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전설이다”, 현존하는 모든 좀비 이미지의 원류


2007년 개봉 영화 “나는 전설이다 (I am legend)”의 원작은 리처드 매드슨의 동명소설이다. 1954년작인 이 책은 (그냥 일반적인 기대만 갖는다면) 당연히 지루하고 식상하다. 우리는 이미 너무나 익숙한 좀비상을 가지고 있고, 이 책은 그 모든 좀비 이미지의 원류이니까.

제인 오스틴의 소설들이 온갖 HR 공식에 익숙해진 현대 관객들에게 식상해 보이듯, 그러나 또다른 의미로 재발견되고 재해석되듯, [나는 전설이다]가 출판 당대에 좀비라는 새로운 존재 – 이물적 존재이면서도 모태는 인간인 – 의 매혹으로 어필하였지만, 현대독자인 나는 이 소설의 엔딩의 혁명성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생존 그 자체를 위해 분투하는 존재임은 수가 얼마 남지 않은 인간이나 새로이 급증하고 있는 좀비나 마찬가지. 여기엔 선과 악이라는 윤리적 개념이 들어설 자리가 없으며, 생존투쟁의 승리만이 유일한 선이 된다. 인간과 좀비 간 전쟁에서 마침내 좀비가 사회를 구성하고 살 방법을 찾기 시작했을 때 최후의 인간 생존자는 죽어서 전설의 영역으로 입장해야 할 운명만이 남는다. 아마도 호모 사피엔스가 그런 방식으로 살아남았을진데, 호모 좀비쿠스 같은 이름을 가진 새로운 존재가 호모 사피엔스를 대체한다한들 ……

그러고 보면 수많은 호러영화들이 당연한 듯 인간의 승리로 막을 내렸던 것은 그 모든 좀비물의 조상인 이 소설에 대한 반역적인 퇴행, 혹은 퇴행적 반역인 건지도 모른다.

많은 인간들이 자본주의적 인간을 중세적 인간보다, 혹은 자본주의적 냉혈인간을 온정주의적/윤리적 인간보다 진화한 것으로 믿고 있는 세상에서, 평균수명을 늘린 대신 면역결핍과 신종질병에 시달리는 현대 인류가 과거 인류보다 진화한 것이라면, 좀비가 인간보다 ‘진화한’ 존재라고 말한들 과연 언어도단이 될까. 아니, 우리들 중 대부분은 스스로 자각하지 못한 새에 이미 좀비가 됐는지도 모르는데. (이게 인간 특유의 자기합리화 방식 아니었던가.)

[나는 전설이다]의 엔딩은, 가상역사에서의 미래이자, 우리의 과거이기도 하다. 제우스가 새로운 신의 계보를 시작하며 신중의 신의 자리로 등극한 건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고 아버지가 속한 타이탄 족을 멸망시킨 이후이다.

[나는 전설이다]의 주인공 네빌은 결국 또다른 크로노스(제우스의 아버지, 타이탄족)인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운명을 수긍하는 그의 모습은, ‘마지막 인간’으로서 전설의 주인공이 될 존재로서의 자격이 충분하다.

영진공 노바리


 

 

 

“레지던트 이블 4: 끝나지 않은 전쟁”, 엄브렐라는 왜 안 망하는 거냐고!


씨바, 드래곤 볼 손오공도 그랬고, ‘서극의 칼’도 그랬어. 오로지 주인공이 업그레이드 되어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 뿐이었다고! 설마 다운그레이드 시킬 줄은 몰랐단 말이지! – 초능력 연구가의 모임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는 호러 게임 마니아에게, 아니 정정하자. 게임 마니아에게…. 아니 이것도 정정하자. 우먼 파워 마니아에게 햇살과도 같은 영화다.

‘이쁜 녀석이 쎄기까지!’라는 감탄사를 절로 자아내는 우리 밀라 언니는 레지던트 이블 2편 말 쯤부터 요보비치 선생이 되더니 겉잡을 수 없는 사이킥 파워로 전 좀비를 다 격퇴시키는 슈퍼 메가톤급 울트라 히로인이었다.

3편이 끝날 때 쯤엔 어디 캡틴 어메리카 애들 통째로 와도 못 이길 정도로 강해진 언니였단 말이다!

1. 엄브렐라 도쿄 본사 습격 Scene
     수많은 앨리스가 인해전술로 밀고 들어와 쑥대밭을 만드는 재미도 뛰어나지만 4번째 이야기를 감상하기 위해 착실하게 1~3편을 복습하고 온 관객에게 충격적인 반전을 선사하는 장면이기도 한 이번 장면은 인공위성의 지령까지도 쌩깔 정도의 뛰어난 앨리스를 한 방에 무력화 시킨다. 아 이제 사이킥 파워 따윈 안녕 내 사랑 앨리스.

