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과 MS, 지향점의 차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파인만이 쓴 [파인만씨, 농담도 잘 하시네]라는 자서전이 있다. 거기서 파인만은 다른 동료 물리학자들과 함께 컴퓨터를 처음으로 접했을 때의 일을 언급하며, 동료 중 한 사람이 “컴퓨터를 이용해서 결과를 도출하는 게 아니라, 컴퓨터 자체를 다루는 재미에 빠져 업무를 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지금 곁에 책이 없어서 정확한 원문을 언급하긴 어렵지만, 대충 그런 뉘앙스의 말이었다)



그리고 매킨토시의 아버지라 불리는 제프 래스킨 교수는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하기도 했다.




“운영체계에 대한 나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업하기 위해 거쳐가야 할 것. 운영체계는 자동차 엔진의 피스톤 같은 역할을 해야 합니다. 운전하는 사람이 들여다 보거나 만질 이유가 거의 없는 것처럼요.”



또한, 예전에 내가 번역했던 Usable GUI Design : A Quick Guide(원문 링크는 소실, 번역문 링크로 대체)라는 글에선 첫머리부터 이런 주장을 펼친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려 들지 않는다 … 사용자는 작업을 가능한 빠르고 쉽게 끝내고 싶어하며, 어플리케이션은 그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도구다. 어플리케이션을 배우고 다루는데 들이는 시간만큼, 사용자는 자신의 할 일을 뒤로 미뤄야 할 것이다 …”




여태껏 다른 사람들의 말을 주구장창 늘어 놨는데, 이걸 간단히 요약하자면 “컴퓨터고, OS고, 어플리케이션이고, 도구일 뿐이다. 복잡하게 만들지 마!”로 정리되겠다.


물론 해커라던가, 너드라던가, 파워 유저라는 사람들은 절대로 이 주장에 찬동하지 않을 것이다. 그럴 수밖에 없다. 그런 사람들은 컴퓨터로 뭔가 결과를 얻기보다는 컴퓨터 자체를 가지고 노는 재미에 빠진 사람들이니까. 고백하건데, 한때 나도 그랬다.

MS는 해커 – 혹은 파워 유저의 논리에 충실하다. 어쨌든 이거저거 다 조작하고, 변경하고, 바꿀 수 있다. 하다못해 오피스 소프트웨어의 메뉴 위치까지도 옮겨놓을 수 있을 정도다. UI 최적화를 하기보다는 자유롭게 UI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잘못하면 시스템 퍼포먼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까지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적합한 환경을 스스로 꾸밀 수 있게 하는 것, 그것이 MS의 철학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써드파티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역시 이러한 철학에 충실하다.



하지만 애플은 이와는 다르다. 철저하게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작업 환경을 만들어 제공한다. 그걸로 끝. UI 변경? 글쎄, 창닫기 버튼 색깔 정도는 바꿀 수 있겠지만 …… 기능 설정? 멍청한 사용자 주제에 감히 어딜 건드리겠다고, 버럭!




MS의 방식은 개발자에게 적합하다.
골치 아픈 사용성은 나중에 생각하고, 뚝딱뚝딱 만들기 좋다. 같은 개발자라거나 해커, 너드, 파워 유저들은 쌍수를 들어 환영할 것이다. 그래, 모름지기 컴퓨터라면 이래야지! OS라면 이래야지! 어플리케이션이라면 이래야지! 내 맘대로 확장하고, 바꿀 수 있어야지!



반면, 애플의 방식은 대부분의 덤앤더머 …… 아니, 일반인들에게 적합하다.
OS나 어플리케이션에 익숙해지기까지의 학습 곡선이 상당히 짧다. 어라, 그냥 굴리니까 되네? 어라, 그냥 문지르니까 되네? 그래, 내가 원한 건 이렇게 간단한 거야! 복잡한 건 파워 유저니 뭐니 하면서 잘난 체 하는 피터 파커 같은 안경잽이들이나 쓰라고 해!



이 둘의 지향점이 극명하게 대비되는 것이 맥용 어플리케이션인 스크라이브너 scrivener(http://www.literatureandlatte.com/scrivener.html )와 윈도우용 어플리케이션인 드림노트( http://ukino.com/?mid=dreamnote)이다.

둘 다 소설가 또는 시나리오 작가가 글을 쓰는 데 최적화된 작가(Writer)용 툴로써, 어느 쪽이건 개발자는 한 명뿐이다. 실질적인 개발 능력에선 별 차이가 없으니만큼 공평한 비교가 가능할 것이다.





참고샷 : 스크라이브너 화면



참고샷 : 드림노트 화면




기능을 보면 당연히 드림노트 쪽이 훨씬 많아 보인다. 캐릭터도 따로 관리할 수 있고, 지도도 만들 수 있고, 하여간 이거저거 다 된다. 그러나 그게 전부다.


직접 써 보면 “도대체 이걸 뭐 어쩌라는 거지?”란 생각이 들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개발자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을 분주히 집어넣는 데 몰두한 나머지, 다른 사람들도 자신과 비슷한 인종일 거라고 착각해버린 것이다(주 1). 하지만 작가는 개발자보다는 덤앤더머에 가까운 인종이다(나도 요즘 그렇게 퇴화되어 가고 있다!)



