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경의 캐릭터는 거의 정신적으로 덜 자란 애어른에 가까울 지경이 되었는데 – 그런 캐릭터에 맞춰 둥글둥글하게 살집을 찌우고 출연했다 – 그런 엉뚱함 덕분에 영화 전체가 더욱 재미있어지기는 했지만 홍상수 감독의 영화에서 처음으로 작위적인 느낌을 받게 된 이유가 되기도 한다.
홍상수 감독 영화의 관객 친화적인 성향은 나레이션의 활용을 통해서도 드러나는데 관객들에게 극중의 상황을 명시적으로 해설해주기까지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는 데에는 효과가 꽤 있는 것 같다.
<하하하>는 선후배 사이인 문경(김상경)과 중식(유준상)의 술자리 대화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형식을 띄면서 매번 두 인물의 나레이션이 섞이게 된다.

이것은 지난 15년 간의 작품 활동을 통해 홍상수 감독이 관객들을 – 비록 일부 관객층에 제한되는 것에 불과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 학습시켜온 일종의 성과라는 생각마저 든다.
그렇다. 홍상수 감독의 영화를 지속적으로 보아온 관객들은 처음으로 의식적인 학습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영화의 형식미라는 것을 내용 보다 우선시해서 즐길 수 있게 된 사람들이 아닐까 싶다. 마치 10 여 년 이상 동일한 소재로 그림을 그려온 화가처럼, 홍상수 감독도 매번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조금씩 다른 형식으로 변주하며 작품을 만들어 냄으로써 자연스럽게 영화를 예술 감상법으로써 대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할 수 있는게 아닐까.

영화 예술만의 고유한 형식 미학을 찾기 위해 온갖 고민과 실험을 해온 다른 분들의 노고에 비하면 일견 시시하게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홍상수 감독의 영화의 형식미는 그것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관객들과 제법 조응을 잘 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렇게 댓구의 변주를 매번 새롭게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하하하>는 다시 한번 큰 재미를 선사하는 작품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경과 중식이 청계산에서 막걸리를 마시며 각자가 경남 통영에서 겪었던 일을 한 대목씩 들려주는데 두 사람은 통영이라는 같은 공간에서 거의 비슷한 사람들을 만나고 왔으면서도 서로 간에는 한번도 마주치지 않는 기묘한 플롯을 보여준다.
이들이 각자 다닌 식당, 모텔, 커피숍 등은 모두 동일한 장소일 뿐만 아니라 사실상 거의 같은 시점에 일어나는 일들임에도 두 사람은 천연덕스럽게 “아 그런 일이 있었구나. 자 마시자”라며 씨퀀스 사이사이에 흑백의 스틸컷으로 등장해 추임새를 넣곤 한다. 어찌보면 두 사람의 대화는 이승과 저승의 중간 어딘가에서 나누고 있는 듯한 느낌마저 주는데 이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생시 같고 막상 이야기를 하고 있는 두 사람은 이 세상 사람 같게 느껴지지가 않으니 이 역시 <하하하>의 독특한 형식적 재미가 아닌가 싶다. 그렇기에 <하하하>에서는 그 놈이 다 그 놈 같고 그 년들도 다 같아 보인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2009)에서 엉까지 말라면서 버럭대던 유준상이 이번 작품에서 당당히 주연 자리를 꿰어찼듯이 김규리도 다음 작품에선 주연으로 나와주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을 가져본다.
우리나라 영화 배우들에게 홍상수 감독 영화는 연기파 배우의 산실이자 재활 공장 같은 존재가 아닌가 싶다. 저예산으로 만들어지고 관객도 그리 많이 드는 편은 아니지만 일단 출연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 대부분 다른 좋은 출연 기회를 잡곤 한다. 홍상수 감독 영화가 갖춘 나름대로의 선순환하는 에코 시스템 – 친환경 말고 생태계 – 이기도 하다.

생각해보면 홍상수 감독의 영화는 전국 각지를 순회한다. 딱 한번 <밤과 낮>에서 파리로 해외 순방을 다녀오시기도 했었지. 대강의 시납시스만 들고 배우들과 지방에 내려가서 그날 그날 대사를 적어놓은 종이 쪼가리를 나눠주면서 영화를 찍는다더라. <하하하>는 홍상수 감독의 남녀탐구생활 시리즈, 경남 통영편이다.
““하하하”, 홍상수식 남녀탐구생활 경남 통영편”의 한가지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