2. 굴을 팔 수 있는 좀비 Scene
     1편부터 돌연변이 좀비는 꼭 보스급이었는데 이번에는 보스급도 하나 출몰하고 – 사형수 두건 쓴 녀석 – 나름 지능적인(?) 놈들이 나타난다.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이 놈들이 3편에서 박사가 테스트했던 놈들의 변형으로 생각되는데 어쨌거나 여성 관객들은 기존 복습과 달리 흉측한 놈들이 나와서 좀 아찔했을 것이다. 나도 순간 움찔했던 장면이 있다.

3. 동전 취미 생활 Scene
     이미 전 세계는 멸 to the 망 한 상황에 동전 따위 필요할리가 없으나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는 앨리스를 보면서 흐뭇했다. 보통 뭔가 총알을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 녹이고, 주조하고 뭐 이런 Skill은 이제 따분한 영화의 장면. 마치 카지노 칩을 쌓듯 동전을 모으는 장면을 본 후 ‘저걸 뭐에 쓰지?’라고 고민하다가 한 방에 터지는 ‘잭팟’ 광경을 보니 묵은 체증이 싸악 가시는 통쾌함!

4. 사형수와의 결투 Scene
     클레어와 앨리스, 둘이서 사형수와 결투를 벌이는 장면은 아마 후에 액션 영화 명장면에 뽑힐 거라 생각될 정도로 미끈하다. 등장 인물의 몸을 가르며 나타난 사형수의 덩치에 맞지 않는 날렵한 몸놀림에, 이를 자세히 묘사하기 위한 슬로우 모션은 보는 내내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아, 이 장면 때문에라도 3D 돈 아깝지 않다.

영화 마무리되고 엔딩 크레딧 1분 정도 올라가면 영화 다음 편 예고(?) 나온다. 아~ 밀라 요보비치 환갑 때까지 시리즈 계속 이어가면 나는 좋지만, 도대체 인류가 멸망했는데도 엄브렐라는 왜 멸망하지 않느냔 말이다! – 참고로 일본 캡콤에서 만든 3D 애니메이션 레지던트 이블에서 엄브렐라는 이미 망한 것으로 나온다. – 뭐 어쨌든. 다음 편은 몇 년 쯤에 나오려나?


영진공 함장


 

노래로 감상하는 영화 “눈 먼 자들의 도시”



1.
Zombie
By Cranberries

“It’s not me, It’s not my family … In your head, In your head … What is in your head?”


<북아일랜드의 평화를 기원하는 노래이다.>

뭔가에 눈이 먼다는 것 … 좀비가 되는 것과 같다.
단지 다른 게 있다면 좀비는 용서가 불가한 그리고 반드시 죽여야 하는 존재지만,
눈이 먼 사람은 그게 불분명하다는 것.

善인지, 惡인지, 害인지, 상처받은 영혼인 건지 알기 힘들고 어느 하나로 규정할 수도 없다.
눈먼 이들도 자기가 왜 그러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고 대개는 그 상태를 벗어나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냥 그렇게 눈먼 채로 각자 자기를 눈멀게 하는 것에 묶여서 살아갈 뿐 …

2.
Everybody Gotta Learn Sometimes
By Zucchero, Sharon Corr, Brian May, Roger Taylor

“Change your hear, look around you … I need your loving like the sunshine …”


<2004년 영화 “이터널 선샤인”에 Beck의 노래로 삽입되어 잘 알려진 곡 …
영국 밴드 Korgis의 1980년 곡이 오리지널이다.>


<이 곡이 오리지널>

사람은 배워야 한다.
그래야 살 수 있다.
사람이 동물과 구분되는 커다란 이유 중 하나이다.

눈먼 이들은 배우려 하지 않는다.
자기가 알고 있는 게 다라고 믿는다.
더 배울 수 없다 생각하고 그리 행동한다.

그들에겐 과거가 없고, 미래가 없다.
다만 현재, 아니 현실만이 … 그리고 욕구만이 있다.

3.
It’s A Man’s Man’s Man’s World
By Christina Aguilera


“Man made the trains to carry heavy loads,
Man made electric light to take us out of the dark,
Man made the boat for the water, like Noah made the ark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2007년 그래미상 시상식에서>


<오리지널은, 소울의 대부 James Brown>

눈먼 자들의 도시 역시 남자들의 세상이다.

그래서 그녀는 말한다 …
“일하지 않는 자여, 먹지도 말라.”

4.
American Witch
By Rob Zombie

“Do you want to know where their dreams come from? … The end, The end of the American witch …”

억압받는 이들의 가장 큰 적은 외부에 있지 않다.
바로 내부에 있다.
그리고 그들은 가장 약한 이를 괴롭히며 기생한다.

그런데 이런 세상에서 기생충은 제가 마치 숙주인 듯 행세한다.
게다가 숙주들은 그런 기생충에게 조아린다.

미친 세상이다.
아니, 미친 건 세상이 아니다.

