다.


 


그런데 … 네들 그러지 마라 … 사람들 목숨이 니들 짤짤이 밑천 아니다.


그리고 … 홧김에 한 판 붙자는 사람들 … 그래서, 붙어서, 뭐 어쩌자는 거냐.


 


손자 병법에도 나와있듯이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게 최상책인 거다.


그리고 싸우지 않고 이기는데 가장 좋은 무기가 대화다.


그런 대화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야할지를 고민하고 실천하라고,


소위 권력자라는 높은 자리에 앉아들 있는 거라는 걸 잊지 마시라.


 


암튼 작금의 상황을 보고 있노라면,


우리 영화 불후의 명작 중 하나인 “넘버 3″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어떻게? 이렇게!


 


 


 


태주 : (소줏잔을 탁 내려놓으며-) 부탁이 있는데… 건달이라고 불러주쇼.
마동팔 : 건달? 너 그게 무슨 뜻인줄이나 아니?

            하늘 건, 이를 달 … 하늘에 통달한 사람이란 뜻이지.


            간다르바라구… 세상의 좋은 향기만 마시고, 공중을 떠다닌다는 신 이름


            이기도 하구…


            근데… 하는 짓마다 썩은 냄새 피우는 새끼들이 무슨 건달이야? 깡패지.


 


 


 



 


 


 



태주 : 맞짱실력이 대단하시다던데…
마동팔 : 비무장으로 하면, 너흰 게임이 안돼. 요즘 깡패새끼들,


            칼질이나 하지, 진짜 실력은 좆도 아니지.
태주 : 조만간, 한판 뜹시다.
마동팔 : 언제든지… 너, 내가 충고하는데, 네가 지금 뭘하든, 하지마라.


            돈 뜯어낸거 있으면, 이자쳐서 갚고, 사람 팼으면 치료해줘. 그게 좋을거야.
태주 : (여유-) 뭘하든… 열심히 해보슈.


 


 


 






 


 


 



마동팔 : 내가, 나만이라두 깡패 안되야지… 기도하는 심정으로 산다.
            네가 뭘하든, 열심히 해봐. 대신, 대가는 꼭 치루게 될거다.
태주 : 뭘하든 하지마쇼… 우리도 앉아서 당하진 않을거요.


 


 


 


동팔이와 태주,


둘이 그리도 피지컬하고 멘탈리하게 치고박고 하다가는,


결국엔 대화로 잘 풀어서 다 자기 좋은 거 챙기면서 영화는 끝난다.


뭐 중간 과정은 다소 과격했지만 …


 


우리도 좀 그렇게 하자.


행여 엉뚱하게 아래 노래가 풍자하듯 이상한 결론 내려서 막장으로 치닫는 따위 깡패 짓은 말고.


 


북에게 그리고 한, 미, 중, 일 모두에게 간절히 부탁하는 바이다.


 


 


 


 


Political Science


by Randy Newman (1972)


 


* 이 노래가 표현하는 정치적 견해는 영진공과 이 글 저자의 견해와는 별개임을 밝힙니다. *


 


 


 






 


 


 



No one likes us, I don’t know why
We may not be perfect, but heaven knows we try
But all around, even our old friends put us down
Let’s drop the big one and see what happens


 


아무도 우리를 좋아하지 않아, 왜 그런지 모르겠어,


우리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잘 하려고 노력하고 있잖아,


하지만 주위를 둘러보면, 옛 친구들까지도 우릴 실망시켜,


큰 놈 하나 떨어뜨리고 어떻게 되는지 한 번 볼까나 …



We give them money-but are they grateful?
No, they’re spiteful and they’re hateful
They don’t respect us-so let’s surprise them
We’ll drop the big one and pulverize them


 


쪼달린다고 해서 돈을 줬는데, 감사해하기는 커녕,


우릴 경멸하고 증오할 뿐이야,


존중 따위는 모르는 걔네들을 깜짝 놀라게 해 주자고,


큰 놈 하나 떨어뜨려서 아작을 내 버리자고,

Asia’s crowded and Europe’s too old
Africa is far too hot
And Canada’s too cold
And South America stole our name
Let’s drop the big one
There’ll be no one left to blame us


