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공포영화를 즐기는 이유


공포영화를 즐기는 이유를 심리적으로 설명하자면

첫 번째,
같은 경험도 반복함에 따라 불쾌감이 쾌감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과정이론(opponent process theory)에 따르면 처음에 불쾌하던 경험들이 반복하면 할수록 오히려 쾌감이 증대된다고 하죠.


중독성 음식들이 대개 처음 먹는 사람들에겐 불쾌감을 주고, 헌혈이나 고공낙하 같은 것도 처음에는 공포와 긴장을 유발하지만
익숙해질수록 오히려 쾌감이나 안도감을 더 많이 줍니다.

공포영화도 그런 경우로 설명이 됩니다.
반복단련과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의미라 하겠죠.




두 번째,
공포영화는 미스테리이기도 합니다. 그것도 아주 절박한 미스테리죠.


공포영화의 주인공에겐 왜 이런 일이 벌어졌고, 범인이 누구이며, 나는 어떻게 해야 살아남을 것인지를
알아내고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진 셈입니다.
그걸 제때 알아내면 살고 그러지 못하면 죽죠.

이렇게 절박한 미스테리에서는 관객들도 주인공에게 감정이입하기 좋습니다.



세 번째,
공포영화의 사회적 의미도 있습니다.
공포영화를 보는 순간 극장안의 모든 사람은 하나의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모두가 공포라는 감정을 공유하게 되는 거죠. 영화를 만드는 사람도,

그걸 같이 보는 사람도 아주 뚜렷하고 단순한 감정으로 하나 될 수 있다는 건

상당히 매력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죠. 사회적인 욕구가 반영된 셈입니다.

네 번째,
공포영화는 원초적 감정의 해방구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공포영화에서는 필연적으로 죽음이나 분노, (원초적)죄의식, 원한 같은 원초적인 감정을 다룹니다.
그 감정들은 누구나 경험한 것이지만 평소에는 쉽게 표출하기 어려운 것들이죠. 공포영화라는 장르에서만 해방시킬 수 있는 감정인 셈입니다.



물론 공포영화를 즐기는 사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습니다. 그 차이는 생래적 기질과 후천적인 경험으로 설명해야겠죠.

 

우선 생래적으로 자극추구성향이 강한 사람들과 아닌 사람들이 나뉩니다. 자극추구성향이 강한 사람들일수록 더 짜릿하고 위험한 경험을 찾습니다. 이들에게 일상생활은 지루함으로 가득차있죠.


차를 몰아도 더 빨리, 더 위험한 길로 운전하고, 일을 하거나 놀이를 해도 사고나기 쉬운 방식을 선호하는 사람들입니다. 형사
, 격투사, 특수부대원, 좋지 않은 경우에는 범죄자가 되기 쉬운 사람들이죠.


하지만 대개의 사회에서는 지나친 자극추구를 막습니다. 고로 이들은 평소에 약간 좌절된 상태인데, 공포영화는 그런 사람들에게 대안이 되죠.


반면 자극추구성향이 낮은 사람들은 일상생활 만으로도 충분한 자극을 받습니다. 지나친 자극에는 거의 토할 것 같은 경험을 하게 되죠. 공포영화는 이들에겐 엔터테인먼트가 아니라 고문이 됩니다.




후천적으로는 공포영화에서 다루는 주제들이 개인적 경험과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겠죠. 특히 우리나라 공포영화들의 배경은 가족이나 이웃공동체의 관계와 연관이 많습니다. 영화를 보며 예전에 겪었던 무엇인가를 떠올리게 되면 그냥 영화가 아니라 좀더 깊숙한 경험이 될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이게 반드시 불쾌한 경험이 되는 건 아니죠.
아시아 공포영화가 그런 식인 이유는 아시아 관객들이 모두 그런 경험 맥락을 공유하기 때문이니까요.


어쨌든 첫 공포영화의 경험이 심한 불쾌감이 되면 알러지와 비슷하게 다음 번 경험은 더 나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건 처음 말한 반대과정이론과는 다른 경로인데 둘의 차이는 경험 초기가 아니라 경험이 끝난 다음에 있습니다.


반대과정 이론이 성립하려면 첫 경험이 처음에는 불쾌했어도 끝난 뒤에는 평소보다는 덜 불쾌한 상태로 되돌아와야 합니다.
만약 그 첫 경험이 처음부터 끝까지 불쾌감으로만 가득하다면 반대과정이 작동할 여지가 사라지니까요.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