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만 보고 질리지말기!




서점에서 이 책을 집어든다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책표지와 같은 표정을 짓게 될 것이다.
“이 책 제목…뭥미?”


 저자: 닉 혼비, 닐 게이먼 외


 역자: 이현수


 펴냄: media 2.0



제목을 픽션이라고 썼지만 진짜 제목은 [픽션; 작은 나라와 겁나 소심한 아버지와 한심한 도적과 자식보다 고양이를 좋아하는 엄마와 아이를 두고 페루로 가 버린 부모와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새와 위험하지 않은 대결과 이상한 휴대폰과 당신이 모르는 뉴욕의 비밀]이다. 헉헉 …

이 무슨
“ 김 수한무거북이와두루미삼천갑자…”스런 터무니없는 제목인가 싶지만 이는 국내의 괴짜 편집자가 그의 아드로메다를 넘나드는 센스로 붙인 제목이 아니다. 이 책의 원제 역시 [noisy outlaws, unfriendly mlobs, and some other things that aren’t as scary, maybe, depending on how you feel about lost lands, stray cellphones, creatures from the sky, parents who disappear in peru, a man named lars farf, and one other story we couldn’t quire finish, so maybe you could help us out]이다. 헉헉 …



하지만 이런 장난스런 제목과는 달리 일명 잘나가는 글작가들과 잘나가는 일러스트레이터가 뭉쳐서 만든 단편집이다. 닉 혼비, 닐 게이먼, 켈리 링크, 잔 뒤프라우 등 내놓라 하는 작가들이 참여했다. 일러스트레이터 역시 일러스트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인터넷 상에서 종종 보았을 눈에 익은 그림들이 많이 보인다.



환타지한 이야기들로 엮인 이 책은 서문의 레모니 니스켓이 자부하듯 지루하지 않은 이야기들로 가득차 있다. 단 몇 킬로미터 밖에 안되는 작은 나라의 이야기인 닉 혼비의 ‘작은 나라’. 말없이 페루로 떠난 부모님 때문에 혼자 남겨진 그림블의 일상을 기묘한 분위기로 묘사한 클레멘트 프로이트의 ‘그림블’, 세상의 모든 음식을 먹어본 미식가 클럽의 회원들이 유일하게 먹어보지 못한 태양새를 먹기 위해 떠나는 닐 게이먼의 ‘태양새’, 지금은 사라져버린 뉴욕의 6번째 구에 관한 이야기인 ‘여섯 번째 마을’등 책에 실린 단편들은 아기자기한 상상력으로 가득 차 있다.

조금 아쉬운 것은 일러스트작가들의 명성에 비해 그들의 그림이 적절히 활용되지 못한 듯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좀더 적극적으로 일러스트가 사용되었다면 난 이 책을 들고 정말 울어버렸을지도 모르겠다.





영진공 self_fish









현실과 포르노


머리에 뇌라는 것이 제대로 자리잡고 있는 남자라면 포르노가 현실이 아닌 판타지라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그래서 포르노를 안 본 남자를 찾지 못해 연구를 접어야 했다는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 연구팀의 비극적인 소식을 듣고도 여성들은 절망할 필요가 없다.

포르노를 보고 그대로 따라 한다는 것은 슈퍼맨 영화를 보고서 스판바지를 입고 옥상에서 뛰어내리는 짓과 같으며 우린 이런 부류를 일컬어 변태라고 일컫는데에 남녀모두 사회적 합의를 보고있다. 그래서 누구도 바바리맨이나 강간범, 성추행범을 향해 나의 꿈을 이뤄줘서 고마워라고 만세 삼창하지 않으며, 그 놈을 호되게 처벌하는 것에 모두가 동의한다.
  


나이 80을 먹어도 야동에 끌리는건 어쩔 수 없다지만 …
포르노는 포르노일 뿐 환타지에서 그쳐야 한다


그런데 아무리 나라의 격이 초라한 모습으로 전락했다지만 이런 사회적 합의를 깨고 바바리맨을 상상력의 총아로 덧칠하는 일들이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예를 들자면,
얼마 전에 광화문 중앙분리대에서 펼쳐진 스노보드 경기를 놓고선 자신의 좁디좁았던 상상력을 한탄한다든지 하는 등의 일이다.