 


아시아는 인구가 너무 많고 유럽은 너무 오래됐어,


아프리카는 너무 덥고 말이야,


남미 애들은 우리 이름을 훔쳤잖아,


큰 놈 하나 떨구자고,


그러면 우리를 손가락질 할 사람은 하나도 남질 않겠지,

We’ll save Australia
Don’t wanna hurt no kangaroo
We’ll build an All American amusement park there
They got surfin’, too


 


호주는 살려두자고,


캥거루를 다치게 하면 안되잖아,


그리고 거기다 완전 미국식 놀이동산을 짓는 거야,


서핑도 즐기고 말이야,



Boom goes London and boom Paris
More room for you and more room for me
And every city the whole world round
Will just be another American town
Oh, how peaceful it will be
We’ll set everybody free
You’ll wear a Japanese kimono babe
And there’ll be Italian shoes for me


 


펑, 런던 아웃, 펑, 파리 아웃,


너와 나를 위한 넓은 땅이 생기겠지,


온 세상 구석구석에다가,


미국 도시를 하나하나 만드는 거야,


아, 그 얼마나 평화로울까,


그리고 모든 이들이 자유롭게 노니는 거지,


넌 일본 기모노를 입고,


난 이태리 구두를 신고,



They all hate us anyhow
So let’s drop the big one now
Let’s drop the big one now


 


우리가 뭘 해도 쟤네는 그냥 우리를 미워해,


그러니까 큰 놈 하나씩 떨궈주자고,


아주 큰 놈으로다가 ……


 


 


 


영진공 이규훈


 


 


 


 


 


 


 


 


 


 


 


 


 


 


 


 


 


 


 


 


 


 


 


 


 


 


 


 


 


 


 


 


 

“베를린”, 순정 마초, 양아치 마초, 찌질이 마초 이야기

 

 


 


 



 


 


류승완 영화의 메인 키워드는 딱 두개다,


마초와 쌈마이.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이래 그의 영화들은 대개 저 태그를 달고 움직인다.


그리고 그 특질은 최근 개봉작 “베를린”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독일의 베를린이라는 공간에서 남과 북이 벌이는 첩보활극 영화에,


역시 세 명의 마초가 등장하고 쌈마이 쌈박질이 가득하다.


 


순정 마초 하정우,


양아치 마초 류승범,


찌질이 마초 한석규,


 


 



 


 


사실 이 영화에서 플롯이나 스토리는 그닥 중요해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저 셋의 역할과 관계를 그대로 한국 어느 도시 골목 조직폭력배의 나와바리 싸움으로 옮겨놓아도 별반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형사와 범죄자는 같은 인물의 다른 면일 뿐이다”라는 법칙에 따르자면,


이런 현상에 그닥 거슬려 할 필요는 없어보인다.


 


게다가 권력과 돈에 집착하는 건 오히려 권력자들이 더 악랄하니까, 조직폭력배든 첩보원이든 어차피 꼬붕으로 소모되는 건 어느 쪽이라고 해서 더 멋지거나 할게 있을까.


 


 



 


 


그리고 이 영화에는 다 그렇듯 마초와 대비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냉철하고 계산 철저한 이경영,


똑똑하지만 순종적인 전지현,


저런 사람이 있었나 싶은 김서형,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 저들이 가장 크게 피해를 보거나,


그저 관심 밖에 놓여지게 된다.


 


 



 


 


이 영화,


각본 괜찮고 … 액숀 좋고 … 총격전 계산 잘돼있다.


 


그런데,


재미 좀 있어질라 치면 …… 지루해진다.



쌈박질이 쫄깃해질라 치면 …… 지루해진다.


내용에 몰입할라치면 …… 역시 지루해진다.


 



왜인고하니 각 Scene과 Take가 너무들 길게 늘어져서 집중력이 확 떨어진다.


