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객>, “아쉬운 부분이 하나, 둘이 아니다.”

* 약간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식객>에 나름의 기대를 했던 건 그게 허영만의 작품을 원작으로 했기 때문이다.

원작이 그렇게 훌륭하면 <검은 집>처럼 대충 만든다 해도 재미가 있고,

<타짜>는 원작에 버금가는 재미를 선사해주지 않았던가.

하지만 <식객>은 어떤 감독이 메가폰을 잡느냐가 굉장히 중요하단 사실을 내게 가르쳐 준 영화에 그쳤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식객에서 아쉬운 부분은 하나 둘이 아니다.

첫째, 주인공인 김강우(성찬) 편인 정은표와 라이벌인 임원희(오사장)의 편에 선 김상호가 왜 군대 선후배 관계여야 하는가이다.

둘이 친해야 할 이유라곤 억지웃음을 유발하는 것 말고는 없었는데

설정 자체가 무리라 그런지 난 하나도 웃기지 않았다.

둘째, 오사장을 악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그려놨다.

요즘 트렌드는 악인과 선인의 경계가 모호한 게 특징인데,

꼭 그렇게 해야 할 이유는 없다해도

목적을 위해 수단 방법을 안가리는 오사장의 모습은 그냥 짜증스럽기만 했다.

게다가 악의 유전성까지 언급하는 것 같아 불편했는데,

이런 류의 선악구도는 좀 시대착오적이 아닐까 싶다.

셋째, 소를 잡은 대목.

좋은 소를 구해오라는 과제가 떨어졌을 때

성찬 주위의 사람들은 성찬이 기르는 소를 잡자고 하나

정은표는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을 타이른다.

“저건 소가 아니야… 성찬이 동생이야. 너 같으면 네 가족을 잡아먹고 싶겠니?”

하지만 성찬은 그 소를 잡음으로써 ‘동생론’을 편 정은표를 무안하게 한다.

성찬이 요리대회에 참여하는 계기는 오사장에 대한 경쟁심이 생겨서인데

내가 털 있는 동물을 좋아해서 그런 것도 있지만,

자신의 사적 목적을 위해 동생처럼 여기는 소를 꼭 잡아야 했을까?

까짓것 최고의 요리사로 인정 못받으면 어떤가?

그 소와 함께 호형호제하며 사는 게 더 행복하지 않을까?

“너희 희생을 헛되게 하지 않겠다”며 성찬이 울 때,

난 그게 악어의 눈물로밖에 보이지 않았다.

그 밖에도 <식객>은 잘 만든 영화가 아님을 여러 곳에서 증명하는데,

소의 근출혈을 뒤늦게 발견해 극적 효과를 노리는 유치함도 그 하나다.

만화 <식객>을 딱 두권밖에 못봐서 모르겠지만

원작은 이렇게 이상하진 않았다.

내가 기억하는 원작은 성찬이란 청년이 전국을 돌면서 맛을 찾는 거였는데

여기선 그게 요리대회로 탈바꿈하고 만다.

요리가 기술임은 분명하지만

미각이 100미터 달리기처럼 등수를 매길 수 있는 분야가 아닌 것도 사실 아닌가?

내가 세상에서 제일 맛있다는 홍대앞 떡볶이를

다른 친구는 자기 동네가 더 맛있다고 우기는 것처럼 말이다.

그런 대회에서 우승을 못한다고 해서 그 요리사가 실력이 없는 건 아닐텐데,

오사장이 종합 2위를 달린다고 해서 매출이 50%로 떨어진다는 발상도 지나치게 유치하다.

게다가 민족주의적인 내용으로 마무리를 하는 것도

요즘 트렌드로 봐서는 그리 현명한 선택이 아니었다.

내가 <한반도>를 괜찮게 평가하는 건

그 영화가 애초부터 그런 의도로 기획되었고

내용 자체도 그럭저럭 공감할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낭만자객>에서 난데없이 나오는 민족주의의 발현에 난 뜨악했고

그 비슷한 느낌을 <식객>에서도 받는다.

