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과 “플란다스의 개”, 공통된 세계관의 다른 표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은 그의 첫 번째 상업영화 『플란다스의 개』와 기본적으로 같은 관점, 같은 구조의 영화다. 단지 첫 번째 영화에서 관점을 고르게 배분했던 것과는 달리 신작에서는 한쪽의 관점만을 드러냈고, 사건이 좀 더 극적이 되었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첫째, 두 영화는 모두 두 개의 사건으로 구성된다.


그 두 사건 중에서 첫 번째는 나머지 하나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으나, 결국 사람들에게 알려지는 것은 두 번째 사건이고 첫 번째 사건은 그냥 지워지고 만다.

<플란다스의 개>에서 첫 번째 사건은 윤주(“이성재”)의 ‘개 유기 및 살해 사건’이다. 이로 인해 이후에 모든 일들이 벌어지지만, 결국 윤주의 이 범행은 아무에게도 알려지지 않고 넘어간다. 『괴물』에서는 미군의관의 ‘포르말린 방류사건’이 여기에 해당한다. 괴물은 이로 인해 탄생하지만 역시 그 사건도 영화에서는 아무에게도 주목받지 않고 지워지고 만다. (두 번째 사건은 물론 ‘윤주네 개(순이) 납치/도살기도 사건’과 ‘괴물의 출몰사건’이다.)


둘째, 사건이 둘인 만큼 범인도 둘이지만, 이 두 범인에 대한 처분은 극과 극이다.


<플란다스의 개>의 윤주(“이성재”)는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고 교수가 되는 데에 성공하며, 『괴물』의 미군 역시 실질적인 원인제공자이면서도 비난을 받기는커녕 오히려 이를 계기로 생화학전 실험을 하는 기회를 얻는 이득을 본다.

반면에 이들로 인해 발생한 두 번째 사건의 범인은 사람들의 눈에 문제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처벌당한다. <플란다스의 개>에서 노숙자(“김뢰하”)와 <괴물>에서 괴물이 바로 그 역할이다. 이들은 지극히 단순하고 본능에 충실할 뿐 특별히 악의가 없는 존재라는 점에서도 매우 비슷하다. 즉, 만약 개고기 맛을 볼 기회나 포르말린으로 인한 유전자 변형이라는 사건만 없었더라면 이들은 그저 멍청한 노숙자로서, 한강의 물고기로서 단순한 삶을 마치고 말았을 존재들이다.

당구대에 비교하자면 이들은 적극적인 플레이어가 아니라 누군가가 친 공에 맞아서 그대로 굴러가는 공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들은 일어난 모든 문제의 가해자로 지목받고 처벌당한다. 지나친 처벌인 것이다.


세째, 언제나 문제의 원인을 제공하는 자와 문제를 해결하는 자는 따로 있다.


그리고 문제의 원인 유발자는 많이 배우고 사회적 지위가 높으며 권력을 가진 자이고, 문제
를 해결하는 자는 배운 것 없고 지위도 낮고 권력도 없는 자이다.

심리학 박사인 윤주는 자신이 개를 죽여 놓고서 정작 자기 자신의 개를 납치당하는 아이러니에 빠진다. 미군 역시 포르말린을 방류해 괴물을 만들어 놓고서는 그로 인해 애꿎은 사병 하나가 희생당한다. 그리고 그 이후, 윤주와 미군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

이제 문제는 이 사건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쉽게 말해서 무고한 존재들이 짊어지고 해결하며 그로 인한 피해도 고스란히 그들이 다 뒤집어쓴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공로에 대한 어떤 인정도 받지 못한다.

『플란다스의 개』에서 그 무고한 인물은 현남(“배두나”)이고, 『괴물』에서는 강두(“송강호”)네 가족이다. 현남은 납치된 개를 찾아서 윤주에게 돌려주었으나 결국 자신은 직장에서 해고당하고, 그토록 원하던 TV출연 마저 이루지 못한다. 강두네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괴물을 처치했지만 큰 희생을 치렀을 뿐, 그로 인한 어떤 공치사도 받지 못한다. 뉴스와 신문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떠들어댄다.