난 그런 거 상상도 못했다능, 그래서 내심 걱정했지만 해놓고 보니 내 졸렬했던 상상력이 부끄러웠다능, 우리 모두 마음을 열고 편견을 버리자능 … 등등 …

아 … 정말 상상력은 안드로메다에 두고 국영수만 열심히 들고파야만 했던 주입식 교육의 병폐가 뼈져리게 느껴진다. 고작 그런 상상조차 못하고 살았다니. 지금도 애들 상상력을 홍어 거시기 마냥 만들어놓는 교육부는 정말 줄빠따 맞아야 쓰겠다.


광장의 의미가 무언가. 요즘 언제 광장이 ‘광장’스러웠던 적이 있었던가? 촛불시위 이후 광화문에 급조되어 광장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중앙분리대가 실은 시민의 의사표현을 막기 위한 것이라는 걸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니 광장도 아닌 곳에 스노보드 대회를 하든 스키 대회를 하든 물을 채워서 요트 경기를 하든 놀랄 일은 아니다. 저 곳은 그렇게 쓸려고 만든 거니까.
 
그런데 그 곳이 정말 광장이라면, 거기에서 벌어지는 일인시위조차 강제연행 하면서 카드회사의 마케팅에는 얼씨구나 통째로 내주는 건 상상력이 아니라 그냥 횡포일 뿐이다.

게다가 저 저렴한 상상력은 이미 아랍의 졸부들이 두바이에서 열심히 하고 있다. 사막 위의 스키장? 인공섬? … 그 막대한 에너지들은 그 졸부들 만의 것도 아닌데, 그들이 안 그래도 피곤한 지구를 쥐어짜서 한다는 짓이 고작 사막에서 스키를 타기 위함이라니 이건 재앙에 가깝다.

 

사막에선 낙타를 타고 스키는 스키장 가서 타라.

근데 그런 아랍 졸부를 보고 우리도 그 뒤를 따르잔다. 그러니  4대강에 콘크리트 부어서 유람선 띄우자는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머릿 속에서 끝내야 할 일과 현실로 끌고 나와도 될 일들을 구분을 못하고 있다.

포르노는 그냥 포르노에서 끝내야 하는데 현실로 가져와 재현을 하려고 하면 변태가 되듯 두바이에서 벌어지는 저 돈지랄이나 4대강 살리기나, 펌프로 물 끌어다가 수도물 쏟아붙는 ‘하천’ 을 만든 것은 꿈을 현실로 만드는게 아니라 현실을 재앙으로 만드는 행위다. 이래선 남극대륙에 사파리를 건설하겠다는 놈이 나와도 하등 이상할게 없는 현실이 되어버릴 지경이다.

이대통령은 그의 변태스런 삽질 정책을 녹색성장이라고 포장하고 있다. 녹색 삽으로 삽질할 건지 녹색 시멘트를 바를 건지는 모르겠지만 이런 ‘녹색성장’ 만큼이나 모순적인 제목이 붙은 ‘그린 포르노(Green Porno)’라는 단편영화가 있다.




이 단편영화는 여배우 출신인 이사벨라 로셀리니가 각본, 감독, 출연한 영화다. 자연보호와 생태를 주제로 담고 있는 이 짧막한 영상들은 이사벨라 로셀리니가 직접 곤충이나 생물들로 분장하여 교미장면을 코믹하게 묘사한 작품으로 짝짓기 행위는 정확한 고증을 통해 묘사하였다고 한다.

선댄스 영화제 측의 지원으로 모바일 동영상 플레이어 포맷으로 제작되었으며 링크를 따라가면 전편을 볼 수 있다. 재밌으니 한번 보시길.

이런게 포르노와 그린이라는 모순적인 단어를 접목시켜 만들어낸 ‘상상력’이란거다. 녹색 삽으로 삽질하는게 녹색 성장이 아니라.

각설하고, 상상력타령 따위의 설레발은 서울 시장이 광화문 광장에 제대로 된 공원을 만들어 시민들에게 돌려주고 차량 통행은 획기적인 방법으로 개선할 때나 경기도 의회에서 당론에 개의치않고 상큼한 모습으로 초등생 전원 무료급식을 통과시키거나 할 때에 쳐주시기 바란다.