아무리 잘줘봤자 10점 만점에 7점인 이 영화는

TV에서 추석특선 시리즈로 나올 때 보는 게 나을 듯하다.

 

영진공 서민

<세븐데이즈>, 성공적인 상업 영화의 요건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외를 불문하고 최근에 볼 수 있었던 중에 가장 화려한 오프닝 타이틀로 시작하는 <세븐데이즈>는 비 오는 날의 추격 액션과 영화 후반부의 항공 촬영 장면, 그리고 생각해보면 영화의 제목부터가 데이빗 핀처의 <세븐>(1995)의 스타일을 많이 참조하고 있다는 인상을 줍니다. 물론 줄거리는 과대망상형 연쇄살인과는 거리가 멀지요. 백전백승을 자랑하는 여자 변호사의 어린 딸이 유괴를 당하고, 이 유괴범은 현재 사형 언도가 거의 확정적인 피의자의 변호를 맡아 무죄 판결을 받아내라고 요구합니다. 사건의 발단은 유괴이지만 실질적인 이야기의 진행은 살인 사건의 진상을 파헤치는 범죄 수사극이 됩니다. 비리 경찰 김성열(박희순)이 위기에 빠진 친구 유지연 변호사(김윤진)을 도와 거친 입담과 액션을 도맡습니다. 살인을 한 진짜 범인이 누구인가, 주인공 변호사는 자기 아이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인가, 그리고 아이를 유괴한 범인은 도대체 누구이며 왜 그런 요구를 한 것일까. 많은 의문들을 안고 영화는 폭주기관차처럼 달리다가 마침내 최종 목적지에 무난히 도착합니다.

<세븐데이즈>는 국내 극장가에서 흥행에 크게 성공할 수 있을 만한 요건들을 안팎으로 두루 갖췄습니다. 적당히 복잡하면서도 에피소드도 많은 잘 짜여진 추리극(“범인은 절름발이다!”식의 한 마디로 간단히 스포일링이 가능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범인의 정체가 영화의 전부는 아닙니다)을 기본으로 모성애라는 정서적 인입 포인트를 탄탄하게 깔아놓고 있습니다. 여기에 18세 이상 관람가 영화에 걸맞는 과감한 신체 훼손 장면의 전시, 분위기가 너무 딱딱해지지 않도록 중간중간 양념 구실을 해주는 쌈마이 대사들, 그리고 권력형 비리나 유학생들의 마약 복용 문제와 같은 ‘공공의 적’들에 대한 권선징악에 이르기까지 갖출 건 다 갖추고 나온 영화가 <세븐데이즈>입니다. 12년 전 전세계적으로 유명세를 떨친 헐리웃 영화의 기시감을 불러일으키거나 말거나, 이 정도 내러티브에 안정적이고 속도감 있는 연출이라면 전국의 젊은 관객들로부터 상당한 호평을 받을만 합니다.

<가발>(2005)과 <구타유발자들>(2006)을 통해 좋은 평가를 얻기는 했지만 대중적인 성공은 맛보지 못했던 원신연 감독이 이번에는 아주 작정을 하고 만든 듯한 한국형 블럭버스터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제작비가 엄청나게 들어가서 블럭버스터가 아니라 영화의 내용이나 스타일 면에서 상업적인 성공(영화관이 있는 블럭을 구름 같은 관객들로 버스트해버리는)을 가장 우선적으로 염두에 두고 만든 흔적이 역력하다는 얘깁니다. 의외의 반전들이 무척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등장 인물들의 캐릭터나 대사 전달 방식이 지극히 전형적이라는 점에서나 관객들의 정서를 불편하게 만들지 않으려고 선택되어진 결말, 그리고 이미 끝난 영화에 도마뱀 꼬리 같은 주석 장면을 굳이 덧붙여 넣은 부분들은 ‘지나친 것이 모자란 것 보다 낫다’는 한국형 대박 영화의 원칙을 충실히 따라준 결과라고 하겠습니다. 기왕에 목표했던 바를 크게 이루어 다음 작품에서는 흥행에 대한 부담에서 좀 더 자유로워진, 원신연 감독 특유의 작품을 다시 만날 수 있기를 바랄 따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신어지

