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외화내빈의 글로벌 프로젝트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외화내빈의 영화다.
못만든 영화가 분명 아닌데 다른 무엇보다 재미가 없다.

다행히 제작비는 불과 5천만 달러 수준으로, 세계의 미래가 될 도시 상하이의 1941년을 배경으로 찍는 이 글로벌 프로젝트에 유명 배우들께서 적은 개런티를 감수하며 흔쾌히 출연해주셨던 덕분인 것 같다. 배우들의 개런티가 적은 편이었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는 근거는 단순히 총액 규모가 작기 때문만은 아니고, 영화 속에 당시 상하이의 모습이 꽤 충실하게 재현되어 세트 비용이 상당했을 거라는 짐작을 하기 때문이다.

가끔 영화 속에서 컴퓨터 그래픽으로 재현한 옛 도시의 모습을 보곤 하는데 <상하이>에서 재현된 당시의 모습은 그 보다 훨씬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접근한 듯 하다. 상하이에서 촬영을 하지 못하게 되자 방콕에서 로케이션을 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당시의 상하이를 재현한 광경 전체가 거대한 세트였다는 이야기가 된다.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나레이션을 통해 소개가 되듯이 1941년의 상하이는 중국 내에서 유일하게 일본이 강점하지 못하고 있던 도시였고, 그 이유는 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한 세계 열강들이 상하이에서 만큼은 쉽게 물러나주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미국의 스파이 한 명이 암살을 당하게 되고, 그의 친구이자 동료인 폴 솜즈(존 쿠삭)가 사건의 경위를 파헤치기 시작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일본군에게 붙들려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 험악한 상황을 기본 배경으로 영화는 점차 모든 미스테리의 열쇠를 쥐고 있는 인물, 일본인 이중 스파이 스미코(키쿠치 린코)를 신변을 확보하는 일에 집중된다.정확히 왜 스미코가 중요한 인물인 것인지를 파악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건만 설상가상으로 스미코는 찾자마자 이내 죽어버리고, 그 앞에서 일본 군부의 대표선수 다나카(와타나베 켄)는 스미코와의 삼각관계 때문에 주인공의 친구를 죽였던 것이라고 고백을 한다 – 이쯤 되면 <황해>에 이은 난감함과 허무함 시리즈의 훌륭한 속편이 될 자격을 갖춘 셈이다.


1941년에 이루어진 일본의 진주만 공습의 막후 배경이 상하이를 배경으로 펼쳐질 것이라는 새로운 역사적 발견에 대한 기대와 달리, <상하이>에서 1941년의 사건이란 등장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의 입을 통해 전혀지는 놀라운 소식에 불과하다.

상하이 내에서 만큼은 아슬아슬하게나마 유지되고 있었던 국제 관계는 삽시간에 아수라장이 되고 영화의 후반부는 상하이에서 급히 철수하는 미국인들 틈바구니에 끼는 데에 성공하는 주인공들을 비출 따름이다. 주인공의 친구가 죽지 않았다면 스미코가 다나카를 통해 빼돌린 정보가 미국에 알려져서 진주만 공습을 사전에 막을 수 있었다는 얘길 하고 싶었던 걸까? 본래의 의도는 잘 모르겠지만 관객들에게 그런 식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은 확실하다.

미국과 일본, 중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스타들은 자신들의 유명세가 결코 헛된 것이 아님을 증명하듯 모자라지 않는 좋은 연기를 보여주고 스웨덴 출신의 미카엘 하프스트롬 감독의 연출 역시 우려했던 것에 비해 훨씬 안정된 편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문제는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맥락 자체가 처음부터 끝까지 너무 산만하기만 하다는 데에 있다.

누구나 한번쯤 알고 넘어가야 할 역사적 사건을 직접 다루는 것도 아니오, 숨막히는 첨보 액션이거나 그 안에서 피어나는 한 떨기 멜로물을 제대로 피워보는 것도 아닌 <상하이>를 도대체 왜 만든 거냐고 물어보고 싶은 안타까운 심정, 그것 하나만 확실하다.



영진공 신어지





 

“허트 로커”, 전쟁과 인간만 달랑 남았구나






지난번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과 감독상을 포함한 6개 주요 부문의 상을 수상한 작품이죠. 캐서린 비글로우 감독에게는 첫번째 여성 감독상 수상자로서의 영예까지 안겨다주기도 했습니다.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전 부인 – 들 중에 하나 – 으로도 알려진 캐서린 비글로우 감독의 대표작은 역시 <폭풍 속으로>(1991)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패트릭 스웨이지와 키아누 리브스 주연의 이 아드레랄린 넘치는 범죄 액션물은 에드가 라이트 감독의 코미디 <뜨거운 녀석들>(2007)에서 대놓고 찬미될 만큼 줄거리와 연출 스타일에 있어서 남성적인 기운으로 가득한 작품이었어요.

