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속 스캔들(2008), “이 영화는 제목이 안티다.”




제목이 안티라능~
<과속스캔들>을 보며 내 눈을 잡아끌었던 부분이 있다. 차태현이 분한 남현수가 자신의 딸인 정남(황정남)과 함께 집안일을 하는 장면이다. 영화는 첫 장면에서부터 넓디넓고 먼지 한 톨 없는 데다 완벽하게 정리가 된 집안에서 현수가 스스로 아침밥을 해먹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요일별로 라벨이 붙어있는 락앤락에 식재료가 정리돼 있는, 그야말로 완벽하게 정리된 냉장고에서 요일에 해당하는 락앤락 통을 꺼내 샐러드를 만들어 먹는다. 솔직히 그 장면을 보며 저 넓은 집을 어떻게 저렇게 관리하누, 부터 냉장고는 누가 정리해줬나, 했다. 그러다 라디오의 청취자 사연을 빌어 정남이 아버지한테 뭘 해줄까, 하는 장면에서 “밥 한 끼 해드리라” 조언할 땐 역시 한국남자구나, 했었다. 아침밥을 차려놓은 정남에게 툴툴대며 반찬투정을 할 때, 그리고 집안 청소를 하는 정남을 옆에 두고 소파에 누워 빈둥거리는 현수를 보면서는 “그럼 그렇지” 했었다. 그런데 영화가 진행되고 현수와 정남과 정남의 아들 기동이 다 함께 사는 게 익숙해지면서, 현수는 정남과 함께 아침밥을 차리고, 함께 집안 청소를 한다. 놀랐다. 정말로 놀랐다. 그러니까 현수는 특유의 깔끔한 성격으로 그 넓디넓은 집안을 이제껏 스스로 열심히 청소하고 관리해오고 있었던 것이다! (뭐 가끔 가사도우미의 도움을 받기도 했겠지만.) 그리고 22살이 되어 찾아온 딸과 그녀의 6살난 아들, 즉 현수의 손자와 함께 살게 되었을 때, 그는 집안일을 딸에게만 미루는 것이 아니라 딸과 분담을 한다. 머리에 수건을 두른 채 대형TV를 열심히 닦는 차태현의 모습처럼 멋진 모습이 없다.


이 영화가 흥미로운 점은, 영화에 나오는 여자들이 모두 성숙한 반면 남자들은 현수의 친구 창훈(성지루)만 빼면 모두 무책임하고 어리석고 찌질하다는 데에 있다. 물론 36살 화려한 싱글생활에 갑자기 찾아온 딸과 무려 손자의 존재는 심하게 당황스러운 게 사실이다. 심지어 유전자 검사까지 강행하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아빠되기라는 것도 부단한 노력과 학습의 결과인데, 이 집의 딸은 창훈의 적절한 지적대로 “길러주지도 않았는데 지들이 알아서 커서” 찾아왔다. 그러니 그의 아빠 노릇이, 할아버지 노릇이 영 신통치 않을 수 있다는 것도, 무조건 그 상황에서 도망가고 싶어하는 것도, 아빠 노릇이라는 걸 ‘비싼 옷 안겨서 신데렐라로 변신시켜주기’ 같은 자기과시용으로 착각하는 것도 얼마든지 이해할 수 있다. 그래도 그의 뺀질함은 역시나 심하다. 자기가 위기에 몰렸다고, 화가 난다고 정남에게 해대는 소리들도 너무 심했고, 그걸 “화나니까 그냥 해본 소리”로 슬쩍 넘어가려 드는 것도 참 뻔뻔하다. 정남과 다시 재회한 그녀의 첫사랑 상윤(임지규)은 어떠한가. 처음엔 왕자님처럼 나타났다. 어리버리해서 가는 곳마다 사고를 치는 거야 귀엽다고 해줄 수 있고 정남 앞에서 쭈뼛거리고 수줍어하는 것도 그렇게 멋진 외모를 가진 사람치곤 꽤 순박한지라 호감도 팍팍 간다. 현수와 함께 있는 정남을 보고 오해한 것까지도 그럴 수 있다 칠 수 있다. 그런데 그 이후에 하는 그의 행동이 중요한 것 아닌가. 어쩜 그렇게 찌질한 남자의 전형적인 못난 짓은 다 골라가면서 할 수 있는지. 게다가 새롭게 밝혀지는 사실까지 더 하면, 아이고야, 찌질해도 이렇게 찌질할 수 있나, 못나도 이렇게 못날 수가 있나.