Bob Dylan의 전대기 영화 미국에서 개봉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 예고편만 봐도 전율을 느끼게 해주는 것 같다

11월 21일, 미국에서 ‘밥 딜런’의 일대기를 다룬 <I am Not There>영화가 개봉했다. ‘밥 딜런’을 ‘크리스챤 베일’, ‘케이트 블랑쉐’, ‘히스 레져’, ‘리차드 기어’ 등등 6명의 배우가 시대별로 나누어 연기를 했다고 한다. 케이트 블랑쉐는 이 영화로 베니스 영화제 최고 여배우 상을 수상했고 감독 ‘토드 헤인즈'(<파 프롬 헤븐>, <벨벳 골드 마인>)는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IMDB User Rating은 8.2로 꽤 높은편이고, NYT의 기자 A.O. Scott 기사에 따르면 일분도 빼고 싶은 부분이 없다고 언급했다. 다들 ‘케이트 블랑쉐’의 연기가 괄목할만 하다고 하는데 (트레일러에 많이 등장한다.) 예고편만 봐도 잘했을 듯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명의 밥딜런

아 밥 딜런… ‘밥 딜런’에 대해 굳이 얘기하진 않겠다.
이 영화는 그전에 우리가 보아왔던 보통의 일대기 영화와는 확연히 다르다. 6명의 밥딜런… 흑인 소년부터 여자배우 ‘케이트 블랑쉐'(<반지의 제왕>의 그 아리따운 엘프여왕아닌가?) 판의 밥 딜런이라? 매우 흥미롭다.

게다가 ‘리차드 기어’는 제처 두더라도, ‘크리스챤 베일’에다가 <블로큰 백 마운틴>의 ‘히스 레져’라니 조연급에는 근래에 ‘수면의 과학’에 반갑게 얼굴을 보였던 ‘샬롯 갱스부르(밥딜런의 아내)’와 ‘줄리안 무어’까지 한사람의 전기영화라 하기엔 캐스팅이 너무 메가톤급이다. (특히 케이트 블랑쉐는 본좌의 관심여배우 중의 하나다. 짐 자무쉬의 영화 <Coffee and Cigarettes>에서 유명 여배우와 그의 동생을 1인 2역으로 연기했던 것에 소름이 돗았던 기억이 새록하다. 그녀는 이 영화에서 밥 딜런이 ‘Don’t Look Back’을 부르던 시절의 Jude를 흐느적거리는 밥딜런의 톤을 그대로 재현하지 않았을까 싶다.)

앤디워홀의 이야기를 다룬 (아니 실은 안티 앤디워홀의 이야기) <Factory Girl>에서도 잠시 느낄 수 있듯이 밥 딜런은 유명세를 치르며, 돈과 미디어에 완전히 휘둘러감긴 다른 셀레브리티들과 달리 자신만의 몸짓과 자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주력한 아이콘이다.

나는 밥 딜런의 노래는 난해하며 촌스럽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트레일러만 보고 감동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보았는데, 아무래도 그의 유약할 것만 같은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강한 메시지와 그걸 몸으로 실천한 것들에 대한 동경으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내가 세상이 변하고 좀 더 나아져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몸으로 실천한다거나 나의 메시지를 누군가에게 완전히 전하는 것은 사실 어렵다.

이런 영화를 접할 때마다 가끔씩 한번씩 폭팔하는 문화의 미국이 부러울 따름이다.

New York Times에서는 감독인 토드 헤인즈(Todd Haynes)가 이 영화를 만들기 위해 1960년대의 이미지를 수집한 포트폴리오를 감독의 목소리를 통해 슬라이드 쇼와 함께 볼 수 있다. 국내 개봉은 모 영화사에서 내년 1~2월사이 개봉할 확율이 높다 한다. 그때까지 위의 포트폴리오를 보면서 이 영화를 기다려 보자.

아참 들리는 소리로는 역시나 리차드 기어는 기대에 못 미친단다.

