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TV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CES 2012에서는 다양한 신제품이 발표되었다. TV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제품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그 중에서 가장 눈길을 끈 것은 OLED TV 였고 그 다음은 스마트 TV였다. 특히 전세계 TV 시장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삼성전자의 스마트 TV 플랫폼은 관심의 촛점이었다.


당장 인터넷상에서 볼 수 있는 국내외 평가를 종합해 보면 호의적인 반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예상과는 달리 안드로이드 OS를 채택하지는 않았지만 반응속도나 사용자 UI는 썩 나쁘지 않은 것 같았다.

siri 만큼 똑똑하진 않지만 그럭저럭 쓸만한 음성인식 기능에 동작인식까지 덤으로 갖췄고, 스마트폰과의 콘텐츠 공유 기능인 Allshare는 애플의 airplay보다 훨씬 더 쓸만해 보였다. 그리고 앵그리버드가 아무 문제 없이 휭휭 돌아가는 모습을 선보이는 장면에선 다들 감탄사를 내뱉었다, WoW!

하지만 궁금한 건 이거다. 내가 이걸 왜 사야 하는 거지? 50인치 대화면 TV에서 앵그리버드를 하려고?

아무래도 대부분의 스마트TV 기획자나 개발자들은 스마트폰(이라기보다는 아이폰)의 성공 공식에 집착하고 있는 것 같다. 즉,

1) 뛰어난 사용자 UX,
2) 오만가지 앱이 득시글거리는 앱스토어,
3) 인터넷과의 연동

이 스마트 TV를 성공시킬 열쇠라고 믿는 모양이다.
하지만 제아무리 “스마트”란 단어를 공유한다 할지라도 폰은 폰, TV는 TV다. 둘의 성공 공식이 동일할 리 없다.

핸드폰은 전화를 걸어 대화를 나누고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걸 주목적으로 하는, 그 태생부터 굉장히 능동적인 기기다.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해 웹브라우징을 하고, 짧은 문자 메시지를 긴 이메일로 확장시킨 것은 당연한 흐름이다.

게임은 이미 피쳐폰 시대부터 쏟아져 나왔다. 이런 기능을 제대로 쓰려면 편리한 UI를 갖춰야 하는 건 당연지사.

그러나 거실 TV는 굉장히 수동적인 기기다.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무식한 게으름뱅이를 위한 바보상자이다. 쇼파에 반쯤 드러누운 자세로 귤을 까먹으며 아무 생각없이 드라마를 보다 말고 갑자기 TV 화면에 이메일을 띄우려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런 거라면 주머니에서 스마트폰을 꺼내 보는 편이 훨씬 빠를 텐데.

하지만 TV에서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이 아주 없는 건 아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게 VOD(Video on Demand)다.

여기서 잠시 미국 시장으로 눈을 돌려보도록 하자. 미국은 TV소유 세대수의 약 8할이 케이블TV나 위성방송, IPTV를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2011년부터 이들 대형 케이블 TV업체들은 iPAD를 비롯한 타블렛 대상의 방송 서비스에 일제히 힘을 쏟기 시작했다.

타임워너 사의 조사에 따르면 2006년 당시 정시방송의 주당 시청 시간은 31.7시간이었지만 VOD(video on demand) 시청 시간은 주당 0.4시간에 불과했다고 한다. 그런데 2011년에는 VOD의 시청 시간이 주당 2.5시간으로 늘어났다는 것이다. 2.5시간이라면 별 것 아닌 것처럼 느껴지지만 이건 고연령층까지 포함한 평균치란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젊은 세대만을 계산에 넣는다면 이 수치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움직임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 요즘은 내 주변에서도 셋탑 박스나 IPTV에서 필요할 때마다 영화를 사 보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물론 꿋꿋하게 토렌트나 웹하드를 뒤지는 인간들의 숫자가 훨씬 많긴 하지만.

MP3 플레이어의 킬러 콘텐츠가 음악이고, 스마트폰의 킬러 콘텐츠가 앱이라면, 거실 TV의 킬러 콘텐츠는 영상일 수밖에 없다. 아이팟은 음악을 유통하는 뮤직 스토어를 통해 MP3 플레이어 시장을 평정하고, 아이폰은 앱을 유통하는 앱스토어를 선보이며 핸드폰 시장을 뒤흔들었다.

그렇다면 거실 TV가 스마트 TV로 진화하기 위한 열쇠는 자명하다. 그것은 영상물 유통의 혁신에 있다.