일 벌린 넘들은 어디 가고...

덧붙여, 이런 이야기가 유지되기 위해서 영화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자는 언제나 나머지 세상으로부터 소외당하고, 이해받지 못하고, 오히려 비난만 받는다.

현남은 직장 상사로부터 맨날 할 일을 빼먹고 싸돌아다닌다고 비난받으며, 강두네 가족은 위험한 바이러스에 감염된 채로 도주한 위험인물들로 체포 대상이 된다.

고독한 현남을 응원하는 건 상상의 관중들과

현남과 비슷한 처지의 친구 뿐이다


게다가, 그 와중에 규칙대로 돌아가지 않는 세상은 이들의 발목을 잡는다.


현남이 필사적으로 도망칠 때 비상구에 가득 쌓인 물건들과 닫힘 버튼을 눌러도 닫히지 않는 엘리베이터 문이나, 강두네 가족을 바이러스 보균자로 분류해 끌고와서는 아무 대책없이 다른 환자들과 의사들에게 노출시키는 병원시스템이 바로 그런 규칙대로 돌아가지 않는 세상이다.

이런 일도 상당히 익숙하다

결국 이 두 영화에서 드러난 감독의 관점은,

이 세상은 사고치는 놈과 해결하는 놈이 따로 있으며, 좀 배우고 권력 있다는 놈 치고 제구실 하는 놈 없고, 오히려 그 빈틈은 못 배우고 권력 없는 민중이 대신 해결해온, 본말전도의 법칙에 따르는 세상이다.


영화 괴물에서 반미의식이 드러난다고 하지만 이는 일부에 불과하다. 그의 관점은 반미라기 보다는 반권력, 반시스템, 반지식인 이다. 윗대가리들만 제대로 하면 벌어지지 않을 사건들로 인해서 무고한 시민들만 죽어나간다는 것이다.

이런 그의 관점이 지나치지 않을까? 너무 비관적이고 급진적이지 않을까?
글쎄 … 경제위기, 4대강, 용산참사, 외환위기, 삼풍백화점 붕괴, 성수대교 붕괴, 대구지하철 가스폭발,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등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위기와 참사들을 생각해봐도 이런 관점이 비현실적이라는 말은 하기 어려울 것이다.

언제나 윗대가리들이 제대로 일을 했으면 벌어지지 않았을 사건이고, 결국 그로 인한 피해는 무고한 민중들이 뒤집어써야 하지 않았던가. 경제위기, 외환위기 때 금융시스템을 비판하고 고치기는 커녕 엉뚱한 정책으로 일관하는 실제 정부의 행태나, 정작 괴물에는 신경쓰지 않고 엉뚱한 바이러스 공포만 퍼트리는 영화속 정부의 행태가 크게 다른가?

어쨌든 재미있는 것은, 이렇게 같은 정서로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음에도 한 영화는 흥행에 실패했고, 다른 영화는 한국영화사의 신기록을 세웠다는 점이다.



 

영진공 짱가

[문화와 총] – 1장: 2차대전 중 일본군의 안습 무기사정

-= IMAGE 1 =-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와 비슷한 질문 먼저 해보죠.
총이 먼저일까요. 총알이 먼저일까요? 닭과 달걀 질문과 마찬가지로(진화론에 따르자면 달걀이 먼저겠죠) 이 총과 총알 질문에도 대답이 있습니다. 언제나 총알이 먼저입니다. 총기를 개발하는 과정은 일단 적절한 위력을 가진 탄약을 만들거나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일단 총알을 정해놓고, 그 다음에 그 총알을 가장 효과적으로 쏠 수 있는 총을 만드는 거죠. 총은 총알을 쏘아 보내는 수단일 뿐입니다. 그래서 많은 경우 총은 바뀌어도 총알은 쉽게 바뀌지 않지요. 탄을 통일하는 건 여러 가지로 좋습니다. 무엇보다 보급이 편하죠. 그래서 각 군은 될 수 있는 대로 탄의 규격을 줄이고 표준화하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체로 어떤 규격의 탄들이 사용될까요? 2차 세계대전 당시 주요국가인 미국과 독일의 경우를 살펴보죠.