영진공 최지

[가사 검열] My One And Only Love

이 노래는 하루 어느 때 들어도 좋지만, 특히 저녁 시간이 제일 어울리는 듯 하다.
노래의 제목은 “My One And Only Love”.

John Coltrane의 색소폰 연주와 Johnny Hartman의 보컬이 어우러진 버젼이 최고의 작품이긴 하지만, 오늘은 Chris Botti의 트럼펫과 Paula Cole의 목소리로 들어보도록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명한 작곡가 Burt Bacharch도 등장하는 공연 실황이다.

그럼 모두들 즐감~ ^.^

My One And Only Love
By Chris Botti & Paula Cole

     The very thought of you makes my heart sing
     Like an April breeze
     On the wings of spring
     And you appear in all your splendor
     My one and only love

     당신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내 가슴은 노래 부르지,
     봄의 날개 짓에 울려 나오는 사월의 미풍처럼,
     그리고 당신은 화려한 광채를 발하며 서있네,
     내 단 하나의 사랑,

The shadows fall and spread their mystic charms
In the hush of night
While you’re in my arms
I feel your lips so warm and tender
My one and only love

밤의 고요 속에서,
당신이 내 품 안에 있을 때면,
그림자가 내려와 신비로운 마법을 펼쳐준다네,
당신의 입맞춤은 언제나 따사롭고 포근하지,
내 단 하나의 사랑,


The touch of your hand is like heaven
A heaven that I’ve never known
The blush on your cheek whenever I speak
Tells me that you are my own
You fill my eager heart with such desire
Every kiss you give sets my soul on fire
I give myself in sweet surrender
My one and only love

당신의 손길은 마치 천국의 느낌,
하늘 저 너머를 느끼게 하네,
내가 어떤 말을 해도 수줍게 띄어지는 홍조는,
그대가 나의 것임을 말해준다네,
내 갈망을 가득 채워주는 당신,
그대의 입맞춤은 내 영혼을 불타게 하네,
나 그대에게 모든 걸 바치리,
내 단 하나의 사랑,


The blush on your cheek whenever I speak
Tells me that you are my own
You fill my eagle heart with such desire
Every kiss you give sets my soul on fire
I give myself in sweet surrender
My one and only love
My one and only love

내가 무슨 말을 해도 수줍게 띄어지는 홍조는,
그대가 나의 것임을 말해준다네,
내 갈망을 가득 채워주는 당신,
그대의 입맞춤은 내 영혼을 불타게 하네,
나 그대에게 모든 걸 바치리,
내 단 하나의 사랑,
내 단 하나의 사랑,



영진공 이규훈

페더러를 이기는 방법

페더러와 페레르가 맞선 마스터스컵 결승전을

페더러 팬클럽 한국지부 회장이신 미스티님이 올려주신 하이라이트 동영상으로 봤다.

그걸 보면서 난 페더러를 이길 방법을 어느 정도 알아냈는데

나달이라면 “코트에 클레이를 뿌려라”가 정답이겠지만

페더러는 세계에서 나달 다음으로 클레이코트에 강한지라 대부분의 선수에겐 해당이 안된다.

하지만 페더러도 인간이었고

여러 차례 페더러를 위협한 페레러는 내게 페더러의 약점이 무엇인지 가르쳐 줬다.

첫째, 페더러가 있는 곳에서 가장 먼 쪽으로 강한 샷을 날려라.

페더러가 신 같지만 사실 못받는 공도 많다.

예컨대 페더러를 코트 오른쪽으로 몰아넣고 왼쪽으로 강한 샷을 날렸을 때

페더러는 뛸 생각도 안한 채 물끄러미 공을 쳐다보기만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둘째, 역동작을 이용하라.

페더러는 공이 어느 쪽으로 올지 예측을 잘하는 선수다.

그러니까 원래 치려는 방향으로 치지 말고 안치려던 방향으로 치는 거다.

예컨대 페더러가 득달같이 왼쪽으로 달릴 때

기습적으로 날린 오른쪽 방향의 샷은 그냥 위너로 연결됐다.