그리고 사건의 배경이나 상황에 대한 설명히 너무 자상해서 마치 DVD 부록에 있는 감독 해설판 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본 시리즈가 가장 잘 한 게,


“어, 어” 하는 순간에 후딱 일 치르고,


상황에 대한 설명을 장면에 맞게 급박하게 툭 던져놓고,


다시 번쩍 다음 상황으로 넘어가는 거 였고,


 


이런 접근법이 요즘 첩보활극의 트렌드일텐데 … “베를린”에는 이런게 없다. 그게 좋은 건지 나쁜 건지는 관객 각자의 느낌이겠지만.


 


 




 


 


그리고 배우들이 너무 유명한 분들인 것도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하정우는 우리가 늘상 보아온 하정우인지라 그가 뭘 할지 다 알아채게 되고,


류승범도 우리가 늘상 보아온 그 캐릭터이고 … 한석규는 … 그냥 넘버 3다.


 


나 혼자만의 생각으로는 차라리 하정우랑 류승범이 역할을 바꾸어 나왔으면 더 좋았겠다 싶다.


 


어쨌든 정리하자면,


똑똑하고 잘생기고 돈많은 훈남인데,


입고 다니는 명품 옷에는 온통 그 상표가 찍혀있고,


여친과 주변 사람에게는 계속 잔소리를 늘어놓는 그런 느낌,


한 줄로 요약하자면 ‘국제첩보활극 버전 짝패’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영진공 이규훈


 


 


 


 


 


 


 


 


 


 


 


 


 


 


 


 


 


 


 


 


 

초보, 중수, 고수는 총잡는 자세부터가 다르다.



발달심리학자 J.R.Harris는 사람은 성장하면서 개성을 드러내는 과정이 마치 모래시계 모양이라고 한다.

나는 사회화는 일종의 모래시계 같은 모양을 갖는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처음에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개인으로 시작해서 집단의 압력에 의해 한데 묶여서 보다 비슷해진다. 그리고 성인이 되면 집단의 압력은 점차 약해지고 개인차가 다시 드러나기 시작한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더 독특해지는데 왜냐하면 자신들의 특이함을 숨기려는 노력을 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어른이 되면) 다른 사람과 달라져도 별로 심한 벌을 받지 않는다 (Nurture Assumption, Ch.15)

다시 말해서 우리는 어릴적에는 제각각 독특한 개성을 가진 존재였다가, 학교에 입학하고 또래 친구들 사이에서 왕따당하지 않으려 노력하다 보면 서로서로 비슷비슷해지고, 회사에 가서도 조직문화에 적응하느라 비슷비슷한 상태를 유지하다 점차 승진하고 간섭하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예전에 억눌러왔던 개성이 다시 드러나기 시작한다는 거다.

그럴듯한 얘기다.

그런데 이런 모래시계 모양은 다른 곳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그림 그리기를 생각해보자.
그림의 초보자들은 정말 제멋대로 그림을 그린다.
이 규제받지 않은 상태의 그림들 중에는 후앙 미로 같은 대가의 그림과 별 차이없는 개성과 창의성이 보이는 그림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냥 초보다운 어설픈 그림들이다. 그러다가 그림교육을 받으면 그림 그리는 방식들이 서로 비슷해진다. 이게 중급자 단계다. 이때도 재능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가 가끔 드러나긴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림만 보고는 어느 그림이 누구 건지 잘 분간이 안된다. 제대로 교육을 할수록 그림간의 차이는 적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림을 계속 그리다 보면, 그래서 그림 속에 자기의 마음을 담는 수준까지 이르게 되면 이제 그림속에 그린 이의 개성이 녹아들게 된다. 이게 고수의 상태다.
이건 글도 마찬가지고, 스포츠에서도 마찬가지다.