먼저, 2차 대전 중 미군 보병들이 사용한 탄약 규격은 크게 넷입니다.
(물론, 대형 기관포탄이나 호신용 소형권총탄까지 포함하면 더 복잡합니다만, 여기서는 그저 보병들이 전쟁터에서 사용한 탄으로 국한시킨겁니다)

첫 번째, 권총과 기관단총에 사용하는 .45 ACP 탄.
제식권총인 콜트 M1911과 기관단총인 M2 톰슨, M3 그리스건이 이 탄을 씁니다.


불멸의 콜트 M1911 …


톰슨 기관단총

두 번째, 소총과 경기관총에 사용하는 30-06 탄.
유명한 M1 개런드 소총과 BAR이라는 경기관총, 30구경 중기관총에 이 탄을 씁니다.


M1 개런드 소총, 우리나라 제식소총이었던 적도 있습니다. 에무왕 이라고 불리던…


BAR (브라우닝 자동소총Browning Automatic Rifle의 약자) 역시 우리 군도 쓴 적 있습니다.
아직도 무기창고에 꽤 있다고…


캘리버 30 기관총. 제식 명칭은 M1917 이라고 하죠.

세 번째, 중기관총에서 사용하는 50구경 브라우닝기관총(BMG)탄.
아직도 마르고 닳도록 사용하는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이 바로 이 탄의 주인이죠.
보통 우리 군에서는 MG50 이라고 부르는… (이건 정식 명칭 아닙니다)


MG50, 아니죠~  M2 HB 맞습니다~

네 번째, 소총탄과 권총탄의 중간급인 30구경 카빈탄.
우리나라에서 예비군들이 얼마전까지 썼던 M1, M2 카빈이 바로 이 총알을 씁니다.


이게 M1 카빈, M2 카빈도 있는데 그건 완전자동사격이 됩니다. M1은 반자동사격만 가능


맨 오른쪽이 카빈탄, 나머지는 당시의 일반 소총탄

독일군은 더 간단해요. 세 가지입니다. 그나마 전쟁후반에 사용된 세 번째를 빼면 이들은 딱 두 가지 탄만으로 전쟁을 수행했습니다.

첫 번째, 권총과 기관단총에 사용하는 9mm 파라블럼탄
제식권총들인 P08 루거, P38 월터 권총과 MP40 같은 기관단총이 이 탄을 쓰죠.


P08 루거 권총


MP40 기관단총

두 번째, 소총과 다목적기관총에 사용하는 7.92mm 마우저탄
독일군의 제식소총인 마우저 소총Kar98K, 세계최초의 다목적 기관총인 MG34, MG42 모두 이 탄을 씁니다. 이쪽은 다목적기관총으로 모든 기관총을 통일했기 때문에 미국처럼 50구경 중기관총 같은 게 없습니다.



MG 34 기관총, 삼각대에 얹으면 중기관총처럼, 그냥 양각대만 쓰면 경기관총 처럼 쓸 수 있다는..
그래서 다목적기관총GPMG


MG42 기관총. 역시 다목적이란게 뭔지 보여주는 전시

세 번째, 전쟁 말기에 등장한 7.92mm Kurz 탄
세계최초의 돌격소총인 STG43에 사용된 탄입니다. 연발사격에 적절한 반동과 위력을 위해 소총탄보다는 약하고 권총탄보다 센 탄을 목표로 만들어졌죠. 미국의 카빈탄과 비슷하지만, 이쪽은 소총탄에 더 가까워서 위력이 더 좋습니다. 이 총탄은 AK47과 M16 같은 현대 돌격소총탄의 원조이기도 합니다.