반면 박보영이 연기하는 정남/재인을 보라. 처음 그녀가 관객에게 어필하는 매력은 촌스러운 외모와 저돌적인 당돌함, 그리고 그 무표정하고 뚱한 얼굴에 있다. 다짜고짜 아버지 집에 자기 아들 손을 붙잡고 쳐들어간 거야 영화의 첫 ‘해프닝’을 만들기 위해 그런 거고, 이후 그녀가 현수에게 하는 말들을 가만 들어보면 틀린 말이 하나 없다. 그녀도 꽤 많은 고민 끝에 찾아갔고, 그녀가 내세운 뻔뻔함은 뻔뻔함 축에도 끼지 못할 뿐만 아니라 22년간 보지 못한 아버지를 향한 그리움과 그로 인한 상처를 달래기 위한 자기방어 기제다. 그녀는 그저 아버지가 자신을 딸로 인정해주기만을 바랐고, 그조차 젊디젊은 아버지에게 그리 쉽지 않을 거라는 걸 잘 알고 이해한다. 그래도 자기 꿈을 향한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 결국 아버지 집을 나와서는 식당에서 먹고자고 일을 하는데, 그 바쁘고 힘든 점심시간 일크리에서도 그렇게 열심인 데다 친절할 수가 없다. 항상 방실방실 웃으며 손님이 부르는 소리에 총알처럼 튀어다닌다. 영화의 전반부에서 그녀가 차태현과 충돌하면서 만들어내는 유머와 개그가 거의 대부분 그 뚱하고 무표정한 얼굴과 말투에서 나왔다는 걸 상기해본다면, 식당에서 정남이 그렇게 웃으며 일하는 장면은 이 캐릭터의 건강함을 그대로 증명해주는 것이자, 보는 관객에겐 힘들어서 눈물짓는 장면보다 더 안쓰러움을 선사한다. 현수가 들이대는, 기동이가 다녔던 유치원의 원장님(황우슬혜)은 또 어떠한가. 현수가 알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기동이의 고민과 천부적인 피아노 재능을 발굴해준 게 바로 그녀다. 현수에게 먼저 저녁을 먹자고 제안하고, 현수가 할아버지란 게 다 밝혀지고 나서 그녀가 보여주는 반응도 걸작이다.

이 영화에서 세 사람의 유머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컷.