스크라이브너는 이와는 정반대다. 기능은 부족할진 몰라도 우아하고 편안하다. 스크린샷만 봐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꼭 필요한 기능을 덤앤더머 …… 아니, 작가들이 쓰기 편하게 배치시켜 놨다. “이런 기능이 있으면 좋겠는데”라는 아쉬움은 있지만, 그저 아쉬움일 뿐이다. 용납하지 못할 정도는 아니다.



여태까지는 MS의 방향이 옳다고 믿어지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점차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를 접하게 되고, 컴퓨팅 환경이 휴대용 기기로 확산되면서부터는 서서히 애플 쪽으로 저울추가 기울고 있다. 어찌 됐건 이 세상엔 개발자나 해커, 파워 유저보다는 일반유저가 압도적으로 많으니까.



그나저나 스크라이브너 2.0은 대체 언제나 나오려나? 이번엔 제발 타임라인 기능이 추가되어 주기를, 제발!




(주1: 드림노트 개발자의 명예를 위해 미리 밝혀두지만, 혼자서 이만한 기능을 갖춘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는 건 정말 대단한 일이다. 만일 제대로 된 기획자가 UI를 정비한다면 드림노트도 상당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영진공 DJ Han

초난감 기업의 조건, “폭소 속에도 교훈은 있다.”

주변의 서평이 하도 좋아서 사본 책이다.

이 책, 확실히 재미있다. 잘 나가던 기업들이 멋지게 몰락한 사례를 열거하며 후련하게 까는 맛은 일품이다. 하지만 재미와 사실은 좀 별개의 문제다. 이를테면 여기서 언급한 ‘오즈본 효과 (주 1)‘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게리 킬달에 관한 얘기도 사실이 아니다 (주 2).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선 되도록 좋은 얘기만 쓰고 있는데, 마이크로소프트가 애플 협력사였던 Canyon Company에서 제공받은 애플 퀵타임 코드를 이용해 Video for Windows를 개발했다는 얘기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이건 MS의 반독점 재판의 이슈 중 하나였다). 인터넷 거품기업 중 하나로 언급된 아마존에 관해선, 글쎄, 지금 아마존이 얼마나 잘 나가고 있는지를 얘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

아무튼간에 이거, 첫장부터 ‘초우량 기업의 조건’이 데이터를 조작했다면서 신랄하게 까댄 사람이 할 짓은 아니잖아?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런 류의 책을 쓰다 보면 어떨 때는 주관이 개입할수도 있고, 어떨 때는 잘 다듬어진 데이터를 인용할 수도 있다. 어차피 읽는 사람 입장에선 상관없는 일이다. 독자들이 이 책을 사 보는 주된 목적은 잘 나가던 애덜이 보기좋게 망해 자빠지는 이야기를 보면서 열광하기 위해서다! 한 기업의 몰락을 보면서 비극적 카타르시스를 느끼기보다는 자극적인 폭소를 터뜨리기 위해서다!

그러려면 구라도 좀 치고, 과장도 할 수 있는 거지, 뭐…… 요컨대 여기 언급한 사례들이 얼마나 진실에 가까울지, 그리고 저자가 과연 기업들의 실패 요인을 정확하게 분석한 것인지 여부는 알 수 없는 수수께끼에 가깝다. 덤으로 책 말미의 결론도 무척이나 밋밋하다. 이 역시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건 [소니 침몰]처럼 진지하게 회사를 걱정하며 써내린 것도 아니고, 뭔가 교훈을 줘야 하는 도덕책도 아니고, 지식을 선사해 줘야 하는 경제학 서적도 아니니까.

그러니 이 책에서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법을 배울 거란 기대는 일찌감치 접는 편이 좋다. 그건 과도한 기대다. 그보다는 갑갑하고 지루한 출퇴근 시간을 낄낄대며 유쾌하게 보낼 수 있는 읽을거리로써의 가치를 추구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18,000원이란 값어치는 하고도 남는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영진공 DJ Han

[주 1] 80년대 오즈본 컴퓨터는 세계 최초로 본격적인 휴대용 컴퓨터를 개발해 엄청난 급성장을 이뤘다. 그런데 업그레이드된 제품이 나올 거란 사실을 너무 일찍 발표하는 바람에 현재 제품이 팔리지 않게 되어 매출이 극적으로 급감, 결국 회사가 도산하게 됐다는 데서 ‘오즈본 효과’란 말이 만들어졌다.

그런데 2005년, 80년대 당시 오즈본에서 근무했던 마이크 맥카시는 오즈본 컴퓨터의 몰락 원인이 경쟁사인 케이프로의 신제품에게 가격 및 성능에서 철저하게 밀렸기 때문이란 사실을 밝혔다. 여기 대해선 영문 위키피디아의 글 (http://en.wikipedia.org/wiki/Osborne_effect )을 참고해 보기 바란다.

물론 오즈본 효과란 말은 일반명사화되었기 때문에 달라질 건 아무것도 없겠지만.

[주 2] 게리 킬달이 비행기를 타러 가느라 IBM협상단을 화나게 해서 협상이 파토났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 실제로는 오후에 돌아와 게리 킬달이 직접 협상을 진행했지만 이런저런이유로 결렬됐을 뿐이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가 IBM에게 제공한 MS-DOS는 CP/M의 특허권을 침해한 제품이었다. 하지만 게리 킬달의 고문변호사가 소프트웨어의 지적재산권 침해로 소송을 진행할 수 있을지 여부가 불분명하다고 조언하는 실수를 저질렀는데, 사실은 이거야말로 정말 엄청난 실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