이게 세계최초의 돌격소총 STG44, MP43 이라고도 불리우고… 여튼 AK47과 M16의 원조격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맨 왼쪽이 아래에 나올 6.5미리 아리사카, 하나 건너 세번째가 30구경 카빈탄,
바로 그 옆 4번째가 7.92미리 Kurz탄, 그 옆 5번째가 AK47용의 AK47 탄,
오른쪽에서 3번째는 M16 용의 5.56미리 레밍턴탄

자….그렇다면, 일본이 2차 대전 중에 사용한 탄약의 규격은 모두 몇 개 였을까요?
자그마치 7종입니다. 국내 유일의 총기전문지 <플래툰>지 2005년 6월호에 그 일부 이야기가 있습니다.

첫 번째, 권총에 사용하는 8mm 남부 탄
남부 1식, 14식 등의 권총들과 100식 기관단총에 사용된 탄입니다.
위력은 .38ACP탄 정도로 미/유럽 쪽이었다면 그냥 호신용 탄에 해당합니다.


남부 14식 권총


100식 기관단총


왼쪽 두개가 남부 탄, 오른쪽 두개는 독일에서 쓰던 9mm 파라블럼탄.
크기는 비슷해도 난부 탄 쪽이 위력은 훨씬 약했다고 합니다
.

두 번째, 38식 제식소총에 사용하는 6.5mm 아리사카탄
해방직후 우리나라도 공여 받아 사용했던 38식 소총에 사용된 탄입니다.


38식 소총

세 번째, 11식 경기관총과 96식 경기관총에 사용하는 6.5mm 아리사카G 탄
모양도 구경도 위의 6.5mm 아리사카탄과 같습니다만, 약간 화약량을 줄인 탄입니다.
38식 소총에 쓸 수는 있지만 위력이 약해집니다.


11식 기관총

네 번째, 호치키스 기관총의 일본명칭인 호식 기관총에 사용하는 6.5mm 호치키스 탄
구경은 위의 6.5mm 아리사카탄과 같지만 모양이 좀 다릅니다. 프랑스제 총탄이니까요. 구경은 같아도 38식 소총이나 11식 기관총엔 못쓰고 호식 기관총에만 쓸 수 있습니다. (어떤 자료에서는 호식 기관총의 탄약이 위에 말한 6.5미리 아리사카탄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일본제식탄의 종류는 7종이 아니라 6종으로 줄죠)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호치키스 경기관총

다섯 번째, 신형 제식소총인 99식 소총,99식 경기관총에 사용하는 7.7mm 아리사카 탄
38식 소총탄이 위력이 약하다고 해서 약간 탄의 크기를 키운 탄입니다.
원래는 이 99식 소총으로 38식 소총을 대체할 계획이었는데 뜻대로 되지 않았죠.
총 만들기도 허덕거리는 와중에 총에다 천황 하사품이라는 의미의 국화꽃 문양까지 새기느라…-_-;;; 생산량이 부족했습니다.


99식 소총


99식 경기관총, 체코제 BREN 기관총을 거의 그대로 카피한 총.

여섯 번째, 영국에서 수입한 루이스 기관총의 일본명칭 루식 기관총에 사용하는 7.7mm 탄
영국제(영국군 제식탄인 .303 브리티쉬)라서 탄 전체 모양이 다릅니다. 일본에서는 이걸 따로 해군형 7.7mm라고 이름붙였다는데, 당연히 92식이나 99식에 사용할 수도 없죠.


영국제 루이스 기관총, 일본 해군에서 썼다죠.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에 등장해서 낯익은 총



일곱 번째, 92식 중기관총에 사용하는 7.7mm 세미림드 탄
위의 루식 기관총탄을 흉내낸 92식 중기관총용 탄입니다. 기본은 7.7미리 아리사카탄인데 303브리티쉬를 흉내내어 탄피 아랫부분의 림이 더 튀어나왔습니다. 구경은 같아도 탄피모양이 달라 99식 엔 못씁니다. 장전은 될지 몰라도 탄피를 뽑지 못하게 되죠.