즉, 어디서나 초보는 제멋대로고, 중수는 획일화되어 있고, 고수는 다시 새로운 방식으로 제멋대로가 된다. 초보의 제멋대로는 미숙하기 때문이지만, 고수의 제멋대로는 기술을 통해서 자기 개성을 드러내는 경지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액션영화는 이런 초보와 중수, 고수의 차이를 드러내는게 매우 중요한 장르다.
총을 쥐고 겨누는 방식을 예로 들어보자. “스티븐시갈”이 총을 들고 약실을 확인하고 표적을 겨냥하는 방식은 조금씩 남들과는 다르다. 그렇지만 그럴 듯 하다. 그의 포즈는 전형적이지는 않지만, 어설픈 초짜 경찰이 덜덜떨며 총을 겨눌때의 느낌과는 전혀 다른거다.
 

실제 특수부대원들에게서도 이런 차이가 나타난다고 한다. 지난 20-30년간 FBI에서 가르치는 권총사격 자세는 계속 바뀌어 왔다. 그냥 카우보이처럼 무조건 뽑아서 쏘라고 가르친 적도 있고, 급해도 신중하게 가늠자와 가늠쇠를 정렬한 다음에 쏘라고 가르친 적도 있다(요즘은 후자란다). 쏠때도 방아쇠 울에 손가락을 걸라고 가르친 적도 있고, 그게 균형을 깨트리니까 그냥 손잡이만 마주잡고 쏘라고 가르친적도 있다. 그런데 FBI의 고참 수사관은 오래 전부터 훈련을 받은 사람이므로 이런 훈련방식의 변천과정이 그대로 몸에 배게 된다. 즉 이것도 저것도 아닌 자기만의 쏘는 방식을 체화하는 거다. 반면에 FBI 훈련소를 이제 막 마친 중수급의 신참 수사관은 훈련소에서 배운 대로 총을 쥘 것이므로 동기단위로 똑같은 포즈가 될 것이다. 이런 신참 수사관들도 관록이 붙으면 자기 체형과 경험에 맞는 자기만의 자세가 저절로 만들어진다.

우리나라 최초의 제대로 된 액션영화를 표방한, 『쉬리』에는 정말 여러 가지 애석함이 넘쳐난다. 스토리도 빈틈이 많고, 현장요원과 분석요원의 구분도 없는 첩보기관이라는 설정도 허술하고, 특수폭탄이 필요한 이유같은 개연성도 부족하다. 하지만 그런 애석함 중에는 이 특수요원들의 자세도 포함된다. 어떻게 된게 북한군 특수부대나 OP 요원들이나 총을 쥐고 겨누는 자세가 아주 똑같다. 그것도 고참 신참 구분이 없다. 어떻게 남한과 북한에서 똑같은 사격자세를 가르치겠는가, 그리고 “최민식” 같은 실전에서 잔뼈가 굵은 요원과 “한석규”의 자세가 같겠는가…. 뭐 나름대로 영화 촬영 전에 총기관련 훈련을 받은 결과라지만, 그래서 홍콩영화처럼 양손으로 쌍권총 난사하는 말같지 않은 장면을 없앴다고 자찬을 하더라만, 제대로 된 액션연출이 되려면 그것만으로는 2% 부족한 거다.
 

『쉬리』만 그런게 아니다. 사실 그 이후에 나온 총기를 다루는 영화에서 주인공들은 대부분 초보수준의 자세(이건 아예 훈련도 안시킨 거다)이거나 중수 수준의 자세에 머무른다. 거기엔 다양성도 없고 개성도 없다. 그냥 총을 쏘는거다. 사실 어떤 면에서는 총을 다루는 기본만 가르치고(쏠 일이 없을때는 반드시 방아쇠에서 손가락 뗀다 같은…) 나머지는 제각각 알아서 하게 하는게 더 그럴듯한 연출이 될 수도 있다. 개성을 드러내려면 실제 포즈의 미묘한 차이를 과장해도 되니까 말이다. 꼭 양손으로 총을 쥐어야 실감이 나는게 아니다. 고수쯤 되면 한손으로 총을 쏠수도 있지 않겠나.