포스터와 소개글만 보면, <과속스캔들>은 황당한 설정으로 시작해 어이없는 억지 설정과 웃기지도 않는 엉터리 말장난으로 대충 뭉개면서 시간이나 끌다가 막판에 감동의 눈물 한 번 찍 주려고 작정한 영화처럼 보인다. 제목부터 그런 뉘앙스를 준다.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면 그렇지가 않다. 감독은 영화에 차용한 코믹한 요소들을 절대로 유통시한을 넘겨가면서까지 사용하지 않는다. 일회용은 일회용으로, 두 번 쓸 것은 두 번 쓸 것으로 깔끔하게 끝내버린다. 적어도 이 영화를 보면서 관객들은 지루해 하품을 하는데 감독과 배우들만 웃기다고 우기는 코미디를 반복하는 일은 없다. 참 뻔한 설정으로 시작해 뻔한 결말을 향해 달려가는데도, 그 과정들은 믿음직한 사건들과 디테일에 충분히 웃기는 유머들로 아기자기하게 꾸며져 있다. 연출의 리듬감도 아주 좋다. 씬마다, 씨퀀스마다 마무리가 아주 깔끔하고 다음 장면으로 부드럽게 넘어갈 뿐만 아니라, 인물들의 행동과 대사가 적절한 타이밍에 제대로 리듬감을 탄다. 액션과 리액션의 감각이 상당히 좋다. 게다가 정남이가 얼굴에 마스카라 범벅이 된 채 무대에 있는 현수에게 올라가 통곡하는 장면이 주는 파워가 대단하다. 어찌 저 어린 배우가 저런 감정을 토해낼 수 있나, 참 놀랐다. ‘애를 잃어버리고 정신줄을 놔버린 엄마’의 모습을 이토록 생생하게 그려내다니, 고백하자면 나도 이 장면에서 펑펑 울었다. 후반에 가서 ‘훈훈한 가족간 감동’이 강조되면서 살짝 늘어지는 감이 있지만, 영화가 내내 주었던 웃음과 재미에 비하면 그 정도 흠결이야.


“나도 몰랐는데 아빠가 돼 있었다네” 설정의 코미디의 거의 끝물에 나온 <과속스캔들>은, 이 부류의 영화 중 가장 웃기고, 재미있고, 감동적이다. 비록 장르영화로서 틀에 딱 맞춘 일정한 공식 때문에 다소 식상한 감은 있더라도, 어차피 우리가 장르영화를 보는 이유도 바로 그 이유 아닌가. 그 한도 내에서 이 영화는 보여줄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을 보여준다. 오랜만에 차기작이 매우 기대되는 신인감독이 다시 나왔다.


영진공 노바리


영화 속 고전음악으로 마음의 평화를 찾아보자

세계적 경제위기를 핑계거리로 삼아 오히려 이때가 기회라는듯 온갖 패악을 서슴지 않고 있는 권력자들과 위정자들.  그들의 흉한 횡포와 경제난에 우리 몸과 마음이 온통 고달프고 힘들다.

허나 아서라, 자칫 지쳐 떨어지기라도 할라치면 더 험한 꼴을 당할지도 모르니 …

그러니 마음의 평화를 찾자.  자연의 품을 통해서든, 아름다운 음악을 통해서든.
그래야 견딘다.

그런 의미에서 영화 속 고전음악을 소개하고자 하니 마음의 평화가 필요하신 분은 잠깐 시간 좀 내시라.

1.
바하의 토카타와 푸가
Toccata & Fugue By J.S. Bach

요즘 TV와 라디오의 뉴스는 죄다 이 음악을 배경으로 깔고 들어야 하는 게 맞을듯하다.
온통 심장이 벌렁대는 후덜덜한 소식들을 전하는데도 아나운서들의 목소리는 괴기스러울만치 차분하기 때문이다.

여튼, 들어보자.
커트 아이손(Kurt Ison)의 파이프 오르간 연주이다.


셀 수 없이 많은 영화와 드라마 그리고 광고 등에서 접할 수 있는 이 곡은 바하가 1703~1707 년 사이에 작곡한 파이프 오르간용 음악인데,

요걸 또 유명 기타리스트 John Williams가 세션 뮤지션들과 함께 만들어 활동하였던 그룹 Sky에서 팝뮤직으로 편곡하여 신나게 연주한 적이 있다.

그것도 들어보자.

 

2.
드뷔시의 달빛
Claire De Lune By Claude Debussy

프랑스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의 1903년 작품인 이 음악은 가장 유명한 피아노 곡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 곡을 David Oistrakh의 바이올린 연주곡으로 준비하였으니 즐감~ ^^


이 곡은 몇 년 전에 개봉한 영화 “오션스 일레븐”이나 최근 개봉작 “트와일라이트”에서도 들을 수 있는데, 허나 뭐니뭐니해도 이 곡이 쓰여진 영화의 백미는 1991년 작 “프랭키와 쟈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게리 마샬이 감독하고 알 파치노와 미셸 파이퍼가 주연을 맡은 이 로맨스 영화.
아직도 안 보신 분은 꼭 구해서 보시길 권한다.