5.
Mad World
By Tears For Fears


“I find it kind of funny, I find it kind of sad … The dreams in which I’m dying are the best I’ve ever had …”


<Gary Jules의 노래로 잘 알려진 곡이지만 오리지널은 Tears For Fears이다.>


<“Kiwi”!의 에피소드에 Gary Jules의 버전을 입힌 작품>

미친 세상

희망은 없는가?

6.
Stand By Me
By Playing For Change

“The land is dark … And the moon is the only light we’ll see … No I won’t be afraid … Just as long as you stand by me …”


<도큐멘터리 영화 “Playing For Change: Peace Through Music”의 한 장면이다.  부르는 노래는 Ben E. King의 “Stand By Me”.  세계의 거리 뮤지션들이 함께 노래 부르는 모습을 통해 세계의 평화와 변화를 기원하는 것이 이 영화의 제작의도이다.  자세한 내용은 www.playingforchange.com 을 참고하시길.>

어느 세상에서나,
어느 때에나,
주어진 희망의 크기는 같다.

눈 떠 그걸 보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걸 다른 이들과 함께 보고자 애쓰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걸 보기 위해 눈 뜨려 노력하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에 따라 희망의 크기는 변하는 것이다.

샬라나미~
영진공 이규훈

“세계대전 Z”, 좀비업계의 아이팟

-= IMAGE 1 =-


좀비는 68년에 조지 로메로가 창조한 이후부터 공포영화의 주인공이었지만
최근에 새로이 조명받는 주인공이기도 합니다.

최근 본 진짜 무서운 영화 [REC](필름2.0에도 썼지만 저 이거 보고 다리에 힘이 빠져서 걷기도 힘들었음 -_-;;;), <28주 후>와 <28일 후>와 <저주받은 새벽>과 <황당한 새벽>과 매드슨의 원작을 새로 만든 <나는 전설이다>도 모두 좀비 이야기죠. 심지어 매드슨의 원작에 등장하는 놈들은 원래 뱀파이어 에 가까웠습니다만, 그게 새 영화에선 완전 좀비로 변했다는 걸 생각해보면 21세기는 좀비의 재발견의 시대인듯도 합니다.

여튼, 그 좀비 재발견 시리즈의 정점에 있다고 할만한 작품이 이 <세계대전 Z> 입니다.

많이들 아시겠지만, 책의 저자는 이 전에 이미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를 써서 지명도가 높아진 사람으로 이번에는 아예 본격적으로 중국에서 좀비가 발생했다는 설정을 가지고 과연 그 이후에 어떤 일이 벌어질 지에 대해 전지구적인, 소위 말하는 글로벌한 상상력을 펼쳐냅니다.

이건 단순히 좀비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 발병기제나 전염의 기제가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어떤 새로운 질병이 발생했을 때,
그것이 과연 어떻게 전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병리학 SF 이기도 하죠.

중국에서 발생한 질병은 특유의 정보통제와 허술한 인적보안 시스템을 통해 제3세계 중심으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중국의 주요한 외화벌이 수단 중의 하나인 장기이식을 통해 선진국으로 퍼져나갑니다. 그리고 그 질병에 대한 각국의 대처는 또 다른 결과를 낳고, 그 결과는 다시 새로운 양상을 펼쳐내고…

이 모든 이야기들이 각각 서로 다른 상황에서 서로 다른 경험을 한 사람들을 통해서 회고되는 옴니버스 형태라서 요즘 인터넷 세대가 읽기에도 편합니다.

남아공의 냉혹한 아파르트헤이트 전문가 폴 레데커 이야기,
영국의 성을 지켜낸 사람이 회상하는 “그녀” 이야기,
모든 것을 의심하는 습관 덕에 이스라엘을 살려낸 정보분석관 이야기,
휠체어를 타고 좀비 자경단의 일원으로 활약한 사람 이야기
등은 뜻밖의 감동을 주기도 하고요.
특히 영국의 “그녀” 이야기는… 그 비실거리는 영국도 최소한 우리나라보다 백배 낫다는 걸 뼈저리게 느끼게 해주죠. (정말로 그럴 것 같은)

이런 이야기가 요즘 각광을 받는 이유는 (이 책은 출판된 이후 몇개월간 아마존에서 베스트셀러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브래드피트가 영화 판권을 샀다더군요.) 예전엔 듣도보도 못한 질병들이 등장하고 있는 요즘 상황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사실, 우리가 무서워해야 할 것은 좀비가 아닙니다.  좀비에 대한 대책은 거의 완벽하게 세워져 있으니까요 … (^_^)
하지만 우리가 전혀 모르는 어떤 질병(혹은 재난)이 우리를 위협할 가능성은 단순한 상상이 아니라 현실입니다.  그리고 그때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질병 자체 뿐만 아니라 긴밀하게 얽혀있는 우리 세상이고요.

여튼 이 책은 그 자체로 훌륭한 SF 소설이고, 좀비 업계의 아이팟이며
좀비를 통해서 지금 우리 세상이 얼마나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배우게 해주는 재미있는 국제관계학 책이기도 합니다.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