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잇 & 데이”, 재미와 씁쓸함을 함께 느끼다






평범한 노처녀가 우연히 비밀요원과 만나 사건에 휘말리고 이 과정에서 사랑도 얻게 된다는 지극히 뻔한 설정의 <나잇 & 데이 (Knight and Day)>는 그러나 톰 크루즈와 카메론 디아즈가 그 배역을 맡아 출연하게 되면서 일약 화제작의 반열에 오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만약 이 영화에 톰 크루즈와 카메론 디아즈가 출연하지 않았다면 어떠했을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솔직히 <나잇 & 데이>는 두 배우가 아니었다면 굳이 봐야할 이유가 없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코믹 로맨스 액션’ 장르에 충실하다.

부담없이 보고 즐길 수 있어야 한다는 팝콘 무비의 법칙에 충실하다 못해 진지한 메시지 전달은 커녕 논리적인 개연성조차 제대로 챙길 겨를 없이 마냥 달리기만 하는 작품이 <나잇 & 데이>라고 할 수 있다.

어쨌거나 <나잇 & 데이>에는 톰 크루즈와 카메론 디아즈가 나온다. 두 배우가 얼토당토 않는 각본과 연출의 부실함을 채워주면서 관객들에게 즐거운 시간을 선사한다는 말이다.










<나잇 & 데이>에 출연한 톰 크루즈와 카메론 디아즈를 보면 이 영화야말로 두 배우가 헐리웃과 세계 영화 시장에서 더이상 초일급 배우로서의 지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는 증거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제 50대의 나이에 가까워진 톰 크루즈는 첨단 미용 성형술의 도움을 받아 여전히 매력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긴 하지만 오프라 윈프리 쇼에서 케이티 홈즈와의 결혼 이야기를 하던 중에 소파 위로 올라간 이후 확실히 예전만은 못한 편이다.

물론 최고 전성기를 구가하는 초일급 배우라고 해서 작품성과 오락성을 겸비한 특급 프로젝트에만 항상 참여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처럼 좋아하던 배우가 생활비나 벌러 나온 듯한 느낌을 주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그리 기분 좋은 경험이라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오히려 <트로픽 썬더>(2008)에서의 이미지 변신이 환영할만 했을지언정 이런 식의 눈에 띄는 하향 곡선은 그야말로 안타까운 마음마저 들게 만든다. 드디어 실사 영화 연출에 도전장을 내미는 브래드 버드 감독과의 차기작 <미션 임파서블 4>(2011)은 아마도 톰 크루즈의 영화 경력에서 마지막 잔치가 될 가능성이 높지 않나 싶다.



그나마 톰 크루즈는 형편이 나은 편이라고 할 수 있는 건 불과 몇 년 사이에 제대로 삭아버린 모습 그대로 카메라 앞에 나서고 있는 카메론 디아즈 때문이다.

마음은 여전히 <마스크>(1994) 시절이실테고 <미녀 삼총사 2>(2003)까지만 해도 생동감 넘치는 매력을 과시했었지만 이번 작품에서 카메론 디아즈는 먼저 결혼하는 동생을 둔 노처녀가 아니라 거의 과부처럼 보이고 있는 지경이다.

그렇다고 다른 배우들처럼 보톡스 시술 후유증으로 이상하게 부어버린 입술을 들이미는 것 보다야 낫다고 할 수는 있겠지만 그래도 나름 로맨틱 코믹 액션 영화인 <나잇 & 데이>와 같은 영화에서는 마치 유통기한이 지난 식료품을 대접받은 것처럼 불만스러워 할 수 밖에 없다.

여성 관객들에겐 어떻게 받아들여졌을런지 모르겠지만 카메론 디아즈는 비밀 요원과 사랑에 빠지는 ‘귀여운 여인’이 아니라 CIA나 FBI의 베테랑 요원 쯤으로 나와줘야 하는게 아니었나 생각하게 된다.