어느 나라든  TV 콘텐츠 시장에서 절대적인 주도권을 쥐고 있는 건 주파수를 독점하고 있는 공중파 방송국이다. 그 다음은 지역별로 난립한 케이블 TV 회사들이다. 이들 방송에 비하면 DVD, 블루레이, VOD 등 홈비디오 시장의 비중은 굉장히 낮은 편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방송 시장의 총 매출 규모는 10조를 넘어가는 반면, 홈비디오 시장 규모는 기껏해야 3, 4백억 정도에 그칠 뿐이다.

지난 수십년간 TV는 브라운관이 흑백에서 컬러로 바뀌고, HD 해상도로 바뀌고, 아예 브라운관이 사라지고 PDP와 LCD로 바뀌는 등, 재탄생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진화에 진화를 거듭했다. 하지만 바뀐 건 물리적인 부분일 따름이었다. 실질적으로 콘텐츠를 틀어쥔 게 방송국이란 사실엔 아무런 변함이 없었다. 가전회사는 주연이 아닌 조연에 불과했고, TV는 방송국이 일방적으로 송출하는 드라마나 뉴스나 예능 프로그램을 보기 위한 깡통에 불과했다!




그런데 … 지금 가전회사에게 천재일우의 기회가 온 것이다. 방송국 눈치를 보지 않고, 직접 방송국에 맞먹는 플랫폼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말이다. 그것도 어느 한 나라에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를 상대로 장사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전세계 TV 시장에서 탑을 달리는 삼성전자의 작년 한 해 평판 TV 판매량은 대략 4300만대, 올해 목표는 5천만대라고 한다. 만일 삼성이 자사 TV 물량을 고스란히 스마트 TV로 전환한다면, 그리고 공중파 방송국에 준하는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개발해 탑재시킨다면, 매년 대한민국 전체 인구에 필적하는 5천만명의 시청자를 기본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만한 숫자라면 VOD는 뒤로 미뤄놓고 광고만 팔아도 돈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여기까지 가기 위해서 풀어야 할 숙제가 한둘이 아니다. 저작권자들과 지리한 협상을 통해 컨텐츠를 확보하고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인터넷 환경이 열악한 국가에선 어떤 식으로 컨텐츠를 공급할지 대안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가장 큰 숙제는, 공중파나 케이블보다 더 쉽고 간단하고 편리하게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공중파 방송은 안테나만 세우면 볼 수 있다. 케이블 TV에 전화 한 통만 넣으면 채널이 순식간에 백여 개로 늘어난다. 그렇다면 스마트 TV는 전원선만 꽂으면 즉각 수백 개의 채널을 저렴하게(또는 공짜로), 그리고 손쉽게 볼 수 있다는 걸 장점으로 내세워야 한다. 대체 어떤 식으로?

글쎄, 그걸 잘 모르겠다. 그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궁리해야 하는 건 삼성이나 LG같은 제조사들의 몫이다. 하지만 어느 쪽에서도 그런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그저 스마트 TV에 스마트폰의 기능을 우겨넣는데 급급한 것 같다.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전세계를 대상으로 TV를 파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한 국가의 방송국을 능가할 수도 있는 절대적인 방송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가 눈앞에 있는데, 그 기회를 그냥 흘려보내고 있다니 말이다. 그리고 기껏 내놓은 스마트 TV라는 건 스마트폰의 화면을 가로세로로 뻥튀기한 물건에 불과하다.

하긴 뭐, 아이패드도 처음엔 아이폰의 뻥튀기판에 불과하단 비아냥을 들었다. 하지만 적어도 아이패드는 들고 다닐 수도 있고, 침대에 누워서 만지작거릴 수도 있고, 후장을 자극하는 치질의 고통과 맞서 싸우기 위해 화장실에 가져갈 수도 있다.
 

반면에 거실 TV는 …… 흠, 더 이상 구구절절 말할 필요가 있을까?

어쨌든 당신은 그 리모컨조차도 맘대로 쓸 수 없을 것이다. 왜냐면 그건 당신 게 아니라 사모님 거니까!


영진공 DJ Han



 

구글 TV, 과연???

남이 만든 걸 가지고 이러쿵저러쿵 하는 것처럼 추해 보이고, 쓸데 없는 짓거리도 없다. 맞으면 본전이고, 틀리면 바보 되는 거니까. 평론가란 직업의 대부분은 그런 위험부담을 안고 시작하는 것이다. 그래도 평론가란 직업은 사라지지 않는다. 왜? 추해 보이고, 쓸데 없는 짓거리도 때로는 필요한 거니까.