영화 “프랭키와 쟈니”의 예고편
 

3.
스탠리 마이어즈의 까바띠나
Cavatina By Stanley Myers (Guitar: John Williams)

위에서 잠깐 언급한 바 있는 John Williams는 클래식 기타리스트로서 명성이 자자한데, 여러 클래식 음악 연주자와 팝 아티스트들과의 성공적 협연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영화  “디어 헌터(Deer Hunter, 마이클 치미노 감독, 1978)”에 영국 출신의 작곡가 스탠리 마이어즈의 “Cavatina”를 연주한 것이 삽입되면서 그의 이름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까바띠나는 음악의 한 형식인데 ‘악기로 연주하는 노래’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다.  준비한 연주는 John Williams가 주축인 그룹 Sky의 공연실황이다.


그리고 아래는 영화의 한 장면.


영화 “디어 헌터(Deer Hunter)”

   

4.
모짜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 2악장
Piano Concerto No.21 K.467 2nd Mov. By W. A. Mozart

1967년에 나온 스웨덴 영화 “엘비라 마디간 (Elvira Madigan)”은 1880년대 후반에 스웨덴에서 실제 일어났던, 줄타기 곡예사 엘비라 마디간과 기병 장교 에드바르드 식스텐의 사랑의 도피와 비극적 최후를 아름답고 유려한 화면으로 차분하게 그려낸 영화이다.


영화의 한 장면


당시 굉장한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이 영화는 히트곡도 하나 만들어 냈는데, 그게 바로 모짜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1번 중 안단테이다.  그래서 이 연주는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엘비라 마디간”으로 불리우고 있다.

그 곡을 들어보자.
그런데 연주자가 바렌보임이다.  싫어하시는 분들은 패쓰하셔도 무방하다 ^^;;;

5.
바하의 G선 상의 아리아
Air On The G string By J. S. Bach


뭐 그닥 설명이 필요 없는 아주 유명한 곡이다.
바하의 관현악 조곡 3번의 한 부분을 아우구스트 윌헤미라는 바이올린 연주자가, 바이올린의 가장 낮은 현인 G선으로만 연주하도록 편곡한 것이 널리 알려지면서 G선 상의 아리아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이 곡도 셀 수 없이 많은 영화와 드라마에서 들을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인상 깊은 장면 중 하나가 바로 영화 “세븐(Seven)”의 도서관 Scene일 것이다.


영화 “세븐(Seven)”의 한 장면

그리고 이 곡은 팝 음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는데, 대표적으로 그룹 Procol Harum이 1967년에 발표한 “A Whiter Shade Of Pale”이 바로 이 곡에서 영감을 얻어 작곡되었다.


“A Whiter Shade Of Pale”, Procol Harum  


자, 이 곡을 제대로 들어보자.  연주자는 장영주.

6.
쇼팽의 이별곡(Tristesse)
Etude Op.10 No.3 in E Major By F. Chopin


이번 곡 역시 별 설명이 필요 없는 곡.
쇼팽의 피아노 연습곡 중 하나인 이 곡은 그 애절하고 아름다운 선율로 인해 사람들에게 이별 또는 슬픔이라는 곡으로 통하게 되었다.

이 곡도 아주 많은 영화에서 쓰여졌는데, 어쩌나, 딱히 떠오르는 장면이 엄따. –;;;
그래서 걍 연주만 준비하였다.