셋째, 드라이브 로빙을 시도하라

페더러는 나보다야 키가 크지만

테니스 선수 중엔 장신이 아니다 (페레르보단….한참 크더라)

페더러는 경기 중에 네트 대쉬를 하는 경우가 꽤 있는데

동영상을 보니 시즌 중반보다 발리가 훨씬 좋아져 아무리 패싱을 하려해도 다 걸린다.

하지만 페레르가 멋지게 띄운 로빙은 페더러의 머리를 훌쩍 넘어 라인 근처에 떨어졌다.

그러니까 페더러가 네트에 대쉬하기만 하면

빠른 속도의 드라이브 로빙을 올림으로써 페더러를 당황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넷째, 서브 코스를 어렵게 하라.

과거 샘프라스가 지존으로 군림한 건 서브 스피드 때문은 아니었다.

스피드는 오히려 이바니세비치가 더 셌지만

샘프라스는 서브 코스의 선택에서 워낙 탁월해

세컨 서비스에서도 곧잘 포인트를 만들어 냈다.

그러니까 로딕도 “이렇게 빠른데 받겠냐”며 서브 속도만 무작정 늘릴 게 아니라

코스를 좀 어렵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

페레르와의 경기에서 페더러는 딱 한개의 서브 에이스를 허용했는데

그게 바로 센터라인 끝에 걸리는 서브였다.

맨날 거기로만 넣으면 눈치를 채니 바깥쪽 깊숙히 흘러나가는 서비스를 교대로 사용함으로써

페더러가 미리 예측을 못하도록 해야 한다.

페더러의 리턴이 아무리 좋아도, 못받게 들어오는 서브는 못받는다.

다섯번째, 미녀를 멀리해라

이런 말 하긴 좀 그렇지만 페더러의 유일한 약점은 여친이란다(?).

그렇게 미모가 아닌 여친을 사귀는 게 페더러의 매력이기도 하지만

바꿔 말하면 그건 페더러로 하여금 테니스에 전념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클리스터스와 사귄 휴이트는 왜 몰락한거야?)

과거 잘나가던 선수들 중엔 여자의 매력에 홀려 경기력이 저하된 경우가 있는데

너무 미모만 따지지 말고 테니스에 전념할 수 있는 여친을 사귀는 게 좋다.

아예 안사귀면 더 잘칠 것 같지만 그런 것도 아니다.

그 경우엔 유혹이 아주 많아, 경기력에 더 마이너스다.

페더러를 보라.

한국에 여성 팬이 많다니까 “여친이랑 같이 왔다”고 하지 않나.

여섯번째, 마인드 컨트롤을 해라.

페더러는 아무리 어려운 경우에도 냉정을 잃지 않는다.

멋진 샷을 날렸을 때도 기껏해야 주먹을 쥐는 정도고

경기가 끝나기 전까지는 얼굴에 감정을 드러내는 법이 없다.

반면 다른 선수들은 어떤가.

사핀은 자신의 심리상태를 행동으로 다 드러내고

바그다티스는 뭐가 그리 힘든지 라켓을 휘두를 때마다 “끄응—” 하고 신음소리를 낸다.

사실 페더러도 인간인데 왜 희노애락이 없겠는가.

그냥 참는 거다. 왜? 무표정한 척하면 상대가 지레 겁을 먹으니까.

페더러는 아마 분노를 터뜨리는 상대방을 보면서 자신이 이겼다고 좋아할 거다.

안된다고 고개를 절래절래 흔드는 로딕을 보면서 더 힘이 솟지 않겠는가?

아무리 화가 부글부글 끓어도 아무렇지도 않은 척 해봐라.

페더러의 얼굴에 당황의 빛이 나타날 거다.

페더러가 로보트처럼 생긴 조코비치와 날바디안에게 졌다는 건

감정조절이 페더러에게 무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준다.

어떤가. 당장 라켓을 들고 한판 붙자고 페더러에게 달려가고 싶지 않은가.

이기고 나서 내게 한턱낼 필요는 없다.

우승상금으로 받은 돈 중 우수리만 떼어주면 된다.

120만8천달러라면 8천달러를 내게 주는 거지. 음하하하핫.


영진공 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