할 수 있으니까 하고 싶은대로 다 하는 걸 상상력이라든가 신념이라든가라는 말로 포장하지 마라. 그런 식으로 따지면 세상의 모든 패륜이 용납되어지고, 모든 횡포와 배신에 대한 비판이 편견으로 인한 오해로 해석되고 말터이니.

영진공 self_fish 

“세계대전 Z”, 좀비업계의 아이팟

-= IMAGE 1 =-


좀비는 68년에 조지 로메로가 창조한 이후부터 공포영화의 주인공이었지만
최근에 새로이 조명받는 주인공이기도 합니다.

최근 본 진짜 무서운 영화 [REC](필름2.0에도 썼지만 저 이거 보고 다리에 힘이 빠져서 걷기도 힘들었음 -_-;;;), <28주 후>와 <28일 후>와 <저주받은 새벽>과 <황당한 새벽>과 매드슨의 원작을 새로 만든 <나는 전설이다>도 모두 좀비 이야기죠. 심지어 매드슨의 원작에 등장하는 놈들은 원래 뱀파이어 에 가까웠습니다만, 그게 새 영화에선 완전 좀비로 변했다는 걸 생각해보면 21세기는 좀비의 재발견의 시대인듯도 합니다.

여튼, 그 좀비 재발견 시리즈의 정점에 있다고 할만한 작품이 이 <세계대전 Z> 입니다.

많이들 아시겠지만, 책의 저자는 이 전에 이미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를 써서 지명도가 높아진 사람으로 이번에는 아예 본격적으로 중국에서 좀비가 발생했다는 설정을 가지고 과연 그 이후에 어떤 일이 벌어질 지에 대해 전지구적인, 소위 말하는 글로벌한 상상력을 펼쳐냅니다.

이건 단순히 좀비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 발병기제나 전염의 기제가 밝혀지지 않은 미지의 어떤 새로운 질병이 발생했을 때,
그것이 과연 어떻게 전세계로 퍼져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병리학 SF 이기도 하죠.

중국에서 발생한 질병은 특유의 정보통제와 허술한 인적보안 시스템을 통해 제3세계 중심으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중국의 주요한 외화벌이 수단 중의 하나인 장기이식을 통해 선진국으로 퍼져나갑니다. 그리고 그 질병에 대한 각국의 대처는 또 다른 결과를 낳고, 그 결과는 다시 새로운 양상을 펼쳐내고…

이 모든 이야기들이 각각 서로 다른 상황에서 서로 다른 경험을 한 사람들을 통해서 회고되는 옴니버스 형태라서 요즘 인터넷 세대가 읽기에도 편합니다.

남아공의 냉혹한 아파르트헤이트 전문가 폴 레데커 이야기,
영국의 성을 지켜낸 사람이 회상하는 “그녀” 이야기,
모든 것을 의심하는 습관 덕에 이스라엘을 살려낸 정보분석관 이야기,
휠체어를 타고 좀비 자경단의 일원으로 활약한 사람 이야기
등은 뜻밖의 감동을 주기도 하고요.
특히 영국의 “그녀” 이야기는… 그 비실거리는 영국도 최소한 우리나라보다 백배 낫다는 걸 뼈저리게 느끼게 해주죠. (정말로 그럴 것 같은)

이런 이야기가 요즘 각광을 받는 이유는 (이 책은 출판된 이후 몇개월간 아마존에서 베스트셀러 자리를 차지하고 있고 브래드피트가 영화 판권을 샀다더군요.) 예전엔 듣도보도 못한 질병들이 등장하고 있는 요즘 상황과 무관하지 않습니다. 사실, 우리가 무서워해야 할 것은 좀비가 아닙니다.  좀비에 대한 대책은 거의 완벽하게 세워져 있으니까요 … (^_^)
하지만 우리가 전혀 모르는 어떤 질병(혹은 재난)이 우리를 위협할 가능성은 단순한 상상이 아니라 현실입니다.  그리고 그때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질병 자체 뿐만 아니라 긴밀하게 얽혀있는 우리 세상이고요.

여튼 이 책은 그 자체로 훌륭한 SF 소설이고, 좀비 업계의 아이팟이며
좀비를 통해서 지금 우리 세상이 얼마나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배우게 해주는 재미있는 국제관계학 책이기도 합니다.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