이게 7.7미리 세미 림드


7.7미리 아리사카. 뭐가 달라보이나요? 탄피 밑둥이 약간(아주 약간)다릅니다.

93식 기관총 이야기도 써놨었는데, 다른 자료를 보니 제가 어디서 잘못 본 것 같더군요. 그래서 지웠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8종이라 썼었는데, 7종으로 줄었습니다.
……………………………….

어쩌면 이보다 더 많았을 지도 모릅니다만, 적어도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이렇습니다.
쓰는 저도 헷갈립니다.

이렇게 다양한 탄약을 운용한 결과, 일본은 안 그래도 부족한 공업생산력으로 탄약보급에 벅찬 와중에 총마다 다른 탄약을 보급하느라 엄청 고생을 했습니다. 게다가 여기에 등장한 탄 규격 중에는 겉보기에는 똑같은데, 속에 채워 넣은 화약량만 다른 탄까지 있어요. 6.5mm 아리사카G 탄이 그렇죠. 보통 약장탄이라고 부르는 건데, 기관총에 사용하는 탄들이 주로 이런 약장탄이 많았습니다. 6.5mm 계에는 호치키스 기관총용 탄까지 있었으니 같은 구경의 제식탄이 자그마치 3종입니다. 7.7mm 계에도 똑같이 3종이 혼용. 안 그래도 종류가 많아서 헷갈려 죽겠는데, 구경이나 모양이 같으면서 용도는 다른 탄까지 있으니 돌아버릴 지경이었겠죠. 도대체 왜 그들은 이런 미친 짓을 했을까요? (전쟁을 일으킨 것 자체부터 미친 짓이지만…) 플래툰 2005년 6월호에 따르면 그 이유가 이렇습니다.

일단 첫 번째 이유는 기술부족입니다. 원래는 일본군도 탄의 규격을 통일하려고 했어요. 그런데 소총탄을 기관총에 넣고 쏘니까 잘 작동이 안 되는 겁니다. 기관총을 만드는 기술이 부족해서 소총탄의 위력을 감당하지 못했던 거죠. 그래서 결국 규격은 소총탄과 같은데 (기관총이 감당할 수 있도록) 위력만 낮춘 탄을 쓴 겁니다. 겉보기는 같으면서 위력만 다른, 보급담당자를 돌아버리게 만드는 탄이 등장한 겁니다. 이런 경우, 기관총용 약장탄을 소총에 넣고 쏘면 그럭저럭 위력은 약하지만 문제없이 총알이 날아갑니다. 하지만 반대로 소총탄을 기관총에 넣고 쏘면 조만간 기관총이 고장나죠. 아예 구경이나 모양이 다르면 장전 자체가 안 되니까 문제가 없는데, 이건 모양은 같으니 멀쩡하게 장전은 되는데 정작 쏘면 문제가 되니… 보급뿐만 아니라 사용할 때도 주의할 점이 많아진 겁니다. 목숨이 오락가락하는 전쟁터에서 이 총알이 기관총용인지 소총용인지까지 신경써야 한다면, 정말 미칠 노릇이었겠죠. 괜히 일본군이 총검돌격을 했던 게 아닐 겁니다. 총알 분류하다가 살짝 돌아버렸는지도.

하지만 꼭 그래야 했느냐면, 그런 선택만 가능했던 것은 아닙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총알이 아니라 기관총을 고치는 겁니다. 미국이나 독일도 했는데 왜 일본이라고 못하겠어요. 러시아 같은 경우는 자동화기에는 부적절하다는 림이 튀어나온 탄을 지금까지도 기관총용으로 잘만 쓰고 있습니다. 근데 일본은 총알을 고쳤죠. 아예 총알을 고칠 생각은 꿈도 꾸지 않았다면, 기관총 설계에 더 집중해서 같은 총탄으로 소총에도 쓰고 기관총에도 쓸 수 있는 탄을 만들 수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죠. 왜냐하면 그것이 일본 문화 자체의 특성이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다음 글에서는 그 문화차이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영진공 짱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