대표적인 총 뺏아야 되는 포즈, 해머코킹 한 상태에서 방아쇠에 손가락 걸고 폼 잡기... 대략 오발사고 내고 싶어서 환장한 자세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나 『라이언 일병 구하기』 같은 영화에서도 출연진에게 군사훈련을 시켰다. 그런데 그 친구들은 당시 사격자세의 기본을 충분히 숙지했을 뿐만 아니라, 그게 획일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미묘하게 다른 차이까지 보여주곤 한다. 이러기 위해서는 단순히 총잡는 기본뿐만이 아니라, 그 기본의 다양한 패턴에까지 통달한 전문가가 필요하다.

우리 영화에서 초보와 중수 그리고 고수의 차이를 보여줄 수 있는 액션연출은 언제쯤이나 가능할까?

영진공 짱가

주홍글씨 (The Scarlet Letter, 2004), “잘 만들어진 에로틱 스릴러”


변혁 감독의 두번째 장편 <주홍글씨>는 웰메이드 에로틱 스릴러의 외피를 쓰고 있고 실제로 러닝 타임의 대부분을 이미 주어진 장르의 밑그림 위를 따라가는데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결국 탄탄한 기술적 완성도를 기본으로 장르의 컨벤션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면서도 말하고자 했던 주제를 부각시키기 위해 과감히 일탈하는 용기를 보여주는 수준작이다. 먼저 개봉한 <범죄의 재구성>과 <아는 여자>가 끝내 달성하지 못했던 마지막 2%에 해당하는 지점에 성큼 올라선 영화가 <주홍글씨>다. 비평가들과 관객들이 <주홍글씨>를 놓고 뭐라고 혹평을 하고 있는지 열심히 찾아보지는 않았지만 한석규의 컴백 등 영화에 쏠렸던 대중들의 관심에 비례하는 흔한 현상에 불과하다는 생각이다. 원래 큰 잔치에는 멀리 사는 거지들까지 죄다 몰리곤 하지 않던가.

물론 몇가지 아쉬운 점이 눈에 띄기는 한다. 주인공들이 영위하고 있는 비현실적인 생활 환경(트랜디 정장만 입어주는 강력반 형사들이나 재즈바에서의 현악 합주, 독신 재즈가수 집의 초호화판 인테리어)이나 몇 군데에서 발견되는 문어체를 벗어나지 못한 대사의 어색함 등은 잘 만든 영화이긴 하지만 왠지 아이 캔디를 우선 지향하는 에로틱 스릴러의 전형을 보는 듯 하다. 그러나 뻔한 내용의 불륜 영화를 패턴을 밟아가던 <주홍글씨>는 일순간에 지금까지 쌓아온 럭셔리 맨션 전체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모험을 감행한다. 허영의 불꽃을 뒤따르는 인과응보식의 전복적인 내러티브가 새로울 것은 없지만 <주홍글씨>는 정말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방법으로 전복을 제시하고 강조하고자 했던 주제를 뒤늦게 드러낸다. <주홍글씨>는 어느 누구도 절대 악인으로 내몰지 않으면서도 이제껏 관객들에게 보여주었던 모든 장면들을 새롭게 해석하도록 유도하고 있는데, 이 재해석된 영화의 요점을 관객들은 별로 달갑게 받아들이지 않는듯 하다.

개인적인 아쉬움은, <주홍글씨>에서의 ‘형벌의 공간’을 좀 더 지옥 같은 현장으로 남겨두었으면 좋지 않았겠나 하는 점이다. ‘장난 처럼 시작된’ 유혹과 그것에 응답한 인간이 어떤 형벌의 현장으로 인도받게 되는지를 부각시키려고 작정했었다면 두 남여 주인공의 애틋한(?) 과거지사를 밝힘으로써 면죄부를 부여하는 수순은 밟지 말았어야 했을텐데 <주홍글씨>는 마지막에 밝혀지는 감춰졌던 사연을 통해 완전한 희생자로만 보였던 인물 역시 같은 ‘죄와 벌’의 굴레 속의 동일한 존재로 끌어들이는 대신, 순수한 욕망의 화신들로 보였던 인물들에게는 동정의 여지를 남김으로써 주제의 부각을 약간 희석시켜버린 결과를 낳지 않았나 싶다. 피칠갑 보다 더욱 잔인한 지옥의 구현이 못내 아쉽다.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