연주자는 Freddy Kempf

이 곡 또한 여러 버젼의 팝송으로 불리워지는데, “No Other Love” “So Deep Is The Night’ 그리고 Annie Haslam의 “Careless Love” 등이 있다.
그 중 “So Deep Is The Night”을 준비해 보았으니 즐감 ^.^


테너: Finba Wright

7.
챠이코프스키의 호두까기인형들의 행진
March Of The Nutcrackers By Tchaikovsky

자, 정리하자.
때가 크리스마스 시즌이고 해서 그에 맞는 걸로 준비해 보았는데, 그전에 극히 일부 기독교도분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게 있다.  종교의 기본은 경쟁과 대립이 아니라 평화와 구원에 있음을 상기해 달라는 것이다.

크리스마스 때면 어김 없이 무대에 올려지는 발레공연이 있다.
바로 챠이코프스키의 3대 발레 중 하나라는 “호두까기 인형(The Nutcracker)”인데 이 작품 중간에 “목각 인형들의 행진” 부분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들어보자.

이 부분을 영국 출신의 프로그레시브 락 그룹 Emerson, Lake & Palmer가 락으로 어레인지하여 발표한 적이 있다.  1971년 발매한 라이브 앨범 “Pictures At An Exhibition”에 수록되어 있는 이 곡은 그래서 제목도 Nutrocker라고 바꿔 붙였다.

마음의 평화를 찾았으면 이제 힘내서 열심히 살아보자는 의미에서 신나는 음악으로 마무리하고자 함이다.

아자! 힘내자!


Nutrocker By Emerson Lake & Palmer

끗.

영진공 이규훈

스테이 (Stay, 2005) “높은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는 거리가 먼 영화”



이완 맥그리거의 이전 출연작인 <아일랜드>나 방은진의 감독 데뷔작 <오로라 공주>가 비평적으로는 별로 칭찬받을 만한 구석이 없는 영화라고 할 지라도 일단 대다수의 관객들의 호응을 얻는 데에는 별 무리가 없는 영화들이었다고 한다면, <스테이>와 같은 영화는 꽤 준수한 스타 캐스팅과 기대 이상의 높은 완성도를 갖추었으면서도 관객들로부터는 철저하게 외면 당하는 정반대의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스테이>는 다루고 있는 내용이 너무 어렵다거나 내러티브의 구성이 혼란스럽기만 하고 정리도 제대로 안해주고 끝을 맺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영화 속의 혼란, 즉 주인공이 경험하는 혼란스러움의 진상이란 것이 최종 결말에서 마침내 밝혀졌을 때 ‘고작 그런 거였나’라는 반응 밖에 얻어내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하다. 다시 말하자면 <스테이>는 논리적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이야기의 출발점 자체가 다수 관객들의 동감을 얻어내기가 쉽지 않은 설정의 영화였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일부 관객들은 미스테리의 결론이 다소 허전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작품 전체를 쉽게 폄하하지는 않는다. <스테이>는 이야기의 최종 결말에 앞서 러닝타임 전체에 걸쳐 보여지는 밀도 높은 연출과 배우들의 성실한 연기, 거의 모든 컷과 씨퀀스에서 돋보이는 탁월한 비주얼, 그리고 이 영화가 끌어들이고 있는 다양한 이종 장르들과 메타포의 풍성한 배합만으로도 이미 상당한 포만감을 선사해주는 영화다. 앞으로 이완 맥그리거에게는 <아이 오브 비홀더>, 나오미 왓츠에게는 <멀홀랜드 드라이브>나 <21그램>과 함께 자주 언급될만한 이 영화는 그러나 영화가 끝나고 나면, 다름 아닌 젊은 캐나다 출신 배우 라이언 고슬링의 영화로 모든 내용이 다시 정리되고 기억될 작품이기도 하다. 실망스럽기만 한 스릴러 영화가 아니라 사실은 죽음을 앞둔 한 인간의 간절하고도 슬픈 감정의 깊이를 전달하고자 했던 영화 <스테이>의 진짜 표정이 라이언 고슬링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영진공 신어지