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전설이다”, 현존하는 모든 좀비 이미지의 원류


2007년 개봉 영화 “나는 전설이다 (I am legend)”의 원작은 리처드 매드슨의 동명소설이다. 1954년작인 이 책은 (그냥 일반적인 기대만 갖는다면) 당연히 지루하고 식상하다. 우리는 이미 너무나 익숙한 좀비상을 가지고 있고, 이 책은 그 모든 좀비 이미지의 원류이니까.

제인 오스틴의 소설들이 온갖 HR 공식에 익숙해진 현대 관객들에게 식상해 보이듯, 그러나 또다른 의미로 재발견되고 재해석되듯, [나는 전설이다]가 출판 당대에 좀비라는 새로운 존재 – 이물적 존재이면서도 모태는 인간인 – 의 매혹으로 어필하였지만, 현대독자인 나는 이 소설의 엔딩의 혁명성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생존 그 자체를 위해 분투하는 존재임은 수가 얼마 남지 않은 인간이나 새로이 급증하고 있는 좀비나 마찬가지. 여기엔 선과 악이라는 윤리적 개념이 들어설 자리가 없으며, 생존투쟁의 승리만이 유일한 선이 된다. 인간과 좀비 간 전쟁에서 마침내 좀비가 사회를 구성하고 살 방법을 찾기 시작했을 때 최후의 인간 생존자는 죽어서 전설의 영역으로 입장해야 할 운명만이 남는다. 아마도 호모 사피엔스가 그런 방식으로 살아남았을진데, 호모 좀비쿠스 같은 이름을 가진 새로운 존재가 호모 사피엔스를 대체한다한들 ……

그러고 보면 수많은 호러영화들이 당연한 듯 인간의 승리로 막을 내렸던 것은 그 모든 좀비물의 조상인 이 소설에 대한 반역적인 퇴행, 혹은 퇴행적 반역인 건지도 모른다.

많은 인간들이 자본주의적 인간을 중세적 인간보다, 혹은 자본주의적 냉혈인간을 온정주의적/윤리적 인간보다 진화한 것으로 믿고 있는 세상에서, 평균수명을 늘린 대신 면역결핍과 신종질병에 시달리는 현대 인류가 과거 인류보다 진화한 것이라면, 좀비가 인간보다 ‘진화한’ 존재라고 말한들 과연 언어도단이 될까. 아니, 우리들 중 대부분은 스스로 자각하지 못한 새에 이미 좀비가 됐는지도 모르는데. (이게 인간 특유의 자기합리화 방식 아니었던가.)

[나는 전설이다]의 엔딩은, 가상역사에서의 미래이자, 우리의 과거이기도 하다. 제우스가 새로운 신의 계보를 시작하며 신중의 신의 자리로 등극한 건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고 아버지가 속한 타이탄 족을 멸망시킨 이후이다.

[나는 전설이다]의 주인공 네빌은 결국 또다른 크로노스(제우스의 아버지, 타이탄족)인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운명을 수긍하는 그의 모습은, ‘마지막 인간’으로서 전설의 주인공이 될 존재로서의 자격이 충분하다.

영진공 노바리


 

 

 

[서평] 손톱, “손가락이 10개라서 다행이야”

 

손톱




저자_김종일


펴냄_랜덤하우스




악몽을 꿀 때마다 손톱이 하나씩 빠진다는 이 소설의 설정은 매력적이다. 신체에서 손톱은 기능적 의미 이외에도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밤에 손톱을 깍으면 쥐가 와서 그 손톱을 먹고 자신으로 변신한다는 이야기라던가 이 책에 나오는 라만고 이야기 처럼 손톱은 주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고문할 때 손톱을 뺀다거나 손톱 밑을 날카로운 물건으로 쑤시는 등의 고통의 상징으로도 다뤄진다. 그렇기 때문에 손톱이 빠진다는 설정은 왠지 오싹함을 주면서 동시에 끔찍한 고통(물론 겪어보지는 않았찌만)이 느껴지는 듯하게 만든다.




이야기는 악몽을 꿀 때마다 손가락에서 손톱이 하나씩 빠져나가며 과연 10개가 모두 뽑혀 나갔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날까 하는 궁금증으로 독자를 이끌고 있다. 마치 보이저 1호를 쏴올리기 전 카운터를 세는 듯한 긴장감으로 가득 차있기 때문에 쉽사리 책장에서 손을 놓기가 어렵다. 게다가 이야기가 몇 년에 걸친 것이 아닌 몇 일 동안에 일어나는 일인 만큼 빠른 이야기 전개를 보여주어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 특히 10개라는 손가락 개수는 긴장감을 유지하는 데 적절하게 보이는데 아마 작가는 사람의 손가락이 10개라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르겠다.




만약 이 소설에서 악몽을 꾸면 손톱이 빠지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빠지는 설정이었다면 어땠을까? 아마 영화로 비유하자면 전자가 일본판 ‘링’이라면 후자는 ‘13일의 금요일’의 느낌이 되지 않았을까 한다. 그리고 그렇지 않아도 이 소설은 영화화 되어 올 여름 개봉할 예정이다.


영진공 self_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