그외 <블루 스틸>(1990)이나 <스트레인지 데이즈>(1995) 역시 여성 감독의 영화에 대한 편견을 거부하는 선굵은 스토리라인과 액션 장면들로 매우 인상적인 작품들이었습니다.











아카데미가 작품상을 안겨준 이라크 전쟁 소재의 영화라고 하더니 과연 이제껏 보아온 이라크 전쟁 영화들과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습니다. 대부분 이라크 전쟁 영화라고 하면 전쟁 반대파의 목소리를 담아 그 허구성이나 복잡한 미국 내 또는 국제 정치의 맥락 위에서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었죠. 그런데 아카데미의 지지를 얻은 이 <허트 로커>라는 영화는 이라크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는 있으되 굳이 이라크 전쟁이어야만 했을 이유가 없는, 매우 일반적인 전쟁 영화 – 말하자면 전쟁과 그 안에 몸 담고 있는 인간에 관한 매우 미시적인 접근을 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던 이라크는 없고, 오직 전쟁과 인간만 남아있는 작품이랄까요.



물론 영화의 주요 소재가 되고 있는 이라크 저항군의 폭탄 테러는 후세인 정권이 붕괴되고 그 안에 미군이 주둔하고 있는 이라크 내의 현재 상황과 매우 밀접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이라크 전쟁의 의미를 캐묻기 보다는 등장 인물들이 전쟁 상황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보이는 듯 합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라크 전쟁을 소재로 하기는 하되, 이라크 전쟁의 정치적인 맥락을 배제함으로써 좀 더 전통적인 전쟁 영화로 비춰지는 것이라 할 수도 있겠습니다. 등장 인물들이 그 안에서 영웅 놀음을 하는 것이 아니라 괴로워들 하고 있으니 반전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까지 볼 수도 있기는 하겠네요 – 그럼 안그런 전쟁 영화가 어디 있겠느냐고 하실런지 모르겠지만 <바스터즈 : 거친 녀석들>(2009)도 전쟁 영화이기는 하되 그런 느낌이 훨씬 덜 했던 작품이었던 거죠.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

 









<허트 로커>는 거의 다큐멘터리처럼 느껴질 정도로 매우 사실적으로 전쟁 상황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가이 피어스와 랄프 파인스조차 영화 속에서 단명하는 역할을 맡아야 했을 만큼 감독은 어느 누구든 눈 깜빡 할 사이에 바로 죽어나갈 수 있는 긴박한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폭발물 제거반인 주인공들을 따라다니는 작품이니 서스펜스의 수준은 거의 공포 영화가 따로 없을 정도이지요. 그러다 임무를 잘 마치고 BOQ에 ‘살아’ 돌아온 주인공들이 노는 꼬락서니는 영락 없는 <폭풍 속으로>에서의 아드레랄린 과다 상태의 남성들입니다. 그 중에서도 제임스 상사(제레미 레너)는 일종의 전쟁 중독증이 아닐까 싶은 인물로 그려지는데, 남들은 로테이션 근무가 무사히 끝나기만을 바라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남은 삶의 의미는 한 가지 밖에 없다며 처자식을 내버려두고 다시 전쟁터로 돌아가기까지 합니다.




자연스럽게 전쟁의 비극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고, 배우들의 연기나 사실적인 연출에 대해서는 특별히 이견을 달기 힘든 잘 만들어진 영화인 것은 분명하지만 <허트 로커>를 통해 특별히 어떤 메시지를 건져낼 수 있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물론 모든 영화에서 명시적인 메시지를 찾고자 하는 것 만큼 스스로 영화의 재미를 제한하는 어리석은 짓이 따로 없다는 사실을 잘 알지만 적어도 이라크 전쟁을 소재로 하는 영화에서, 더군다나 매년 그 결과에 주목하게 되는 유명 영화 시상식의 작품상과 주요 부분을 휩쓴 화제작에서 내가 알고 있는 전쟁에 관한 공감대를 얻지 못한다는 건 아무래도 불편한 일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허트 로커>에서 묘사된 전쟁이요? 당연히 참혹합니다. 하지만 인류 역사에 참혹하지 않았던 전쟁이 어디 한 번이라도 있었습니까? 폭발물 제거반이라서 특별한 영화가 된 것인가요, 아니면 이라크에 관한 직설 화법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이라크 전쟁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방법을 알려준 작품이라서 상을 받은 것인가요.








영진공 신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