전반적으로 <나잇 & 데이>는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눈요기 영화로서는 손색이 없는 작품이다. 앞에서 언급한 대로 개연성이라곤 일절 없는 전개를 보여주고 있는 데다가 별다른 고민 없이 써제낀 듯한 마지막 장면의 로맨스 대사들이 헛웃음을 자아내긴 하지만 몇 군데 확실하게 터뜨려주는 코믹함과 액션 장면들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미국 내 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와 스페인 등지를 오가며 촬영한 근사한 풍경까지 보여주고 있으니 그저 보는 동안 충분히 즐기고 상영관을 나서는 순간 깨끗이 잊어버리면 그만이다.

애초에 톰 데이 감독에 크리스 터커와 에바 멘데즈의 조합으로 영화가 만들어질뻔 했었다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론 그 편이 적절하지 않았을까 싶다. 톰 크루즈와 카메론 디아즈의 캐스팅으로 그나마 이런 정도 규모의 영화가 나올 수 있게 된 것이긴 하겠지만 애초에 패트릭 오닐의 오리지널 시나리오 자체가 팝콘 영화 수준을 넘어서기는 어려웠던 것 같다.




톰 크루즈에 대한 오랜 팬심으로는 여전히 받아들이기 힘든 작품이다. 피터 사스가드와 폴 다노, 비올라 데이비스와 조르디 몰라 등의 출연은 그야말로 재능의 낭비요 알바 뛰러 잠시 출연한 것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기 힘들 정도다.


영진공 신어지

 


 

<3:10 투 유마>, 두 남자의 멋진 아빠 만들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임스 맨골드 감독의 전작들 가운데에는 안젤리나 졸리와 위노나 라이더 주연의 <처음 만나는 자유>(1999), 멕 라이언과 휴 잭맨의 멜러 <케이트 & 레오폴드>(2001), 존 쿠잭의 스릴러 <아이덴티티>(2003), 호아퀸 피닉스와 리즈 위더스푼이 주연한 컨츄리 싱어 존 R. 캐쉬의 전기 영화 <앙코르>(2005)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펼쳐나가는 타입이라기 보다는 대중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화법으로 탄탄하게 영화를 만들어내는 젊은 장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3:10 투 유마> 역시 특별히 스타일이라고 할 만한 것은 발견하기 어려운 작품입니다만 감상을 방해받는 일 없이 드라마를 잘 따라갈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안정감이 돋보이는 영화입니다. <3:10 투 유마>의 안정적인 만듬새에 크게 기여하고 것은 역시 좋은 배우들입니다. 포스터를 양분하고 있는 러셀 크로우와 크리스챤 베일의 연기 대결이 볼만합니다.

엘모어 레오나드의 단편을 57년에 이어 두번째로 영화화한 <3:10 투 유마>는 삶의 터전과 가정을 지키기 위해 악전고투하는 댄 에반스(크리스챤 베일)과 법이고 뭐고 나 하고 싶은 대로 산다는 냉혈한 벤 웨이드(러셀 크로우)의 짧은 대결과 우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철도회사의 현금 수송 마차를 털고 난 뒤에 벤 웨이드가 체포되고 그를 유마행 3시 10분 열차를 태워보내 법정에 세우려는 호송대에 당장의 200달러가 아쉬운 댄 에반스가 자원합니다.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사람을 죽이는 산적 두목 벤 웨이드와 몇 명의 호송대의 모습은 마치 강아지 몇 마리가 덩치 큰 사자를 끌고 가는 듯 합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자유로운 몸이 될 수 있을 것도 같은데 벤 웨이드는 처음 체포될 때처럼 여유를 부리다가, 때로는 그의 목을 노리는 다른 이들 때문에 번번히 발목을 잡히곤 합니다. 그리고 하이에나 같이 영악하고 잔인한 벤 웨이드의 부하들이 이들을 뒤쫓습니다.