어쨌든, 오늘 나는 구글 TV에 관해서 이러쿵저러쿵 할 생각이다.
구글이 ‘구글 TV’를 발표할 거란 예상은 오래 전부터 나돌았다. 사실 별로 신기한 아이디어도 아니다. 적당히 VOD를 보고, 적당히 웹질 하고, 적당히 게임 하고, 적당히 이거저거 다 할 수 있는 셋탑 박스와 TV를 결합시키자는 아이디어는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다. 소니는 플레이스테이션을 진화시켜 그런 자리를 차지하려 했었고, MS는 엑스박스를 들이밀었다. 애플은 iTV로 살짝 간을 봤고.
아이디어 자체는 괜찮다. 거실의 거대한 테레비 화면으로 웹 서핑을 하고 싶은 사람은 분명히 있을 거다. 유튜브 동영상을 보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을 거다. 구글이 원하는대로 웹 앱 스토어에서 SNS나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즐기는 사람도 있을 거다.

그러나 여기엔 극복할 수 없는 거대한 문제가 있다.

그것은 TV가 수동적인 디바이스라는 사실이다.
통근전철 안에서 휴대폰을 만지작대는 사람들을 보면 게임을 하는 사람이 반, DMB를 보는 사람이 반이다. 말이야 바른 말이지, 앱 스토어에서 게임을 찾아 다운받고 하는 건 나름대로 귀찮은 일이다. 아무리 스마트폰이 득세를 부려도, 그 기능의 반의 반도 쓰지 않은 채, 멍하니 DMB 화면만 들여다보는 사람들은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그게 앱 스토어에서 삽질하는 것보다 훨씬 편하니까.
거실 TV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다. 소파에 길게 누워 하품을 하며 미친 듯이 채널을 돌리는 것이 대부분 사람들의 행동 패턴일 것이다. 케이블 셋탑 박스에 VOD 기능이 있어도, 그걸 써서 영화를 찾아보거나 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왜 그런 귀찮은 짓을 해야 하지? 채널만 돌려도 충분한데 말이야.
최근에 나는 거실 TV에 베어본 PC를 조립해 연결했다. 그리고 HTPC로 활용하기 위해서 XBMC로 영화나 드라마를 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놨다. 그러나 한 달 정도 지난 현재, 그 컴퓨터는 홈 서버 겸 야동 FTP 서버로 전락해 버렸다. 컴퓨터라는 건, 아무리 편해졌다고 해도, 사용자의 끊임없는 주의와 간섭을 필요로 하는 능동적인 디바이스다. 요컨대 TV 리모콘을 누르는 것보다 훠어어어얼씬 불편하다는 얘기다.

TV 와 연결하는 능동적인 디바이스 중에서 성공을 거둔 건 게임기 정도다. 소니나 MS가 게임기를 중심으로 거실 점령 전략을 세운 건 어찌 보면 당연한 귀결이었다. 문제는 사람들이 게임기에서 원하는 건 게임일 뿐, 다른 게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결국 소니의 블루레이 올인 전략도, MS의 엔터테인먼트 확장 전략도, 온가족이 즐길 수 있는 게임기 컨셉을 내세운 닌텐도 wii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구글 TV를 다시 돌아보자. 아마 구글 TV의 형태는 안드로이드 OS 셋탑 박스나 또는 이걸 내장한 TV 본체가 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웹 서핑을 할 수 있고, 웹 앱 스토어에서 이거저거 다운받아 볼 수 있고, 유튜브도 볼 수 있고, 당연히 폰튜브(porntube)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와, 이거 정말 스마트한데? 근데 … 이걸 왜 TV에서 해야 하지?
그렇다. 이미 컴퓨터가 몇 대씩이나 굴러다니는 세상이다. 통근 중엔 휴대폰으로 웹질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집에서 멀쩡한 컴퓨터를 놔 두고 TV로 이런 짓을 해야 하는 이유가 대체 뭐냔 말이다. 거실 TV로는 두산이 엘쥐를 박살내는 야구 중계를 본다거나, 아니면 한국 대표팀이 일본 대표팀을 발라버리는 축구 중계를 본다거나 해야지! 아니, 그게 아니지….. 마눌님께서 드라마를 보셔야 하니 그쪽에 양보해 드려야지. 가끔은 친오빠와 연애질을 하는 계집애가 나오는 막장 드라마도 괜찮겠지, 뭐. 마침 그 계집애도 내 취향이었고 하니 …
아무튼 그렇다. 소니가 구글에 줄을 서는 이유도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기대했던 PS3 매출도 시원찮고, 가전 시장에서도 연신 삼성과 LG에 두들겨맞는 작금의 상황에선, 뭐든 하나 건져야 하니까.
하지만 어쨌건 의문은 남는다. 과연 이게 성공할 것인가?
글쎄, 마눌님께서 TV 리모콘을 포기하신다면 성공할지도 모르지!

영진공 DJ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