(스포일러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웨스턴 무비의 총 싸움 보다 훨씬 흥미진진한 것은 벤 웨이드와 댄 에반스 사이에 이루어지는 대화들이고 그것을 통해 드러나는 삶의 힘겨움과 남자들 간의 유대입니다. 영화는 급기야 메타 픽션의 단계로까지 진화하며 댄 에반스의 무모한 도전극에 벤 웨이드가 그래, 기분 좋게 한번 도와준다는 식이 되어갑니다. 이들의 목표는 한 가지. 댄 에반스가 의로운 방법으로 돈을 벌어 가족의 행복을 지키고 아들들에게 모범이 되는 훌륭한 아버지로 남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일입니다. 벤 웨이드는 법 질서를 무시하고 사람 목숨 귀한 줄을 모르는 살인자이지만 그렇다고 죄없는 약자까지 못살게 굴지는 않는, 한 마디로 강한 남성상입니다. 그림도 그리고 성경 구절도 외우는 독특한 면이 있는 인물이기도 하지요. 반면 댄 에반스는 돈 많고 힘 있는 자들에게 시달리고 급기야 자기 땅을 빼앗길 처지이면서도 정직한 삶을 고집하는 두 아이의 아빠입니다. <3:10 투 유마>는 결국 댄 웨이드가 훌륭한 아버지로 남고 싶어 하는 소망의 가치를 벤 웨이드가 지지해주기로 하면서 극적인 결말을 향해 달려갑니다.

부시 대통령과 공화당이 집권한 지난 8년간의 헐리웃 영화들은 9.11 사태의 후유증에 시달려오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존경 받아야 할 아버지상을 자주 강조해왔습니다. 샘 멘데스 감독, 톰 행크스 주연의 <로드 투 퍼디션>(2002)에서의 낯간지러운 마지막 나레이션이 그렇고 심지어 클린스 이스트우드 감독, 숀 펜 주연의 <미스틱 리버>(2003)는 실수와 불법을 저지른다 하더라도 우리는 아버지를 지지해줘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바 있습니다. <3:10 투 유마>는 이제 내년 초가 되면 민주당에게 정권을 내놓아야 할 처지에 놓인 미국 공화당과 보수층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마지막 호소문처럼 보입니다. 험악한 세상에서 후대를 위해 최선을 다한 당신의 아버지를 기억해달라고, 그런 아버지상을 계속 지킬 수 있게 지지해달라는 소리 같습니다. 단순히 두 주연급 배우의 연기 대결과 남자들 간의 우정을 그린 이색적인 서부극이라고만 보는 건 좀 재미가 없는 듯 합니다. 어쩌면 시종일관 세련된 화법으로 극을 잘 이끌고 가다가 충직한 부하들을 자기 손으로 몰살시키는 두목님의 마지막 모습이 다소 황당하게 느껴져서 이렇게 고까운 눈으로 다시 보게 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진공 신어지

ps. 최후의 결전을 앞둔 댄 에반스가 아들을 붙들고 상당히 오바하는 장면이 상당히 오바스럽게 찍혔는데요 그 뒤에 이들을 지켜보던 벤 웨이드의 모습이 잡힙니다. 댄 에반스의 ‘멋진 아빠 만들기’에 벤 웨이드가 동참해주기로 마음을 먹는 순간이었던 거죠. 기차역까지 가는 험난한 과정 중에 이건 정말 아니구나 싶었던 벤 웨이드가 메타 픽션에 해당하는 대사를 날리는 것이 참 좋았습니다. “아들에게 좋은 모습 보이는 것도 충분히 했으니 이제 그만 하자”는 거였죠. 가장으로서의 역할을 맡은 댄 에반스와 악당/죄수의 역할을 맡은 벤 웨이드 간의 무대 뒤 이야기였던 겁니다. 착한 일 하는 거 버릇될까봐 싫어한다더니, 풋. 멋진 놈입니다. 각자의 역할과 입장을 잠시 떠나 같은 인간으로서 소통할 수 있다는 건 역시 보기 좋습니다. 이런 까뮈스러운 기회와 희망에 대한 믿음이 인생을 살만한 것으로 남겨주는 것 아닌가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